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亞증시 낙관론' 펼치던 골드만삭스마저…

 '亞증시 낙관론' 펼치던 골드만삭스마저…


글로벌 증권사 '경계령' 확산 
 
 "亞, 무역분쟁·强달러에 취약" 
 주가지수 목표치 하향조정 
 
 모건스탠리도 "약세장 올 것"  외국계 증권사들이 잇달아 ‘아시아 증시 경계령’을 내리고 있다. 오랫동안 아시아 시장에 낙관론을 펴왔던 골드만삭스조차 지수  목표치를 하향 조정했다. 미·중 무역분쟁과 글로벌 경기 둔화, 강달러 등에 가장 큰 영향을 받을 지역이 아시아라는 이유에서다.      

      골드만삭스는 지난 21일 아시아·태평양 전략 보고서를 통해 ‘MSCI(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 아시아·태평양(일본  제외)지수’의 12개월 목표치를 640에서 625로 내렸다. 이 지수는 외국계 기관투자가가 아시아 지역에 투자할 때 가장 많이  참고하는 지수다. 국가별 비중은 중국(29.32%), 호주(17.28%), 한국(14.19%), 대만(10.76%),  홍콩(9.52%) 순이다.

현재 MSCI 아시아·태평양(일본 제외)지수는 548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골드만삭스가 내린 목표치까지 14%가량 더 오를 여지가 있지만 투자자들은 골드만삭스가 아시아 시장에 대한 시각을 바꿨다는 데  주목하고 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골드만삭스는 오랫동안 아시아 증시 낙관론을 펴왔다”며 “아시아 증시 조정이 생각보다 길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해 낙관론에서 한 발 물러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골드만삭스는 지난 4월 보고서에선 아시아 국가들의 기초  체력이 튼튼하고 기업 이익 증가세가 견조하다며 MSCI 아시아·태평양(일본 제외)지수 목표치를 630에서 640으로 올렸었다.  

  "사기다" vs "그건 오만한 생각"… 美 CEO들 사이에서 엇갈리는 비트코인 전망  


    모건스탠리도 20일 아시아 증시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조너선 가너 모건스탠리 아시아·태평양시장 수석전략가는 “무역분쟁과 글로벌  통화정책 정상화 등으로 거시경제 환경이 악화되고 있다”며 “아시아 시장이 곧 약세장(베어마켓)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모건스탠리 기준으로 약세장은 연중 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하는 것을 말한다. UBS도 최근 “무역분쟁이 본격화되면  아시아 증시가 연중 고점 대비 30% 이상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글로벌 공급망의 핵심 지역인 까닭에  아시아 국가들은 미·중 무역분쟁에 가장 취약한 곳으로 꼽힌다. 주식 시장도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 2주간 세계 증시에서 시가총액이 2조1000억달러(약 2325조원) 증발했는데, 아시아 증시가 약 75%를 차지했다.
22일  코스피지수가 19.39포인트(0.83%) 오른 2357.22로 마감하며 반등에 성공했지만, 다른 아시아 증시는 혼조세로 거래를  마치며 아직 먹구름이 짙게 껴 있는 모습을 보였다. 일본 닛케이255지수는 0.78%, 대만 자취안지수는 0.38% 하락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49%, 홍콩 항셍지수는 0.14% 오르며 마감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62254941      

아니 오른적이 있어야 떨어지지.

오른 적이 없는데 앞으로 30%나 떨어진다고?


미국과의 무역전쟁에서 미국에 상품 수출하는 패러다임이 미국내 공장내 자급자족으로 바뀐 것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그런 흐름을 모르면 그냥 중국, 한국이 좋아질 것이라 생각한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중국, 한국, 일본 기업이 망한다는 얘기가 아니라 이들기업의 공장이 미국내로 이동을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니 일자리 및 경기 활성화는 미국이 더 활발해 진다는 얘기다.

그러니 주가는 선제적으로 반응하니 아시아 증시가 전체적으로 빠지는 것이다.


이러한 흐름은 중요해서 1995년 WTO이후 이어진 GVC(글로벌 밸류체인)이 바뀌는 것은 아닌가 하는 것이다.

즉 후진국은 생산해서 선진국에 수출하면 선진국은 달러를 내려주는 구조 말이다.

그래서 후진국은 생산을 담당하는데 토지와 값싼 노동력을 제공하고 선진국은 기술과 자본을 대는 글로벌 분업구조의 변화 말이다.

이러한 변화는 선진국이 일자리를 후진국에 빼앗기며 실업이 늘어난 현상 때문이다.

그러면 지금까지는 골고루 세계가 발전하는 모양에서 선진국만 더 발전하고 후진국은 완전히 실업과 빈곤이 고착화되는 구조가 되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즉 세계의 국가들 사이에서도 빈익빈 부익부가 심화되는 양극화가 진행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가 유엔사무총장이 아니니 이런 문제는 국제기구에 맡겨두자.

어차피 그런 일 하라고 뽑아 놓고 돈 많이 주는 것 아닌가?

그래도 그 놈 계속 미국편 들라나?

돈 주는 놈이 미국이니 말이다.


그래서 우리는 이러한 흐름을 읽고 과거의 세계화 흐름에서 빠져 나와 선진국에 더 투자하는 지혜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징조는 주가에서 나타난다.

안정적으로 오르는 놈들은 현재 모두 미국주식이고 가끔가다 중국, 유럽, 일본의 주식이 있을 뿐이다.

주가가 경제의 흐름을 반영한다고 봤을 때 우리는 현재 미국에 투자하는 것이 맞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거듭된 악재에… 스타벅스 '수난시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