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영표 민주 원내대표 만난 이재용 "비메모리,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
삼성전자 화성공장서 간담회
이재용 부회장 "글로벌 반도체 위기…지속적인 혁신 통해 헤쳐 나갈 것"
2030년 비메모리 1위 목표
홍영표 원내대표 "모든 분야 1등 돼…한국 경제 선도기업 역할 해달라"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오른쪽 세 번째)가 30일 경기 화성에 있는 삼성전자 반도체사업장을 찾아 이재용 부회장(맨 왼쪽)과 반도체 제품 설명을 듣고 있다. /김범준 기자 bjk07@hankyung.com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30일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인 시스템반도체와 파운드리(수탁생산)를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이 부회장은 이날 삼성전자 화성 반도체 공장을 방문한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에게 “위기의 이유를 밖에서 찾지 않겠다. 지속적인 (내부) 혁신을 통해 반드시 헤쳐나가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작년 4분기부터 시작된 메모리 반도체 가격 급락에 따른 위기를 비메모리 사업을 키워 만회하겠다는 것이다.
홍 원내대표는 이날 민주당 의원 20여 명과 함께 삼성전자 화성사업장을 방문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5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연 ‘기업인과의 대화’에서 “정부가 여러분 목소리에 더 귀를 기울이고 현장의 어려움을 신속하게 해소하는 데 힘쓰겠다”고 약속한 데 따른 후속 조치라고 민주당은 설명했다.
홍 원내대표는 “(삼성전자가) 모든 사업 분야에서 1등이 돼 한국 경제의 선도 기업 역할을 해달라”며 “동시에 기업의 사회적 역할에도 관심을 가져달라”고 주문했다. 이 부회장은 “일자리 창출은 우리 책임인 만큼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들겠다”며 “중소기업과의 상생에도 더 노력하겠다”고 화답했다.
재계는 권미혁 민주당 원내대변인이 간담회가 끝난 뒤 브리핑에서 “삼성에 반도체 투자를 위해 필요한 건의 사항을 서면으로 제출해 줄 것을 요청했다”고 말한 것에 주목하고 있다. 이번 만남을 계기로 여당이 규제 완화를 통한 ‘기업 기 살리기’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기대에서다. 삼성은 투자 확대에 필요한 애로사항을 정리해 조만간 민주당에 전달할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지역 주민의 반대로 5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서안성~고덕 송전선로 건설 문제 해법 등을 건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30년 비메모리도 1위 목표”
이 부회장은 비공개 간담회에서 삼성전자의 비메모리 사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키운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비메모리 반도체는 반도체의 두뇌 역할을 하는 중앙처리장치(CPU)와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눈 역할을 하는 이미지센서, 입과 귀 역할을 하는 통신용 반도체 등을 통칭한다. 시장 규모로 따지면 메모리 반도체 시장보다 2배가량 크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지난해 비메모리 반도체 시장 규모는 3109억달러로 메모리 시장(1658억달러)을 압도했다. 가트너는 2022년까지 메모리는 연평균 1% 성장에 그치지만 비메모리는 매년 5%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은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60% 이상을 장악하고 있지만, 비메모리 시장에선 맥을 못 추고 있다. 한국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3.4%로, 미국(63%) 유럽연합(EU·13%) 일본(11%)은 물론 중국(4%)에도 뒤진다.
업계 관계자는 “비메모리 반도체는 다양한 분야의 기술이 섞여야 하기 때문에 대기업과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간 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한국이 비메모리 시장에서도 강자가 되려면 반도체 관련 스타트업이 대거 배출될 수 있도록 전문 인력부터 양성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이 부회장이 올 들어 비메모리 반도체 사업 육성 의지를 잇따라 밝힌 것에 주목한다. 이 부회장은 15일 문 대통령과 만났을 때 “기업이 성장하려면 항상 새로운 시도를 해야 한다”며 비메모리 사업을 키우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미지센서와 차량용 반도체 등 비메모리 사업을 대폭 강화해 2030년에는 메모리에 이어 비메모리에서도 세계 1위에 오른다는 목표를 세웠다”고 말했다.
좌동욱/김소현/고재연 기자
leftking@hankyung.com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9013087211
'AI시대 총아' 엔비디아, 삼중고 시련
그래픽처리장치 매출 급락
칩셋 제조사서 반도체 오염사고
신제품 GPU 불량 문제도 지속
인공지능(AI) 시대의 총아로 주목받던 엔비디아가 ‘삼중고’를 겪고 있다. 가상화폐 열풍이 식으면서 그래픽처리장치(GPU) 매출이 급락한 데다 신제품에선 불량이 발생했다. 엔비디아 칩셋을 제조하는 대만 TSMC에서 대규모 반도체 오염사고까지 터져 GPU 공급마저 불안정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엔비디아는 지난 28일 지난해 4분기 실적 추정치를 공개했다. 매출 추정치는 22억달러(약 2조4572억원)로 기존 전망치 27억달러(약 3조148억원)보다 18.5% 줄었다. 시장에선 기존 전망치도 낮게 잡았다는 의견이 다수였는데 이보다 더욱 나빠진 것이다. 가상화폐 열기가 한창이던 2017년 4분기 매출(29억1000만달러)과 비교하면 1년 새 25%가량 감소했다. 가상화폐 채굴용 GPU 수요가 꺾이면서 매출도 급감했다.
본업인 게임용 GPU 사업도 부진했다. 엔비디아는 지난해 8월 새 GPU 제품인 ‘지포스 RTX’ 시리즈를 공개하면서 게임시장에 집중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새로 적용한 실시간 광원 추적기술(ray tracing)을 강조하면서 10년 이상 써온 브랜드인 ‘지포스 GTX’를 지포스 RTX로 바꿀 정도였다. 그러나 150만원이 넘는 높은 가격 탓에 소비자들은 RTX 시리즈를 외면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사진)는 “중국 경기 악화가 게임용 GPU 수요에 영향을 미쳤다”며 “4분기는 대단히 비정상적이고 실망스럽다”고 말했다.
여기에 공급 불안 문제가 터지면서 ‘엎친 데 덮친 격’이 됐다. 대만 현지매체인 디지타임스에 따르면 19일 파운드리업체인 TSMC의 일부 생산라인에서 최대 9만 장 규모의 반도체 웨이퍼 오염사고가 터졌다.
엔비디아는 TSMC의 주요 고객사로 RTX 시리즈를 비롯한 GPU 상당수를 TSMC에 위탁생산하고 있다. 이번에 오염된 웨이퍼도 엔비디아와 화웨이 등 주요 업체에 납품되는 제품인 것으로 전해졌다. TSMC가 해당 생산라인을 일시 가동 중단했기 때문에 추후 공급에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지난해부터 제기된 GPU 불량 문제도 완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지난해 10월부터 지포스 RTX 2080과 2070 그래픽카드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고장이 잇달아 발생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초기 제품에 문제가 있다고 시인했으나 공식적인 리콜 조치는 하지 않았다. 엔비디아코리아 관계자는 “현재는 검수를 강화해 제품에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9013085101
일단 용어부터 정리하자.
삼성전자는 앞으로 비메모리 반도체에 집중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메모리와 비메모리는 무슨 차이가 있는가?
반도체 산업은 용도에 따라 메모리 반도체와 비메모리(시스템) 반도체로 구분 할 수 있다.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메모리 반도체가 20%, 비메모리(시스템) 반도체가 80%다.
메모리 반도체의 종류인 D램과 낸드플래시에서 우리나라 반도체 회사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세계 시장 점유율의 절반을 넘게 차지하고 있으며, 비메모리(시스템) 반도체는 CPU를 만드는 인텔, 퀄컴, ARM 등의 회사가 있다.
메모리 반도체는 우리가 사용하는 많은 기기에서 볼 수 있는 DRAM, SRAM, VRAM, ROM, Flash memory 등이 있습니다. 컴퓨터는 물론이고 스마트폰, 게임기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비메모리(시스템) 반도체는 전자제품의 두뇌역할을 하는 칩으로 많이 사용 된다.
일반 컴퓨터에 쓰이는 CPU, 마이크로 컴퓨터에 사용되는 MPU(Micro Processing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로직 IC(Integrated Circuit),스마트폰에 사용되는 AP(Application Processor), 디지털카메라(DSLR)과 스마트폰 카메라에 많이 쓰이는 CMOS 이미지센서가 있다.
그런데 삼성전자가 노리는 것은 비메모리다.
즉 스마트폰의 AP(컴퓨터의 CPU의 기능보다 넓은 범위의 기능을 한다.), 차량용 반도체 등등이다.
그런데 이러한 비메모리도 비메모리지만 아마도 신경쓰는 것이 파운드리 생산이 아닌가 싶다.
왜냐하면 AP나 차량용반도체 외에는 이미 비메모리 분야 중 CMOS와 같이 삼성전기에서 이미 하고 있는 분야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압도적으로 뒤지고 있는 파운드리에서 영역을 넓히면 가능성이 있다.
그렇다면 파운드리는 무엇인가?
파운드리란 반도체 산업에서의 위탁생산 전문업체를 의미한다. 즉, 설계와 기술 개발을 배제하고 팹을 통한 반도체 생산에 치중하는, 팹리스 업체와 반대되는 개념의 업체들을 말한다. 반도체 제조회사가 설계에 따라 제조만 담당하는 파운드리 업체로 탈바꿈하는 추세의 원인은, 제조업체들이 타고난 설계능력의 한계, 그리고 기밀 유지에 민감한 반도체 업계의 특성 때문이기도 하다.
한 마디로 반도체 만드는 공장이다.
그런데 이 공장은 설계는 안 하고 그냥 물건만 찍어낸다.
이러한 공장은 기술력이 없다면 저가 출혈경쟁에 내 몰린다.
왜냐하면 나이키 신발공장을 보라.
저렴한 인건비에 기술력은 고만고만 하니 나이키는 더 싼 공장에 주문을 주기 때문에 나이키 신발 주문생산 공장은 이익률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그런데 반도체는 다르다.
왜냐하면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히려 나이키(설계 기업)보다는 신발공장(파운드리 기업)이 더 갑이다.
게다가 인텔, 엔비디아, NXP, 애플 등등이 모두 설계기업이니 파운드리를 하는 기업 중 기술력이 있는 기업은 더 갑일 수밖에 없다.
그래서 파운드리 1등이 누구인가?
대만의 TSMC다.
삼성전자는 대만의 TSMC를 앞서려고 파운드리 사업부를 키운다고 하지만 쉽지 않다.
왜냐하면 다른 설계기업들의 견제 때문이다.
견제는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사업부가 삼성전자 안에 있기 때문에 예를들어 애플의 설계도면이 삼성전자로 흘러 들어갈 수도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결국 가장 잘 나가는 것은 TSMC이고 점유율도 압도적이다.
그러나 삼성전자의 이재용 부회장이 파운드리 사업부를 키운다고 했다.
어차피 메모리쪽은 삼성전자가 갑이니 다른 분야 키워야 하지 않겠나?
대만쪽 IT쪽 IT는 지금 중국과 연결되고 있다.
자의건 타의건간에 말이다.
그래서 푸젠진화가 D램을 포기하고 파운드리로 바꾼다는 것도 파운드리 업체의 인력이 푸젠진화로 넘어간 때문이다.
TSMC뿐 아니라 UMC 등 여러 업체들이 중국으로 넘어가고 있다.
그런데 이번에 TSMC의 반도체 웨이퍼(반도체를 찍어내기 위해 화학처리를 한 동그란 원판)에 오염이 되어서 1만 장이 날아갔다고 한다.
그래서 엔비디아 주가가 무섭게 빠졌다.
왜냐하면 TSMC에 물량을 줬는데 물량 차질이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 얼마나 오염이 되었는지는 정확히 파악이 안 된다.
약 10만 장이라는 얘기다.
그런데 TSMC는 이게 처음이 아니라 작년에도 컴퓨터 바이러스 때문에 공정에 차질을 빚었다.
원인은 TSMC의 인력 중국 빼가기와 화웨이 등의 중국기업들이 주로 TSMC에 물량을 준 것이 원인이 아닐까도 생각해 본다.
요즘 CIA였다가 위키리크스에 미국 폭로하고 러시아로 망명한 스노든 영화를 보고 있는데 스노든이 공작 하는 것이 모든 사람들의 이메일, 휴대폰 등을 감청하는 것은 물론이고 우방국에도 전력 셧다운 프로그램 등을 심어 놓았다가 미국과 반대편에 서면 바로 공격 들어가는 백도어를 깔아 놓는다.
이런 상황에서 삼성전자의 이재용 부회장이 파운드리쪽을 강화하는 것은 어느정도의 정세를 읽은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