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서진영의 CEO 명심보감] [12] 워런 버핏과 개원

[서진영의 CEO 명심보감] [12] 워런 버핏과 개원절류


작년 12월 중순 주가(株價)가  주당 30만달러(약 3억3000만원)를 넘은 곳이 있다. 전 세계 상장 기업 중 최초 기록인데 워런 버핏이 경영하는 버크셔  해서웨이사(社)의 'A주' 얘기이다. 1962년 버핏이 주당 7.50달러에 사들이기 시작한 후 55년 만에 400만배 정도 상승해  세상에서 가장 비싼 주식이 된 것이다.

버핏의 성공을 보며 '순자(荀子)' 부국편(富國篇)에 나오는 '개원절류(開源節流)'를 새겨본다. '재화의 원천은 늘리고 지출은 줄인다'는 뜻으로 부를 이루기 위해 지켜야 할 원칙이다.

개원(開源·근원을  열어 늘린다)을 위해 버핏은 애플·코카콜라·질레트·아메리칸익스프레스처럼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기업들에 투자해 최근 40여 년  동안 연평균 20%가 넘는 수익률을 올려 왔다. 벤처나 위험 자산에 한 방 투자하는 것보다 작은 물줄기라도 꾸준히 흘러들어오는  안정적 수익 확보에 중점을 둔 것이다. 이는 "온 백성이 천시(天時)의 화기(和氣)를 얻고, 순서에 맞게 사업을 진행하는 게  재화의 원천"이라는 '순자'와 서로 통한다.

올해 현재 세계 4위 부자인 버핏은 '절류(節流·흐름을 절제함)'도  실천하고 있다. 미국 네브래스카주(州) 오마하시 외곽의 65만달러(약 7억원) 정도의 집에서 60년째 살고 있는 게 대표적이다.  그는 3달러짜리 패스트푸드 모닝 세트로 아침을 먹고, 12달러짜리 이발소에서 머리를 깎는다. "아버지 자동차가 너무 오래돼서  창피하다"고 딸이 얘기한 다음에야, 버핏은 8년 동안 타고 다니던 중형차(캐딜락 DTS)를 같은 급으로 교체했다.

이달  초 워런 버핏 회장과의 점심 경매(競賣)가 330만달러(약 35억5000만원)에 낙찰됐다. 버핏은 이 경매 수익금을 미국  샌프란시스코 빈민구제 단체인 클라이드 재단에 기부하고 있다. 버핏은 빌·멀린다 게이츠 재단을 통해 재산 99%의 사회 환원도  진행하고 있다. 자신의 절류(節流)를 다른 이의 개원(開源)으로 승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6/28/2018062804064.html

작년 12월 중순 주가(株價)가 주당 30만달러(약 3억3000만원)를 넘은 곳이 있다. 전 세계 상장 기업 중 최초 기록인데  워런 버핏이 경영하는 버크셔 해서웨이사(社)의 'A주' 얘기이다. 1962년 버핏이 주당 7.50달러에 사들이기 시작한 후 55년  만에 400만배 정도 상승해 세상에서 가장 비싼 주식이 된 것이다.


버크셔해서웨이 주식은 의결권이 있는 A주와 의결권이 없는 B주로 나뉜다.

A주는 기사처럼 3억 원이 넘는다.

그런데 나는 시작을 주당 10만 원으로 봤는데 아니다.

무려 7.5달러에서 시작한다.

8천원 정도 되는 돈이다.

그것이 3억 원을 넘어 400만 배가 넘는다고 한다.

워렌버핏에게 왜 액면분할(주식을 쪼개 한 주당 가격을 떨어 뜨리는 행위)을 안 하냐? 

이랬더니 워렌버핏은 액면분할은 회사의 가치를 올리는 일과는 관계가 없다고 했다.

맞는다.

그런데 여기서 워렌버핏이 하고자 액면분할을 하지 않은 이유 중 다른 이유가 또 하나 있지 않을까?


그것은 주식을 장기 보유하면 이렇게 회사의 가치가 높아질 수도 있다는 얘기다.

만약 7.5 달러 시절 1000만 원을 투자햇다면 그리고 팔지 않았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현재 400만 배가 커졌으니 40조원이다.


그러니 오르는 우량한 주식은 그냥 팔고 사지 않고 가져가는 것이 훨씬 큰 부를 이룬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사고 팔기를 반복한다.


올해 현재 세계 4위 부자인 버핏은 '절류(節流·흐름을 절제함)'도 실천하고 있다. 미국 네브래스카주(州) 오마하시 외곽의  65만달러(약 7억원) 정도의 집에서 60년째 살고 있는 게 대표적이다. 그는 3달러짜리 패스트푸드 모닝 세트로 아침을 먹고,  12달러짜리 이발소에서 머리를 깎는다. "아버지 자동차가 너무 오래돼서 창피하다"고 딸이 얘기한 다음에야, 버핏은 8년 동안 타고  다니던 중형차(캐딜락 DTS)를 같은 급으로 교체했다


워렌버핏의 검소함은 유명하다.

사람들은 저정도 부자면 더 써야지 죽을 때 싸 짊어지고 갈 것도 아닌데 이런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검소하기 때문에 부자가 된 것이다.

부자는 쓰는 돈보다 버는 돈이 더 많으면 부자가 된다.

간단하다.

그럼 저축을 하게 되고 그 저축은 플러스가 된다.

그런데 쓰자고 마음 먹으면 연봉 1억을 벌어도 마이너스 인생이다.

워렌버핏이 울프오브월스트리트의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처럼 마약하고 선상파티하며 술을 진탕 먹고 호화요트 샀다면 지금 워렌버핏이 없을지도 모른다.

원래 쓰던 가락 어디 가지 않으니 말이다.

그런사람은 처음부터 소비가 저축보다 많았을 것이다.

그러니 물질적으로만 본다면 지금 현재 한 달 소비가 저축보다 많다면 단언컨대 죽을 때까지 부자가 되지 못할 것이다.

다 쓰고 못 죽으면 억울하지 않나 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즐거움은 꼭 소비에만 있지 않다.

저축도 즐거움이 있고 더 나아가 소비보다 더한 즐거움을 찾으면 된다.

소비만이 진정한 즐거움이라고 생각하면서 벌어놓은 돈을 다 쓰고도 빚까지 내서 기필코 쓰는 사람이 있다면 늙어서 거지꼴을 못 면한다.

원래 소비를 해야 경제가 잘 돌아간다는 말은 자본가들이 임금노동자에게나 하는 말이다.

왜냐하면 그들이 소비를 해줘야 자신은 저축이 되기 때문이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미국은 "2분기 5% 이상 성장"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