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시름 깊어지는 신흥국 채권 투자자들

시름 깊어지는 신흥국 채권 투자자들


                        작년 4조 팔린 브라질 채권, 석 달 새 12% 손실

브라질·멕시코·러시아 채권, 원화 강세로 수익률 악화
정치 불확실성도 하락 부추겨 

미국 감세안에 멕시코 채권 '타격' 
"환 변동성 높아져 투자 신중해야"                                                            브라질 멕시코 러시아 인도네시아 등 신흥국 채권 투자자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고수익 상품으로 지난해 큰 관심을 모았으나 최근 3개월 동안 가파른 원화가치 상승으로 환 손실이 불어나고 있어서다. 일부 신흥국의 경우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현지 통화 기준 가격마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브라질 채권 12% 손실 

7일 대신증권에 따르면 10년 만기 브라질 국채를 보유한 국내 투자자들은 지난해 10월10일부터 지난 4일까지 3개월 동안에만 원화 환산 11.99% 평가손실을 인식했다. 이 기간 투자 원금의 5% 안팎을 이자로 챙겼다고 계산하더라도 7% 수준의 손해를 본 셈이다. 1년에 채권 액면금액(만기상환 원금)의 10% 수준 이자를 6개월 간격으로 지급하는 브라질 국채의 최근 1년 투자수익률은 5.68%(이자수입 포함)다. 


브라질 채권 투자 성과가 급작스럽게 나빠진 원인은 원화 강세다. 지난해 10월10일 헤알당 359원이었던 원·헤알 환율은 5일 328원으로 8.63% 떨어졌다. 브라질 경제가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지만 원화가치의 상승 속도가 워낙 빨랐기 때문이다. 원·달러 환율도 지난해 4분기에만 7.93% 하락했다. 작년 달러화 대비 원화가치 상승률은 한국은행이 집계한 주요 42개국 통화 가운데 체코 폴란드 헝가리 덴마크에 이어 다섯 번째로 높았다.

미셰우 테메르 브라질 대통령의 지지 기반 약화로 기대했던 연금 개혁안 통과 가능성이 낮아진 것도 현지 채권금리 상승(채권 가격 하락)을 야기했다. 김윤진 한국투자신탁운용 해외채권운용팀장은 “공무원연금 지급 등으로 막대한 재정적자를 보고 있지만 현 정권에선 개혁이 쉽지 않은 분위기”라며 “올 10월 대통령 선거 이후 다시 연금개혁 시도가 나오겠지만 어떤 정권이 들어서느냐에 따라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작년 국내 증권사들의 브라질 채권 판매액은 사상 최대였다. 국내 주요 7개 증권사(미래에셋대우 삼성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한국투자증권 신한금융투자 하나금융투자)의 판매액만 4조895억원에 달했다.

◆멕시코 채권은 ‘트럼프 쇼크’ 

지난해 국내 증권사들이 약 300억원어치를 판매한 멕시코 국채 상품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작년 10월10일 이후 이달 4일까지 투자수익률이 -12.68%를 나타냈다. 멕시코 국채 이자는 액면금액의 7% 안팎으로 브라질보다 다소 낮은 편이다. 

멕시코 국채 투자 손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의 감세안이 상·하원 표결 절차에 돌입한 작년 12월 두드러졌다. 멕시코 페소화가 급락(원화가치 상승)하고 채권 금리가 급등했기 때문이다. 작년 10월10일 61원이었던 원·페소 환율은 5일 54원 수준으로 하락했다. 미국 감세안이 본격 시행되면 그동안 멕시코로 흘러들어오던 투자자금 일부가 미국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 결과다. 강현구 KB증권 연구원은 “미국이 법인세율을 대폭 인하(35%→21%)하면서 미국 기업들의 멕시코 투자 유인이 줄었다”며 “미국의 영향을 많이 받는 멕시코 금융시장이 단기간에 안정을 찾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기준금리를 연 10%에서 연 7.75%까지 낮춘 러시아 국채도 현지 통화 기준 채권가치는 올랐으나 환 손실 탓에 최근 석 달 투자수익률 기준 4.27% 손실을 나타냈다.

전문가들은 환 변동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현지 통화 채권 투자에 신중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김 팀장은 “원·달러 환율이 1000원대 중반 또는 그 이하에서 장기간 머무는 상황이 고착화할 가능성이 높다”며 “막연히 환율이 1100원 아래로 떨어졌으니 환 변동에 노출된 상품이 낫다고 판단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
http://stock.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8010733281

신흥국 채권의 장점은 10%가 넘는 이자를 준다는 점이다.

그런데 단점은 환율이다.

우리나라와 같이 환율이 움직일 때는 괜찮으나 우리나라가 원화강세라도 되고 그 나라 돈이 절하 된다면 최악의 경우가 된다.

게다가 혹시 신흥국 채권국이 디폴트라도 되면 돈 받을 길이 막막해진다.

물론 나중에 디스카운트 해서 원금정도 건질 가능성도 있지만 사실상 몇 년간의 원금손실이 있을 수도 있는 것이다.


신흥국 중 채권 금리가 높은 나라는 그만큼 위험하다는 뜻이기도 하다.


러시아, 브라질, 몽골 등이 높다.

의외로 베트남과 같은 나라는 5%대로 별로 높지도 않고 채권을 사려면 까다롭게 외환신고 하고 그나라 왔다 갔다 해야 한다.

여간 귀찮은게 아니라서 브라질같이 우리나라 금융기관에서 신청이 가능하고 절차도 복잡하지 않은데다가 채권에 대한 조세 협정 때문에 이자소득에 대해서도 면제가 되니 많이 채권을 산 것 같은데 이래저래 손해다.


정권도 잘 봐야 할 것 같다.

우리나라나 외국이나 말이다.


해외주식이야 어차피 찾지 않는다면 지금처럼 달러가치가 낮을 때 환율이득을 보니 얼마나 땡큐인지 모른다.

게다가 주식이 활황이니 채권투자자들은 속 깨나 쓰릴 것 같다.


주식과 채권은 반비례라는데 구체적으로 그런 증거는 없다.


어느때는 비슷하고 어느때는 반비례이고 그렇다.


그러나 통념상 주식은 위험자산이고 채권은 안전자산이라는 경향이 강하다.

그래서 주식시장이 좋을 때는 채권을 빼서 주식에 집어넣고 주식이 안 좋을 때는 주식에서 돈을 빼서 채권에 집어넣기 때문에 그런 것 같다.


요즘같이 주식시장이 좋을 때는 채권에서 돈을 빼려 하기 때문에 채권의 가격이 떨어진다.

채권을 팔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주식이 더 호황이 될수록 채권의 가격은 더 빠진다.

그리고 채권은 0.5%에도 엄청나게 흔들린다.

왜냐하면 0.5% 그러면 아무것도 아닌 이자율 같은데 사실 채권을 주로 사는 것은 기관이나 연기금과 같이 크게 돈을 움직이는 기관들이다.

게다가 채권은 10년 만기 채권이기 때문에 0.5%가 아니라 10년을 곱해야 한다.

그러므로 5%가 된다.

그리고 얘네들이 레버리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4배 정도는 기본적으로 레버리지를 일으킨다.

그러니 4배 X 5% = 20%가 된다.

0.5%가 그냥 0.5%가 아니라 앉아서 미국채권과 같은 것을 들고 있을 때 20%를 먹는 것이다.

그러니 금융위기 이후로 더 채권으로 자금이 몰렸던 것이 이러한 이유이다.

가만 앉아있어도 20%를 먹는데 왜 주식시장에 발을 담그나?

그러나 요즘같이 주식시장이 좋을 때는 채권에 투자하면 손해다.

지속적으로 돈을 빼서 주식으로 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지금은 주식을 할 때라는 것이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