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유커 따라 한국 온 中페이의 '공습'

 유커 따라 한국 온 中페이의 '공습'


알리·유니온페이 가맹점 8만곳, 서울 택시 7만여대에 탑재 시작


 중국 간편결제업체들이 한국 결제 시장을 빠른 속도로 파고들고 있다. 알리페이 위챗페이 유니온페이 등이 한국에 오는  중국인 관광객(유커)을 이용자로 끌어들이고 있다. 금융계는 중국 업체들이 향후 한국인을 대상으로도 사업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30일 금융계에 따르면 서울지역 택시 7만여  대에 중국 앤트파이낸셜(알리바바그룹 관계사)의 알리페이와 유니온페이인터내셔널(중국인롄 자회사)이 서비스하는 유니온페이의 QR코드  결제 서비스가 장착되기 시작했다. 금융계 관계자는 “두 업체가 유커의 택시비 결제 서비스를 시작했다”며 “이르면 상반기 7만여 대 전체에 알리페이가 깔릴 것”이라고 전했다.     

국내 시장에서 택시 외에도 중국 QR코드 결제가 가능한 가맹점은 빠르게 늘고 있다. 알리페이는 2015년 한국에 QR코드 결제를  도입해 현재 주요 공항과 면세점 백화점 편의점 음식점 등 5만 개 이상 가맹점을 확보했다. 사업 확대를 위해 알리페이코리아도  세웠다. 유니온페이도 지난해 2월 한국에서 QR코드 결제사업을 개시, 서울 명동 등지에서 3만1000여 개 가맹점을 확보했다.




정형권 알리페이코리아 대표는 “서비스 확대를 위해 더 많은 가맹점과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9013086531











유커 따라 한국 온 '中페이의 공습'…명동 가게 90% 알리페이 가맹점




한국 공략 나선 中간편결제업체

 알리·유니온페이 가맹점 8만곳…서울 택시 7만여대 탑재

 알리페이·유니온페이·위챗페이, 한국서 무섭게 확산
"지금은 유커만 사용…한국인으로 확대하면 큰 걱정" 
비씨·신한·롯데카드 등 토종 QR결제로 맞대응 나서







< 한국 마트서 알리페이 결제 > 중국 업체들이 한국에서 알리페이 등 간편결제사업을 빠른 속도로 확대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의 한 마트에서 중국인 관광객이 알리페이로 결제하는 모습.  /한경DB 



중국 간편결제 업체들이 한국 결제 시장을 빠른 속도로 파고들고 있다. 알리페이 위챗페이 유니온페이 등이 한국에 오는  중국인 관광객(유커)의 이용 확대를 위해 가맹점을 대폭 늘리고 있다. 금융계는 중국 업체들이 향후 한국인을 대상으로 사업을 확장할 경우 QR코드 결제시장을 중국에 내주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중국 앤트파이낸셜(알리바바그룹 관계사)의 알리페이와 유니온페이인터내셔널(중국은행연합 자회사)의 유니온페이는 서울지역 택시 7만여 대에  QR코드 결제 시스템을 장착하기 시작했다. 금융계 관계자는 “두 업체가 유커의 택시비 결제 서비스를 시작했다”며 “이르면 상반기  7만여 대 택시 전체에 알리페이가 깔릴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 페이 서비스가 한국에 진출한 것은 2015년부터다. 그해 중국 최대 온라인 쇼핑몰 알리바바에서 출발한 앤트파이낸셜이 알리페이  세계화를 추진하면서 한국에도 관련 서비스를 도입했다. 하지만 한국에선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갈등으로 사업 확대가 쉽지  않았다.       






지난해 유커의 한국 방문길이 다시 열리면서 중국 업체들의 공세가 거세졌다. 알리페이는 주요 공항과 면세점 백화점 편의점  음식점 등 5만 개 이상 가맹점을 확보했다. 사업 확대를 위해 알리페이코리아도 세웠다. 서울 명동에서 장사하는 업체의 90%가  알리페이 가맹점인 것으로 알려졌다. 유니온페이도 지난해 2월 한국에서 QR코드 결제사업을 시작해 서울 명동 등지에서 3만1000여 개 가맹점을 확보했다. 유니온페이는 지난해 5월엔 한국 사업 확장을 위해 비씨카드와 업무협약을 맺기도 했다. 알리페이 위챗페이  유니온페이 등을 모두 합치면 가맹점이 10만 곳을 웃도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업체들은 한국 식당, 관광지 등 결제 기반 시설을 확대하는 데 공을 들이고 있다. 유학생 등록금도 이들 결제서비스로 낼 수  있도록 했다. 한국 가맹점과의 협력도 강화하고 있다. 롯데백화점은 지난해 10월 중국 국경절 연휴에 알리페이로 돈을 내면  결제금액의 15%를 상품권으로 돌려주는 행사를 열기도 했다.

정형권 알리페이코리아 대표는 “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해 더 많은 가맹점과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카드회사 사장은 “중국 업체들이  지금은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결제 서비스를 하지만 대상을 한국인으로 확대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지 두렵다”고 털어놨다.




고민하는 국내 금융계

중국 페이의 영토 확장을 두고 국내 금융계의 반응은 엇갈린다. 협력을 통해 새로운 사업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 있다. 하나카드, 우리은행, 나이스정보통신, KG이니시스, 다날 등이 위챗페이 국내 사업자로 활동하는 게 대표적인 예다. 글로벌 간편결제 시장 주도권을 중국에 완전히 넘겨주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당장은 중국 페이가 해외를 방문한 중국인에게만 사용이  한정되지만, 이 경계가 무너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한 금융계 관계자는 “QR코드 등 스마트폰을 매개로 한 결제 서비스는 축적된 데이터를 통해 주변에 있는 식당이나 쇼핑몰 등을  추천하는 등 다양한 사업 확장 기회를 잡을 수 있다”며 “결제 서비스 역시 큰 그림에선 수출상품인데 견제가 필요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QR코드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결제시장 주도권을  잡기 위해 뭉친 금융회사도 있다. 비씨 신한 롯데 등 3개 카드사는 지난 7일부터 공동 간편결제 서비스인 ‘QR스캔 결제’를  시작했다. 지난해 제로페이(서울페이)를 비롯 카카오페이 페이코 등 새로운 결제서비스의 등장을 계기로 공동 대응에 나선 것이다.  삼성 KB국민 현대 우리 하나 등 5개 카드사도 동참을 검토 중이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결제 판도가 QR코드 중심으로 바뀌더라도 그 주도권을 놓쳐선 안 된다는 게 공통된 생각”이라고 말했다.

■QR코드 결제




QR은  quick response의 약자. 격자 무늬 QR코드에 결제 정보가 담겨 있다. 이용자가 스마트폰 앱(응용프로그램)에서  QR코드를 찍거나 가맹점에서 QR코드를 스캔하면 결제가 이뤄진다. 주로 사용자 은행계좌에서 판매자 은행계좌로 이체되는 방식을  취한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9013087311






한국에 알리페이와 같은 중국 페이기능의 결제시스템이 퍼지고 있다는 얘기다.




이것이 뜻하는 바는 무엇인가?




중국인 관광객 즉 유커가 세계 안 돌아 다니는 곳이 없지 않은가?


그 유커가 돈을 어마어마하게 쓰고 돌아다닌다.


그런데 그 돈을 각국에 쓰는 것이 아니라 자기들이 다시 쏙 빨아들인다면 믿겠는가?


무슨 말인가?


한국의 제주도를 원스톱 쇼핑의 천국으로 만든 이야기가 있다.


제주도에 몇 년 전 중국 관광객이 온 적이있다.


바오젠 그룹이라는 곳이다.


화장품 다단계 회사인데 이곳이 격려차원에서 3만 명 정도를 일본으로 보내 관광을 시키려고 했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센카구 열도 분쟁이 생겨 중국과 일본이 한 판 붙은 것이다.


그래서 일본으로 안 가고 한국으로 오게 되었다.


온 곳이 제주도다.


제주도에서 그럼 어딜 갔는가?


지금은 바오젠 거리라 불리우는 쇼핑 사거리엘 갔다.


그곳이 바오젠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는 이들이 그곳의 쇼핑을 무진장 해댔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곳은 이름이 나서 중국인들의 제주도 필수 관광코스가 되었다.


그럼 그 후 어떻게 되었는가?


중국인들이 하나 둘씩 가게를 샀다.


그들이 옷도 사고 화장품도 사야 하니까 말이다.


한국인들은 그 거리의 상점을 팔았다.


안 판 한국인의 상점은 중국인들 단체 관광객이 가지 않았다.


결국 중국인 소유의 거리로 바뀌었고 그 이면도로까지 전부 중국인들이 사 제꼈다.


그리고 종업원은 전부 조선족이다.


그리고 그들은 호텔, 골프장, 음식점 등 먹고 마시고 자고 노는 모든 것을을 샀다.




그럼 어떤 일이 벌어지는가?


중국 여행사에서 유커를 모집한다.


그리고 제주도로 온다.


물론 항공기는 중국 국적이다.


그리고 바오젠 거리를 비롯한 모든 중국인 소유의 건물에서 먹고 마시고 놀다 중국으로 간다.


그럼 중국인이 쓰는 모든 비용을 전부 중국인이 거둬간다.


이것이 원스톱쇼핑이다.




결국 한국에서 돈을 쓰는데 돈은 거의 모두 중국인들의 여행사, 호텔, 음식점, 골프장에서 쓰고 가는 것이다.


한국은 결국 돈 버는 것이 없다.


그런데도 한국에 중국 관광객 안 들어오면 큰일 나는줄 안다.




이러한 중국의 페이는 바로 유커의 돈을 싹쓰리 하려고 들어온 것이다.


그들이 서울에 와서 쓰고 가는 돈이 있다.


그런데 이들이 쓰는 돈을 위챗페이(텐센트), 알리페이(알리바바), 유니온페이 등으로 전부 쓰고 나면 결국 그들이 수수료를 뗀다.


중간에 있는 VAN사 등은 장사만 잘 된다면 이제 중국이 인수합병 할 것이다.




결국 중국은 이러한 결제시스템을 한국에 먼저 깔아서 성공을 본다면 눈을 일본, 미국 등으로 돌릴 것이다.


물론 처음에는 유커들만 쓰게 하면서 확장하고 그 다음은 현지인으로 발을 넓힐 것이다.




물론 이 위챗페이, 알리페이 등을 쓴다면 문제가 생긴다.


이들이 원하는 것은 쇼핑의 데이터이다.


쇼핑의 데이터를 알면 상권을 지배할 수 있고 지배한 상권으로 앱을 팔아먹을 수 있으며 컨설팅도 가능하다.




예를들면 40대 직장인이 많이 가는 음식점은 어디인가?


궁금하지 않은가?


카드 결제를 대행한 곳은 이미 알고 있다.


왜냐하면 40대 직장인은 어디선가 카드를 긁었을테고 그들이 긁은 카드내역은 온전히 카드 회사에 데이터로 쌓이고 그 쌓인 데이터가 모두 빅데이터화 되어서 내 쇼핑패턴을 죄다 알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은 아마도 이러한 알리페이, 위챗 페이를 정보를 빼내는 시스템으로 간주하고 제재를 가할 수도 있다.


마치 현재 화웨이를 때려잡는것처럼 말이다.


개인정보를 빼 내서 중국으로 가져 가는 시스템이니 말이다.


물론 처음에 앱을 깔 때 정보 동의를 했으니 문제가 없다고 중국이 얘기했겠지만 미국은 아마도 상관 안 할 것이다.




개인의 쇼핑데이터를 쌓는 자는 미래를 지배할 것이다.


쇼핑데이터를 가진자는 막강한 컨텐츠 셀렉터가 될 수 있다.


왜냐하면 내가 모르는 내 쇼핑 습관을 AI가 잘 알기 때문이다.


그래서 내가 등산용품을 많이 사는 사람이라면 더 신제품의 제휴 아웃도어 옷을 나에게 권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을 합법적으로 모으는 것이 미국의 아마존 에코, 구글 홈이 될 것이고 유커를 통해 은근히 접근하는 것이 알리바바, 텐센트일 것이다.




한국은 이런 것 개발해 봐야 구매력 파워가 없으니 세계적으로 성공하기 힘들다.


이래 저래 뜯기는 수밖에 없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中 '괌 킬러' 미사일 시험발사 장면 공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