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금융위기 후 美 최대규모 '은행 합병'…규제 풀자 M

금융위기 후 美 최대규모 '은행 합병'…규제 풀자 M&A 불 붙었다


BB&T, 선트러스트 전격 인수

美 6위 대형은행으로 재탄생
BoA의 메릴린치 합병 규모 추월

 지난해 도드프랭크법 족쇄 풀려
PNC·US뱅크 등 빅딜 줄 서


 미국 남동부에 기반을 둔 BB&T와 선트러스트가 합병해 미국 6위 은행으로 재탄생한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이뤄진 최대 규모의 금융사 인수합병(M&A)이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도드프랭크법 등 금융규제를 완화한 데 데 따른 것으로 은행 M&A가 활발해질 것이란 관측이다.

BB&T와 선트러스트는 7일(현지시간) 연내 주식 교환을 통해 합병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자산 2257억달러(약 253조7000억원)인  BB&T(본사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가 자산 2155억달러를 가진 선트러스트(본사 조지아주 애틀랜타)를 인수하는 방식이다.        



오는 4분기 합병이 마무리되면 자산 4420억달러, 예금 3240억달러(약 365조원) 규모의 은행이 생겨난다. 뉴욕타임스는 JP모간체이스, 웰스파고, 뱅크오브아메리카, 씨티, US뱅크 등과 경쟁할 수 있는 남동부의 대형 은행이 될 것으로  평가했다. 2004년 JP모간이 뱅크원을 인수한 이후 최대 규모의 금융권 M&A다. 2008년 뱅크오브아메리카의 메릴린치  합병보다 약간 더 크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도드프랭크법 등 규제 강화로 M&A가 뜸했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규제를 완화하고 있어 앞으로  금융권 M&A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도 “그동안 규제에 막힐 것을 우려해 대형 M&A를  주저해온 미 금융권 자세 전환의 시발점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미국 지방은행들은 강력한 규제 탓에 주택대출 등의 영업을 공격적으로 하기 어려웠다. 또 준법경영 비용 증가로 어려움을 겪어왔다. 몸집을 키우면 더 많은 규제를 받기 때문에 M&A도 쉽지 않았다.

이에 미 의회는 지난해 도드프랭크법을 개정해 미 중앙은행(Fed)의 자산건전성 점검(스트레스테스트) 대상 은행을 자산 500억달러  이상에서 2500억달러 이상으로 높였다. Fed도 자산 500억달러가 넘는 모든 은행에 가해온 규제를 자산 규모별로 차별화했다. 또 강력한 규제가 적용되는 초대형 은행 선정 기준도 자산 7000억달러, 혹은 외환 포지션 750억달러로 상향했다. 자산  2500억달러 이하 은행에 대한 규제를 대폭 완화한 것이다. 자산 2500억달러를 넘는 은행은 단 9개뿐이다.

BB&T와 선트러스트는 각각 자산이 2500억달러에 육박해 조금 더 성장하면 엄격한 규제를 받게 될 처지였다. 이에 합병을 통해 몸집을  키우고 회계, 준법 등 백오피스(경영 지원) 비용을 줄이기로 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게다가 은행은 고객들이 온라인으로  옮겨가면서 디지털뱅킹 등 기술 투자 확대가 절실하다.




월스트리트저널은  PNC, US뱅크 등도 다른 은행을 합병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뉴욕의 금융서비스회사인 킵브루옛앤드우즈의 톰 미쇼드  최고경영자(CEO)는 “지난해 강력한 규제를 받는 은행의 자산 규모가 500억달러에서 2500억달러로 증가하면서 많은 은행이  M&A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뉴욕=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9020813751







투자은행들이 전세계 시장을 돌아다니며 양털깎이를 하는 것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


바로 닉슨이 브레튼우즈 체제의 근간인 금본위제를 해체하면서부터였다.




그전까지는 달러는 금과 연동되었기 때문에 금을 쟁여놓고 달러를 발행하니 달러가 과잉공급될 일이 없었다.


그러나 금본위제를 포기한 후에는 금과 연동이 안 되고 미 연준에서 얼마든지 달러를 발행하면 발행할 수 있으니 세계의 금보다 더 많은 금 즉 부(富)를 보유한 국가가 된 것이다.


생각을 해보자.


돈이란 무엇인가?


바로 미래에 대한 교환 가치이다.


돈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못 사는 것이 거의 없는 교환 가치의 최고봉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교환가치는 한국의 원화도 일본의 엔화도 중국의 위안화도 아닌 달러화이다.


달러는 세계의 모든 상품이나 서비스 중 못 사는 것이 없으니 말이다.


한국의 원화는 사우디의 석유를 결제 못하지 않는가?


달러가 있어야 가능하다는 얘기다.


그런데 그 달러를 가진 미국이 달러를 그냥 뒀을까?


아니다 통화팽창을 통해 세계의 부와 미국의 부를 동시에 늘렸다.


세계의 돈은 달러이다.


그런데 달러는 미국만이 홀로 찍는다.


그런데 달러는 세계의 모든 국가들이 나눠 갖는다.


그러니 미국의 달러는 하이퍼인플레이션이 일어나기 힘든 구조이다.


여러나라가 그렇게 분산해서 가지니 말이다.


그런데 이 통화는 인터넷을 만나면서 더 많이 팽창한다.


지금 현물 즉 달러지폐로 교환되는 양이 전세계적으로 얼마나 될까?


1/100이나 될까?


그정도도 안 될 것이라 보인다.


대부분은 인터넷 상으로 통화의 숫자이동만 일어난다.


내가 미국에 있는 지인에게 달러를 송금한다면 달러의 숫자만 내 계좌에서 지인의 계좌로 옮겨갈 뿐이다.


그러므로 달러는 인터넷을 만나면서 엄청나게 팽창한다.


게다가 미국은 1980년대 제조업을 포기하면서 은행업으로 역량을 집중한다.


그러자 미국의 해지펀드, 투자은행은 많이 풀린 달러를 들고 전세계를 돌아다니면서 실물자산에 투자하기 시작한다.


저금리일수록 더 많은 돈이 세계로 더 많이 풀리게 되어 있다.


그래서 저금리일수록 신흥국에 자산에 많이 투자하고 고금리로 가면 다시 미국의 중앙은행 금고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


그래서 저금리일 때 신흥국의 원자재, 주식, 부동산 등으로 흘러갔던 자금이 고금리를 맞으면서 다시 미국으로 회귀를 하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나라에서 돈을 풀 때와 비슷하다.


한국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로 시중은행에 돈을 공급한다.


시중은행은 저금리일 때는 시장에 더 많이 돈을 풀어 마진을 붙여 기업이나 개인에게 빌려준다.


그러나 한국은행이 고금리로 기준금리를 올리면 시중은행에서는 더 수익률이 좋은 기업이나 개인에게 빌려줄 수는 있지만 시중에 신용도가 좋으면서 더 많이 수익을 낼 수 있는 기업이나 개인을 찾아보기 힘들다면 시중의 돈을 거둬들여 다시 한국은행으로 돌려준다.




이것과 마찬가지로 미국은 금리조절 등을 통해 세계의 통화량을 조절한다.




통화가 많이 풀린다는 뜻은 그리고 저금리라는 뜻은 신흥국의 위험자산에 투자한다는 얘기이고 이러한 것이 극에 달하면 2008년도 금융위기가 될 수도 있다는 뜻이 된다.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바로 비우량자산에 투자했다가 갑자기 버블이 꺼지면서 이것들이 폭락해서 금융위기를 만들어 냈다.




2000년 닷컴버블도 마찬가지다.


저금리로 풀린 돈이 증시로 흘러들어가 버블을 일으켰다가 그 버블이 꺼지면서 거대한 폭락이 있었다.




이 기사는 2008년도 이후 오바마 정부시절 월가의 탐욕을 견제하자는 뜻으로 도드-프랭크법을 만들었는데 이 법의 규제를 완화했다는 얘기이다.




 [이번 주 경제 용어] 도드 프랭크법




골자는 세 가지다. 첫째 대마불사 금융회사 규제 강화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망하기엔 파급력이 너무 커 국민의 세금이  투입됐던 금융회사를 보다 엄격하게 감독하겠다는 취지다. 필요성을 주창한 폴 볼커 전 백악관 경제회복자문위원장 이름을 붙여  ‘볼커룰’이라고도 불린다. 은행의 헤지펀드 투자를 자본의 3% 이내로 규제하고 파생상품 거래도 제한됐다. 




둘째는 중구난방이던  금융감독 체계를 효율적으로 재편하는 것이다. 14개 기관이 참여하는 ‘금융안정 감시위원회’가 새로 생겼다. 




마지막은 독립 기구인  ‘소비자금융 보호국’을 세워 외면받았던 금융 소비자를 보호하는 내용이다.




https://news.joins.com/article/21252914




그래서 투자은행끼리 인수합병을 통해 몸집을 불린다는 뜻이다.


그런데 이 법의 첫번째인 은행의 헤지펀드 투자를 늘릴 수 있게 된다는 얘기이다.


해지펀드 투자를 늘린다는 얘기는 해지펀드에 은행의 큰 자금이 들어간다는 얘기가 되고 큰 자금은 세계적으로 신흥국, 주식, 부동산에 돈이 들어간다는 얘기도 된다.




버블은 이제 시작일 수 있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자영업 경기위축 여파…프랜차이즈 산업 첫 역성장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