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의전원, 문턱 높아지자…약전원, 문전성시

JD 부자연구소 | 의전원, 문턱 높아지자…약전원, 문전성시 - Daum 카페                                                         

의전원, 문턱 높아지자…약전원, 문전성시

의전원 입학정원 확 줄어 
약전원 지원자 사상 최대 
변리사 시험 응시도 급증                

기사 이미지 보기

Getty Images Bank

올해 약학전문대학원(약전원) 지원자 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변리사 시험 지원자도 작년보다 300명가량 늘었다. 이공계 대학 졸업자의 전문직 선호 현상이 여전한 데다 의학전문대학원(의전원) 정원이 급격히 줄면서 ‘풍선 효과’가 나타났다는 분석도 나온다.

7일 특허청에 따르면 2017년 변리사 1차 시험 신청자는 약 3900명으로 작년(3569명)보다 증가했다. 변리사 자격증 지원자는 2010년 4122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15년까지 5년 연속 줄어들다가 작년부터 반등세로 돌아섰다. 약전원 입학 경쟁률도 매년 치열해지고 있다. 올해 지원자 수가 1만6127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작년(1만5599명)보다 400여명 증가한 수치다.

이공계 대학 졸업생들이 의전원 정원 감소로 다른 ‘사(師)자’ 자격증 따기에 매달린 결과라는 게 입시 전문기관의 분석이다. 의전원 정원은 2010년만 해도 1643명에 달했으나 올해는 93명으로 쪼그라들었다. 작년 정시모집에서 16개 대학이 509명을 뽑은 것보다 400명 가까이 줄었다. 의전원을 유지하고 있는 대학도 차의과학대, 제주대, 강원대, 동국대, 건국대 등 다섯 곳에 불과하다.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3학년에 재학 중인 A씨(25)는 “의전원 진학을 희망하다가 변리사 시험 준비로 진로를 돌린 후배들이 최근 늘었다”며 “진로가 불투명해 여전히 전문직을 선호하는 편”이라고 말했다. 

사정이 이렇자 대학원들은 연구 인력 유치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홍대식 연세대 공대 학장은 “불황으로 이공계 대학원 진학률이 떨어지고 있다”며 “국방부의 이공계 병역 특례 폐지 방침으로 대학원 진학이 더 줄어들 전망이라 해결책을 고심 중”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의전원 폐지가 당초 기대했던 효과를 못 내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교육부는 의전원 폐지를 유도하면서 이유 중 하나로 ‘우수 인력 의전원 쏠림 방지’를 내세웠다. 의전원을 준비하다가 작년부터 로스쿨을 준비하기 시작한 B씨(27·연세대 생명공학과 졸)는 “장학금을 줄 테니 대학원에 오라는 교수도 있었지만 교수가 될지 불투명한 상황에서 연구직을 택하기는 쉽지 않은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7020797651

앞의 기사와 일맥상통하는 기사다.

우리가 여기서 생각해봐야 할 것이 있다.

시험은 과연 공정히 치러지는가? 이다.

요즘 하이닉스가 잘 나간다.

그런데 하이닉스 사람 뽑을 때 연고대도 안 뽑고 서울대만 뽑는다는 소식이 있다.

물론 하이닉스 다니는 사람을 통한 얘기다.

100%라고 말하지는 못하지만 그렇다고 부정도 못하겠다.

인사 전문가가 나와서 하는 말이 있다.

중요한 것은 학점과 학벌이다.

그런데 학점은 3.0 정도면 된단다.

4.5 즉 만점에 가깝다면 오히려 마이너스란다.

그렇다고 2대는 불리하다고 한다.

3.0 이상이 무슨 점수인가?

그냥 레포트 열심히 내고 시험 보면 나오는 점수 아닌가?

학교에서 빡시게 누가 그렇게 학점 타이트하게 보나?

그렇게 보다가 취업 안 되면 교수 책임질건가?

그러니 절대적으로 취업에 영향을 주는 것은 학벌이라는 얘기다.

학벌은 뭐고 학력은 뭔가?

학벌은 스카이 서성한 중경외시 뭐 이런 것 말이다.

학력은 뭔가?

고졸<대졸<대학원졸<박사 이런 것이다.

많이 배웠느냐? 이것의 개념이 학력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무리 학력이 높아도 학벌 높은 학사한테 안 된다.

물론 과도 어느 정도 필요는 하다.

로스쿨 시험을 본다고 학벌이 안 좋은 사람이 준비하는데 사실 좀 힘들다고 봐야 한다.

시험도 어느 정도 중요하지만 면접에서 당락을 좌우한다.

그런데 시험을 보고 정확하게 왜 떨어졌는지를 알려주지 않는다.

그런데 강원대 로스쿨은 정말 강원대 애들을 뽑을까?에 대한 의문이다.

혹시 서울대 연고대 애들 뽑지 않을까?

그렇다고 봐야 한다.

그들의 입학 졸업생의 출신 대학을 보면 어느정도 알 수 있다.

약사과정도 다르리라고 보지 않는다.

100% 시험만 본다면 어느정도 신뢰가 되지만 면접 점수가 있다면 같은 값이면 좀 더 학벌 좋은 애를 뽑고 싶은 게 교수 마음 아닌가?

내가 이 얘기를 하는 것은 고등학교 때 놀고 대학 때 열심히 공부해도 사회시스템이 그렇게 가버리면 결국 계란으로 바위치는 결과가 나타나는 것이 아닌가 하는 것이다.

그럼 학벌이 떨어지면 어떻게 하는가?

열심히 노력해봐야 하지만 그런 노력을 몇 년씩 하느니 차라리 공무원 시험을 보는 것이 더 공정한 시험에 응시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학벌세탁을 해보는 것도 괜찮다.

학사편입.

중간에 편입하는 것 말고 대학 다 졸업하고 다시 3학년으로 편입하는 것 말이다.

학사편입은 유명대학교도 그렇게 높지 않다.

학벌 세탁을 하고 대기업에 입사하면 되지 않나?

2년 더 버리는 것인데 사실 평생 100살을 사는데 있어서 2년은 아무것도 아니지 않나?

아무도 학사편입을 안 하니 학사편입이 더 낫다고 본다.

만약 학원선생 할 거면 무조건 해야 한다.

그리고 한양대 같은 경우는 전과제도가 있다.

전과가 어렵지 않다.

문과에서 이과로도 간다.

전과는 아예 처음 입학한 과가 나오지 않는다.

자세히 말하는것 보다는 찾아보면 알게 될 것이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411명 뽑는 대한변협 대의원 선거, 로스쿨 출신 19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