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공무원과 소작농

공무원과 소작농

시골에서 공무원을 하다 부자가 된 사람이 있다.

그러나 농사를 전문으로 크게 지으면서도 부자가 되지 못하는 소작농이 있다.

그렇다면 왜 공무원은 부자가 되었고 소작농은 부자가 되지 못했나?

소작농의 농사방식은 이렇다.

최소 3만 평 이상 농사를 짓는다.

1마지기(200평)당 얼마나 쌀이 생산될까?

다소 차이는 있지만 80kg 4가마 정도 된다.

그렇다면 4가마의 가격은 얼마일까?

직불금이 2016년 현재 약 18만 원이다.

4가마가 한 마지기당 나오니 72만 원이다.

그렇다면 3만 평/200평=150마지기이다.

150마지기 X 72만 원= 108,000,000원이 나온다.

많은 돈이다.

그런데 3만 평 농사를 지으려면 어떤 것이 필요한가?

트랙터 등 농기계 5종 세트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 5종 세트를 사면 가격이 3억 원이다.

그런데 이 5종 세트가 딱 5년 만 지나면 새로 사야 한다.

더 이상 못쓴다는 얘기다.

그럼 1년에 감가 상각이 얼마나 되는가?

무려 매년 6천 만원씩 되고 있는 것이다.

3억 원금에 대한 이자를 3%씩으로 계산해 보자

한 달에 75만 원 1년에 900만 원이다.

그럼 1억8백만 원 농사 지어서 6천 만원 감가상각하고 이자 9백 만 원 주면 4천만 원 남는다.

4천 만원은 한달에 4백만 원도 안 되는 돈이다.

생활비 쓰고 나면 없다.

무려 3만 평을 농사짓는데 말이다.

게다가 비료, 농약, 기타 잡비는 치지도 않았다.

그러니 매년 이 소작농은 일은 열심히 하는데 돈은 한 푼 저축도 못하고 빈털터리다.

게다가 흉년이 들거나 아파서 일하지 못하는 돌발상황이라도 나면 그야말로 신용불량자 된다.

시골에 공무원들 중에 논을 사서 농사를 짓는 공무원이 있다.

공무원이니 농사를 짓는 시간을 내기가 만만치 않다.

그래서 이들은 땅은 있으나 직접 농사를 짓지 않고 3만 평씩 농사를 짓는 소작농에게 맡긴다.

몇 평이건 관계는 없다.

처음에는 미미하다.

소작농에게 맡기면 이들은 소작농과 공무원이 7대3의 비율로 나눠 갖는다.

공무원은 땅을 가졌고 소작농에게 맡겼지만 매년 자신의 땅의 3의 비율로 쌀 값을 가져가는 것이다.

게다가 공무원은 생활비를 자신의 월급으로만 쓰기 때문에 자신의 땅에서 나오는 쌀값은 모조리 쌓이는 것이다.

게다가 자신의 월급 중 일부를 생활비로 쓰고 남았다면 쌀 값과 함께 돈이 쌓인다.

그럼 경매로 인근에 나온 논을 낙찰 받는다.

그리고 대출을 끼고 등기 이전을 한 다음 다시 그 땅을 소작농에게 농사를 맡긴다.

그럼 처음에는 5년이 넘게 걸려 7천만 원짜리 사서 원금을 모조리 갚았다면 다음 번에는 3년이 걸리고 그 다음에는 2년이 걸리는 식으로 같은 규모의 땅을 사는 시기가 점점 줄어든다.

공무원과 소작농의 차이는 무엇인가?

공무원은 쌓이는 구조이다.

소작농은 항상 0로 수렴하는 구조이다.

공무원은 이런 식으로 가면 마이너스가 날 수가 없다.

소작농은 잘못하면 마이너스가 크게 나고 잘 해야 본전이다.

공무원은 땅값이 오르거나 수용이 되거나 누군가에게 판다면 이득은 고스란히 가져온다.

소작농은 소작 부쳐먹던 땅이 팔리면 사놓은 농기계 놀아야 한다.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가?

당연히 공무원이 되어야 하지 않는가?

그러나 대부분은 소작농으로 살아간다.

임대사업자는 소작농이다.

집이 30채 있다.

얼마 벌것 같은가?

300만 원이라고 보면 된다.

왜냐하면 1억짜리 빌라를 샀다고 치자.

보증금 2천 만 원에 40만 원이 나온다.

대출 80%을 받아 8000만 원 빼고 2천만 원은 보증금으로 대신했다.

그럼 얼마가 남는가?

일단 들어간 돈은 500만 원이 안 된다.

8000만 원에 대한 이자 4.5%에 받았다.

이자가 너무 센가?

30채 정도의 대출을 일으키려면 신협, 수협 등 제2 금융권으로 가야 한다.

4.5%도 그리 비싼 것은 아니다.

이자는 30만 원이 나온다.

그럼 500만 원 들어가서 한 달에 10만 원씩 나온다.

30채를 샀다고 치자.

그럼 1억5천 만원 들어가서 한 달에 300만 원 나온다.

수익률이 좋은가?

좋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실상은 그렇지 않다.

500만 원의 수익을 보려면 50채는 있어야 한다.

그런데 50채의 대출을 일으키기가 만만치 않다.

무려 40억의 대출을 건건이 일으켜야 한다.

30채라면 24억의 대출을 일으켜야 한다.

그러니 식구들이 전부 대출을 일으킨다.

일으켰다고 치자.

그런데 생활비는 얼마를 쓰는가?

400만 원은 쓰지 않나?

그렇다.

40채는 있어야 최소한 마이너스가 아니다.

그런데 문제가 있다.

공실이다.

서울의 원룸을 가지고 있다면 공실이 날 염려가 적다.

그런데 가지고 있는 물건이 죄다 지방이라면 문제가 된다.

공실이 나기 시작한다.

한 채의 공실이 났다면 생활비는 얼마나 줄어들까?

40채 가지고 있는데 한 채 공실이 나니 390만 원인가?

아니다.

360만 원이 된다.

40만 원 받던 월세가 안 들어오고 30만 원의 이자는 고스란히 내야 하니 당연히 40만 원 마이너스가 되어서 생활비는 360만 원이 된다.

만약 5개가 났다면?

끔찍한 소리다.

그런데 요즘같은 활황기에는 월세가 나오는 물건을 찾기가 어렵다.

공실이 나는 지방에 물건이 많다면 공실 1개당 2시간씩 잠이 안 온다.

5개 공실나면 10시간 잠이 안 온다.

매일밤 뜬눈으로 꼴딱 새는 것이다.

40채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소작농과 똑같은 삶을 살아간다.

잘 되면 본전이고 안 되면 마이너스가 나는 구조다.

이래서는 부자가 될 수 없다.

만약 70채쯤 가지고 있다면 어떨까?

70채가 있어도 마찬가지다.

공무원처럼 하지 않으면 말이다.

그러나 70채가 공무원의 월급처럼 철밥통 월급이 아니지 않은가?

그리고 40채는 생활비로 쓰고 나머지 30채의 300만 원은 대출원금을 갚는 식으로 가야 하는데 일단 그러려면 주택은 불리하다.

주택으로 저축을 하면 지속적인 수리비가 들어간다.

그러나 땅은 수리비가 들어갈 일이 없다.

쓰다 땅이 지치면 비료를 주면 된다.

그러니 저축을 해도 주택이 아닌 땅과 같은 것으로 해야 한다.

그런데 임대사업을 하는 사람이 땅을 저축하는 사람을 못보았다.

그러니 항상 잘해야 본전이고 공실이 나면 마이너스가 난다.

주식의 데이트레이더는 소작농이다.

전업 데이트레이더는 장시작부터 장마감까지 주식창 앞에 붙어있다.

다른 일을 할 수 없다.

그럼 데이트레이더가 하루에 얼마를 벌어야 하는가?

400만 원을 생활비로 쓴다면 하루에 14만 원을 벌어야 한다.

14만 원을 벌 수도 있고 50만 원을 벌 수도 있다.

그러나 꾸준히 14만 원을 벌기가 힘들다.

증권회사 다니는 지인이 그렇게 버는 사람을 본적이 없다고 한다.

주식으로 돈을 벌었다면 예전에 삼성전자나 태평양 주식을 사고 잊고 지냈는데 어느날 보니 주식이 올라있더라가 대부분이고 딱 한 사람 보았다고 한다.

그 사람도 내가 아는 사람이다.

딱 2000만 원을 가지고 매일 사고 팔아서 매월 생활비 300만원을 번다.

그 생활 20년째를 하고 있다.

그런 사람은 1000명에 한 명 나올까 말까 한다고 한다.

그럼 주식 데이트레이더는 쌓이는 구조를 만들 수 있을까?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

300만 원이고 400만 원이고 생활비를 버는 것까지는 가능하나 생활비를 쓰고 나면 없다.

그러니 그 돈은 자신의 노동으로 벌긴 하지만 실은 나이들면 못하는 일에 목숨걸고 매일을 소비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주식으로 번 돈 300만 원은 일정한 철밥통의 월급이 아닌 치열하게 번 돈이고 여유자금 같은 것은 없으며 잘못하면 원금 2천 만 원까지 날아갈 수 있는 불안한 돈이기 때문이다.

차라리 주유소 아르바이트를 뛰고 저녁에는 대리운전을 해서 400만 원을 벌고 매달 300만 원씩의 생활비를 쓰며 100만 원을 앞으로 오를 유망한 주식에 묻어두는 편이 부자가 될 확률이 높다.

주식은 주택, 상가 등과 같이 지속적으로 관리가 필요하지 않다.

물론 유망한 주식을 사야지 잡주를 사면 오래두면 오래 둘수록 상장폐지 가능성만 커지는 것이다. 

그렇게 한다면 비로소 소작농에서 탈출하여 부자가 되는 길을 가는 것이다.

상가투자자도 소작농이다.

남는 돈을 토지나 주식과 같은 곳에 관리가 필요하지 않고 묻어두고 잊어버릴만큼 안전한 투자처에 투자하지 않는다면 그도 매월 0에 수렴하는 소작농이다.

소작농이 될 것인가?

공무원이 될 것인가?

자신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자.

혹시 자신이 소작농인데 부자가 될 수 있다고 착각하지 말고 말이다.

부자가 되는 첫걸음은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데서 시작한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반드시 올 미래에  투자하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