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거침없는 아마존, 주가는 '출렁'

거침없는 아마존, 주가는 '출렁'


매출 증가율 기대 못 미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이 역대 최고 수준의 분기 순이익을 발표했다. 하지만 매출 증가율이 기대에 못 미친다는 이유로 주가는 되레 떨어졌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아마존의 순이익은 분기 기준 최고 수준인 30억2700만달러(약  3조3850억원)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66% 늘어났다. 하지만 소식이 전해진 후 아마존 주가는 장외에서  종가(1718달러)보다 4.87%가량 떨어진 1635달러에 거래됐다.




주가가 떨어진 이유는 아마존 매출 증가율이 전년 동기보다 20% 늘어나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WSJ는 분기당 매출  20% 성장이 아마존에는 부진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매출이 20% 정도 늘어난 것은 2015년 1분기 이후 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작년 1분기 매출 증가율은 43%였다. WSJ는 “아마존이 이번 분기에 역대 최고 실적과 최악 실적을 동시에  발표했다”고 평가했다.

아마존이 이날 발표한 올 1분기  실적 전망치가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한 점도 아마존 주가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관측된다. 아마존은 1분기 매출 예상치를  시장이 전망한 610억달러(약 68조원)보다 적은 560억~600억달러(약 62조~67조원)로 잡았다. 올 1분기 매출은  13.6%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2001년 이후 아마존이 13%대 성장률을 기록한 적은 한 번도 없었다.


WSJ는 아마존 매출이 기대만큼 늘지 않은 이유로 최근 인도 전자상거래 규제와 유럽 시장 위축 등을 꼽았다.

정연일 기자 

neil@hankyung.com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9020173921  


간판 수출품목 13개중 9개 와르르…`수출한국` 흔들


  


올해 첫 수출 성적표가 마이너스로 나타나면서 수출 한국이 위기로 내몰리고 있다. 지난해  12월 시작된 수출쇼크는 올해도 이어졌다.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와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의 부진이 결정타다. 또한 지난해 12월 주력 품목 13개 중 10개가 수출 증가율 마이너스를 기록한 데 이어 올 들어 1월에도 9개가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수출 부진은 기업들의 투자 위축과 내수 부진을 가속화한다는 점에서 우리 경제가 경기 침체의 악순환에 빠져들었다는 경고음이 커진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특히 반도체 수출은 날개 없는 추락을 거듭하고 있다. 1월 수출이 1년 전보다 무려 23.3%나 감소한 것은 주력 반도체 제품의  가격 폭락에 따른 것이다. D램 가격은 1년 만에 36.5%나 떨어졌고 낸드플래시도 22.4%나 하락했다. 지난해 역대급  슈퍼사이클로 수출 신기록의 원동력이 됐던 반도체가 올해는 수출쇼크의 주범으로 전락한 것이다.  

1월 반도체 수출은 78억2000만달러에 그쳐 지난해 9월 사상 최고 실적인 124억3000만달러에 비하면 무려  40%나 줄어들었다. 그중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 반도체 수출액은 무려 40% 급감한 16억1000만달러에 그쳤다. 특히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추가적 가격 하락에 베팅하며 구매를 미루고 있어 당분간 반도체 가격 상승은 기대하기 힘든 실정이다.  정부는 반도체 수요가 여전한 만큼 올해 하반기에는 반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지나치게 장밋빛이란 지적이다. 

반도체와 함께 수출 폭락을 이끈 건 석유화학과 석유제품이다. 모두 국제유가와 직결되는 품목이다. 국제유가는 현재  1년 전에 비해 10.7% 떨어진 배럴당 60달러 수준이다. 고스란히 석유화학과 석유제품의 수출 감소로 이어지면서 각각 5.3%와  4.8% 줄었다. 정부는 국제유가 역시 하반기엔 반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지만 변동성이 워낙 큰 유가 특성상 현실화할지는  미지수다.  

반도체를 비롯한 주력 품목이 줄줄이 휘청이면서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 수출 한국의 기세는 온데간데없어져 버렸다. 1월 대중국 수출 증가율은 -19.1%로 지난해 11월부터 3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지난해 부진에 따른 기저효과로  선박(608.3%)과 컴퓨터(9.0%)가 중국으로 수출을 늘렸을 뿐 반도체(-40.0%), 석유제품(-36.4%),  석유화학(-36.4%), 일반기계(-14.9%) 등이 모두 나가떨어졌다. 더 큰 문제는 중국 경기가 당분간 반전의 계기를 마련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중국 시장은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2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할 만큼 위축된 상황이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중국 경제의 추락이 이제 시작이라는 게 문제"라며 "한국산에 대한 수요는 계속  줄어들 것이고 경제가 어려워진 중국 정부의 보호무역주의가 더욱 강화될 것이기 때문에 대중 수출은 하반기에도 개선되기 힘들다"고  전망했다.  

반면 지난해 죽을 쒔던 자동차 수출은 12월(27.0%), 1월(13.4%) 두 달 연속 살아나고 있다. 최대  시장인 미국과 유럽연합(EU)에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수출이 호조를 보인 덕택이다. 자동차와 함께 자동차부품, 일반기계  등이 수출에 박차를 가하면서 반도체 부진을 메워줄 유일한 `우군`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역부족인 게 현실이다. 특히 이날부터  EU·일본 경제동반자협정(EPA)이 발효되면서 미국과 함께 최대 시장 중 하나인 EU에서 일본 차와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해졌다.  설상가상으로 올 한 해 최대 통상 리스크라는 미국 무역확장법 232조의 최종 결론이 임박한 상황이다. 최악의 경우 25%의 관세  폭탄을 맞을 수 있어 자동차업계는 물론 수출 당국도 전전긍긍하고 있다.  

홍성일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정책팀장은 "미·중 무역갈등과 유가 하락에 자동차에 대한 무역확장법 232조, 노딜  브렉시트 등 통상 여건까지 결코 우호적이지 않은 상황"이라며 "대외 여건 악화는 수출에 절대적으로 불리하지만 손쓸 수 있는 방법이 사실상 없다"고 우려했다. 일각에선 최악의 경우 올해 연간 수출 증가율마저 마이너스로 돌아설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처럼 반도체와 중국 시장에 절대적으로 의존해 온 한국 수출의 허약한 구조가 `부메랑`으로 돌아오면서 한국 경제를  이끌던 수출주도성장에도 작지 않은 균열이 생겼다. 정부는 다음달 전 부처를 망라한 수출 지원 대책을 내놓는 등 총력전을 펼  계획이지만 글로벌 경기 둔화와 유가 하락이라는 대외 변수에 뾰족한 수가 없는 실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수출입 동향을 발표하면서 기존에 없던 플라스틱, 정밀화학원료, 가구 등 `히든 수출 품목`의 수출 성장세를 강조하는 `고육지책`까지 쓰고 있다.    

[임성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9&no=69416    





지금 상황은 어떤 상황인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작년 초와 반대의 상황이다.




작년 초에는 어땠나?


기업의 실적은 좋았다.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등등


그러나 Fed에서 금리를 올리기 시작했다.


그러니 금융상황은 안 좋았다.




올해 초는 어떤 상황인가?


기업의 실적은 안 좋다.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등등


그러나 Fed에서 금리를 동결하거나 양적완화 축소를 그만둔다고 했다.


그러니 금융상황은 안 좋았다.




12월까지 떨어지던 주식시장이 올 초에 Fed의장 파월이 금리 더 이상 안 올린다고 하고 선언하고 좋아졌다.




그렇다면 오를 것인가?


떨어질 것인가?




그것은 신만이 아는 영역이다.


그러나 예전부터 금융정책이 완화 쪽으로 가면 즉 돈을 풀거나 금리를 내리거나 하면 시장은 좋아졌다.


왜냐하면 그 전에 증시가 박살이 나서다.


2008년 금융위기 전에는 금리를 올리고 있었다.


과열이라서


2008 금융위기가 터지고 금리를 파격적으로 내리고 양적완화를 했다.


그러면서 2009년도 바닥을 찍고 오르기 시작해서 10년 호황이 왔다.




Fed에서 어쩌면 간을 본 것일 수 있다.


작년에 얼마나 더 올려야 시장이 발작을 할 것인가?


지금 현재 수준의 금리가 발작할 상황이라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앞으로는 안 올리겠다고 선언 한 것은 아니지만 대체로 분위기가 그렇다.




결국 금융의 상황이 경기상황보다 더 주가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쉽게 말하면 금융이 완화적으로 갔을 때 항상 주가는 올랐다는 얘기다.


그렇다고 무조건 오른다는 뜻은 아니다.


미국은 그럴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7월, 10월까지 오를 수 있다.


다만 1등이 정해지지 않았다.


지금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구글 4파전이다.


모두 800조 정도 언저리에서 움직인다.


현재 1등은 아마존이다.




다음주에 구글이 실적발표가 나고 어느정도 시장이 움직이면 그제서야 1등의 윤곽이 그려지려나?


그렇다면 사는 것이 좋은가?


나는 일단 사보고 떨어지면 팔면 된다고 생각한다.


어닝서프라이즈 한 주식도 사보고 -3%룰에 맞춰서 해봐도 될 것 같다.


이미 -3%의 끝자락에 와있다.


월요일이 2월 4일이니 말이다.




미국 시장에 비해 한국시장은 암울하다.


왜냐하면 미국시장은 이렇게 실적이 떨어지면 금융정책을 쓰면 된다.


그럼 주가 부양이 된다.




그런데 한국은 답이 없다.


실적이 안 좋으면 그냥 주가는 떨어지고 미래 전망이 안 좋아도 떨어진다.


그리고 미국장이 좋아야 그나마 올라간다.


천수답이다.


그러니 어려워도 이렇게 어려운 주식시장이 없다.


장기투자할 종목도 없는데다가 부양책도 없는 형편이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도시살롱] 공간 제약 없이 공간을 즐기는 삶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