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한남더힐 최고가 경신…84억에 거래

한남더힐 최고가 경신…84억에 거래


서울 강북권 최고가 아파트로 꼽히는 ‘한남더힐’(사진)이 84억원에 손바뀜돼 단지 신고가를 경신했다.


1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용산구 한남동 한남더힐 전용 244.75㎡(3층)는 지난 1월 중순 84억원에 거래됐다. 이 단지  거래 중 역대 최고가다. 2016년 12월 같은 주택형이 82억원에 팔린 게 기존 최고가 기록이었다. 이번 거래가는 작년 12월  기준 서울 아파트 가구당 평균가격(8억4135만원)의 10배 수준이다.

이번에 손바뀜된 주택형은 이 단지에서 12가구만 있는 펜트하우스다. 방 6개와 거실, 주방·식당, 테라스, 발코니 등으로 구성됐다. 2016년부터 작년까지 74억원·76억원·82억원에 네댓 건이 손바뀜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남더힐은 국내에서 매매가가 비싼 단지 중 하나다. 작년엔 국내 아파트 최고 거래가격 상위 10건 중 9건이 이 단지에서 나왔다. 전용  244.78㎡는 작년 11월 81억원에 손바뀜돼 그해 아파트 거래 최고가 기록을 냈다. 총 600가구 단지지만 대형 주택형인 전용  243~244㎡는 36가구에 불과하다. 각각 복층형과 펜트하우스형으로 나뉜다. 단지 인근 H공인 관계자는 “전용 243~244㎡  주택형은 자산가들의 실거주 수요가 대부분이다 보니 정해진 시세가 없이 그때그때 거래되는 게 값으로 통한다”며 “이번에 거래된  주택형엔 배우 안성기와 금융업계 기업가 등이 살고 있다”고 말했다.


이 단지는 옛 단국대 부지 13만㎡에 조성됐다. 지하 2층~최고 12층, 32개 동에 전용 59~244㎡ 600가구가 들어서 있다.  매봉산 아래 있어 주거환경이 쾌적하고 서울 강남·도심 주요 업무지구에 이르는 교통망이 풍부해 인기 주거지로 꼽힌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9030117641


아파트 중 최고가라는 얘기다.

단독은 신세계 이명희 회장의 270억 원이다.


앞으로는 좀 더 양극화 될 것이다.

그리고 차별화 될 것이다.


지방과는 천지차이가 날 것이다.

어차피 지방은 빈집이 많아질테니 말이다.

빈집은 가격이 없다.

그런데 그런 빈집이 많이 생길 것이다.

지방은 직장이 멀거나 없어서 어차피 한국은 서울에 직장이 있을수밖에 없는 것이 세계화이기 때문이다.


서울에서도 집값이 차이가 나겠지만 그래도 수도권보다는 서울이 나을 것이다.


차별화 된다고 집값이 비싼 것을 끌어내리기는 힘들 것이다.

비싸면 비쌀 수록 사람들의 욕망은 더 커지니 말이다.


양극화 되어서 힘들다는데 그것은 그들과 비교하기 때문에 그렇다.


예를들어 뉴욕은 최저임금이 얼마일까?


뉴욕주 최저임금 15달러…한인업주들 한숨

http://www.koreatimes.com/article/20181218/1220808


15달러다.

그렇다면 한국의 원화를 기준으로 봤을 때 1126원 곱하면 16,890원이 된다.

게다가 8시간 일하고 한달에 20일 일한다고 쳤을 때 얼마가 되는가?


일당은 135,120원이 되고 한 달에 270만 원이 된다.

한국에서 이 정도 알바를 뛰어서 받으면 많이 받는 것인가?

많이 받는 것이다.

160만 원(1만원 * 8시간 * 20일) 정도 받으면 많이 받는데 270만 원이니 살만하지 않은가?

그렇지 않다.

왜냐하면 뉴욕의 월세나 생활물가가 장난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쓸것 쓰고 나면 남는 게 없다.

그렇다면 한국에 있던 대학생이 미국으로가서 유학을 한다고 치자.

그럼 거기서 알바 뛴 것을 가지고 생활비도 쓰고 유학비도 댈 것이다.

그런데 한 달 쓰고 남는 것은 거의 없을 것이다.

그럼 한국의 유학생은 절망적일까?

아니다.

희망이 있다.

무슨 희망이 있나?

미국유학으로 한국에서 사업을 하건 취직을 하건 할 수 있지 않은가?

그리고 굳이 한국으로 올 필요가 있나?

미국이 현재 취업이 잘 되는데?

그러니 미국에서 취업을 할 수도 있다.

그러니 같은 알바를 뛰더라도 미국에 희망이 있다.


한국으로 노동을 하러 온 필리핀, 인도네시아 노동자는 희망이 있을까?

희망이 있을 것이다.

그들의 나라에서는 월급이 30만 원 밖에 안 되는데 한국에서는 160만 원을 번다면 5개 월치 월급이 되기 때문이다.

물론 이들도 야근하고 잔업하면 200만 원은 받는다.

그러니 월세 내고 생활비 쓰고 한 달에 100만 원씩 모은다면 그래서 몇 년간 돈이 쌓이면 자신의 나라에서 사업을 할 수 있을 정도까지 된다.

그래서 희망으로 사는 것이다.


희망이 없으면 뉴욕에 알바 뛰는 최저임금자는 뉴욕에서 희망을 찾을 수 없어 절망에 빠지고 한국도 한국에서 절망에 빠진다.


수학교육 전공자는 덴마크어를 잘 하면 덴마크에서 수학만 가르쳐도 먹고 산다고 한다.

사람이 모자르다 한다.

한국의 수학이 이런 곳에서 쓸모가 있다.


한국에서 돈을 모아 한국에서 자영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임금수준이 낮은 곳에서 자영업을 하면 어떨까?


마치 영화 코코모에서 톰 크루즈처럼 칵테일바를 햇볕 쏟아지는 태평양의 어느 섬에서 차리면 어떨까 하는 것이다.

양극화란 상대적이다.

이것을 사회탓으로만 돌린다면 자신은 비참해지는 것이고 자신이 이것을 내 탓으로 바꾸면 희망으로 바뀔 수 있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뉴스룸/한우신]집값과 출산율… 정부는 모르는 고차방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