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두루마리형 TV패널 나왔다

 두루마리형 TV패널 나왔다


LGD, 2년전 18인치 공개 이어 65인치 롤러블 디스플레이 선보여 LG디스플레이가 TV 화면으로 쓸 수 있는 롤러블(rollable·두루마리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롤러블 패널은 화면을 돌돌 말 수 있어 상황에 따라 화면 크기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

LG디스플레이는 9일(현지시간)부터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전자쇼 ‘CES 2018’에 65인치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전시한다고 7일 밝혔다.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제품으로 초고해상도(UHD)급 화질을 지원한다. 
    

  LG디스플레이는 TV를 시청하지 않을 때 패널 일부를 말아 화면을 줄인 뒤 시계, 달력 등으로 활용하는 기술을 CES에 선보일 예정이다. 사용 목적에 맞게 화면 크기와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화면을 모두 말아 보관함에 저장한 뒤 TV 화면이 설치됐던 공간을 다른 목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LG디스플레이 관계자는 “화면을 말면 이동 및 설치가 쉬워진다”며 “천장에 돌돌 말려 있던 스크린이 내려와 TV가 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일자리 생색 내는 동안 가슴만 졸였던 LGD의 5개월 


  TV에 쓸 수 있는 대형 롤러블 패널이 공개되는 것은 처음이다. 앞서 LG디스플레이는 2016년 CES에서 18인치 롤러블 패널을 선보인 바 있다. 당시 HD급이던 화질은 올해 UHD급으로 2년 만에 16배 개선됐다.

   LG디스플레이는 이번 전시회에서 88인치 8K급 초고화질 올레드 패널도 공개할 계획이다. 8K 영상은 UHD급보다 네 배나 선명한 7680×4320 해상도를 구현한다. 그동안 올레드 패널은 기술적으로 80인치급 이상 대형 제품이나 8K급 고화질 제품을 생산하기가 어렵다는 인식을 불식시킨 것이다.
 
이 밖에 LG디스플레이는 화면에서 소리가 나는 ‘크리스털 사운드’ 기술을 적용한 LCD 패널도 CES에서 공개한다. 패널에 스피커를 따로 달 필요가 없어 ‘종이 한 장’ 같은 패널로 TV 화면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이다. 

라스베이거스=송형석/좌동욱 기자 leftking@hankyung.com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10733651

두루마리형이란 둘둘말아도 되는 플렉시블 패널을 썼다는 얘기다.

이것에 대한 장점은 휘는 것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그것은 굉장한 장점이다.


가우디가 얘기했다.

직선은 사람이 만든 것이고 곡선은 신이 만든 것이다.

그래서 가우디의 건축물은 직선이 없고 곡선만 있다.

곡선이 많아야 아름답다.


초기형 자동차 브랜드 중에 각그랜져라고 있다.

각그랜져에 비해 현재의 현대차 브랜드는 굉장히 유선형으로 바뀌었다.

그렇다면 왜 유선형으로 바뀌었을까?

사람들은 공기의 저항이 어쩌구 저쩌구 한다.

그러나 사실은 유선형으로 만들어야 잘 팔리기 때문이다.

그리고 세계적인 자동차 브랜드 모두 유선형이다.

그러니 유선형으로 만드는 것이 판매에 유리하다.

즉 사람들은 직선보다는 유선형을 아름답게 생각한다.


유선형으로 만들려면 휘어져야 한다.

그러면 안 되는 것이 있다.

유리다.

유리는 휠수는 있지만 그러려면 미리 휘도록 가공을 해야 한다.

즉 대량생산이 불가능하다.

TV처럼 아예 대량생산을 할 때는 휘어서 대량으로 생산하면 되지만 웬만한 모든 것들은 이렇게 하면 시간과 돈이 많이 들어간다.

그러니 좋은 것은 휘어지는 성질의 필름으로 디스플레이를 대체하는 것이 좋다.

그래서 이런 휘어지는 디스플레이가 앞으로의 대세가 될 것이다.


이것이 미래의 방향이다.

우리는 큰 방향만 보고 투자하면 된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전기차 vs 수소차… 친환경차 패권 격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