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박준동의 데스크 시각] 금융허브, 서울만도 쉽지 않

 [박준동의 데스크 시각] 금융허브, 서울만도 쉽지 않다


미국에서 금융허브(금융중심지)는 뉴욕이 첫손가락, 시카고가 두 번째 손가락에 꼽힌다. 뉴욕이 은행과 증권 중심이라면 시카고는 선물 중심이다. 시카고에서 금융이 싹튼 것은 1840년대부터다. 중서부의 상인들이 시작했다. 이들은 밀 옥수수 콩 등을 뉴욕 보스턴 등 미국 동부로 보냈는데 때론 큰 손실을 입기도 했다. 동부와의 거리는 멀고 작황과 기후는 예측할 수 없다 보니 곡물값이 폭락하는  일도 꽤 있었다. 이런 예기치 못한 손실을 줄이기 위해 선물거래에 집중했다. 선물상품의 규격과 거래 규칙을 만들었다. 이를  취급하는 거래소도 설립했다.

시카고는 뉴욕과 경쟁관계

시카고 금융은 규모 측면에선 뉴욕에 다소 뒤진다. 선물과 옵션이 현물에서 파생됐기 때문이다. JP모간, 골드만삭스 등 대형 은행과  증권사는 모두 뉴욕에 있다. 시카고는 하지만 뉴욕에 애걸복걸하지 않았다. 큰 은행 본점을 시카고로 보내달라고 한 적이 없다.  연방정부에 도움을 요청하지도 않았다.


대신 선택한 전략은 자체 경쟁력 강화. 시카고는 취급 상품을 확대했다. 세계 최초 타이틀도 많다. 시카고상업거래소(CME)그룹은  홈페이지에서 통화선물(1972년), 금리선물(1972년), 주가지수선물(1982년), 날씨선물(1999년) 등을 처음으로  시작했다고 소개하고 있다. CME그룹은 11년 전 뉴욕상업거래소(NYMEX)도 흡수합병했다. 뉴욕이 가상화폐 규제에 골몰하는 틈을 타 가상화폐 선물거래도 시작했다. 이 때문에 미국은 물론 세계 주요 금융사는 시카고에 선물옵션 데스크를 두고 있다.

미국처럼 한 국가에 금융허브라고 할 만한 도시가 두 곳 있는 나라는 중국밖에 없다. 중국의 금융허브는 홍콩과 상하이다. 홍콩이 중국에  반환된 이후 선전은 금융에선 범(汎)홍콩권으로 친다. 중국에서 제2 금융허브가 가능한 것은 미국처럼 땅이 넓어서다. 홍콩이 남쪽에 치우쳐 있다 보니 상하이는 자연스레 동북부의 기업과 금융소비자를 차지할 수 있었다. 상하이 푸둥 금융가가 커지다 보니 외국  금융사도 이곳에 거점을 차렸다.

부산은 서울과 윈윈 모색해야


한국 정부가 2009년 1월 서울과 부산을 동시에 금융허브로 키우겠다고 나섰지만 부산은 물론 서울도 금융허브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영국계 컨설팅업체 지옌그룹이 공표하는 국제금융센터지수(GFCI) 순위가 이를 말해준다. 이달 평가에서 서울이 36위, 부산은 46위다. 지옌은 10위 바깥 도시에 대해선 이유도 코멘트하지 않는다. 금융허브로 대접하지 않는 것이다.

서울도 금융허브 경쟁력 순위가 올랐던 때가 있다. 여의도에 서울국제금융센터(IFC)가 완공되고 외국 금융사가 입주할 때였다.  30~50위권에 맴돌다 2015년 9월 6위까지 올랐다. 하지만 그게 전부였다. 이후 미끄럼틀을 탔다. 자산관리공사 주택금융공사  신용보증기금 등 금융공기업이 지방으로 이전한 여파가 크다. 허브라는 말대로 모여 있어야 하는데 흩어지다 보니 경쟁력이 없다.

이 와중에 부산은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 이전을 요구하고 있다. 이대로 되면 제로섬 게임이다. 시카고가 보여줬던  포지티브섬과는 정반대다. 부산은 서울 것을 뺏지 않고 경합하며 성장해야 한다. 윈윈 전략이다. 목표로 내건 대로 해양과 파생  분야에 집중해야 한다. 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다.


전주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반드시 금융허브를 해야 하는지 묻고 싶다. 제3의 길이 아예 없지는 않을 것 같다.

jdpower@hankyung.com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9031916251




고이즈미 총리는 아시아의 금융허브를 도쿄에 만들려고 했다.


왜 금융허브를 만들려고 했는가?

2002년 당선 된 고이즈미 시절 일본의 도쿄는 성장성 하락으로 인해 딜레마에 빠져 있었다.

그런데 도쿄는 우리나라의 수도권 규제보다 훨씬 심한 3중 규제 때문에 재건축, 재개발 등 개발사업은 물론 학교도 못 짓고 공장도 못 짓는 상태였다.

그런데 고이즈미는 사람들을 설득한다.

왜 도쿄에 3중 규제가 있는가?

다른 나라에는 있는가? 하고 물은 것이다.

없다는 것이다.

그런데 왜 규제하나?

그것을 도쿄를 규제해 일자리를 지방에 만들어 국토균형발전을 하려는 의도라는 것이다.

그런데 실제 그런가?

지방으로 갈 일자리는 이미 해외로 빠져 나간다.

왜냐하면 지방보다 해외가 인건비가 싸고 WTO(세계무역기구) 출범으로 인하여 전세계는 자유무역 구도가 되어 있었다.

그러니 오히려 EU의 변방인 폴란드, 체코 등에 공장을 차려서 거기서 사람을 고용해 EU로 수출하면 관세, 법인세, 임금 등에서 모두 유리한데 왜 일본의 지방에 일자리를 대기업이 만드는가? 에 대한 얘기다.

그러니 해외로 빠져나가는 것이 당연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고이즈미는 도쿄는 지방과의 싸움이 아닌 세계적인 선진국 영국의 런던, 미국의 맨해튼과 같은 금융허브와의 싸움을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도쿄의 규제를 풀었고 대규모 재개발, 재건축으로 공급이 많이 일어나 지방은 죽고 도쿄만 부동산이 살아나는 일만이 벌어졌다.

그리고 금융허브는 실패 했다.

그렇다면 왜 실패 했는가?


첫째 페그제 때문이다.

고이즈미가 아시아의 금융허브를 주장한 것은 홍콩이나 싱가폴에서 금융기능을 빼앗아 오겠다는 것이다.

그래서 도쿄는 금융서비스로 발전해 나간다는 구상이었다.

그런데 어떻게 되었는가?

실패했다.

왜냐하면 페그제 때문이다.

페그제는 달러와 그 나라 돈이 연동된다는 얘기다.

왜 연동이 되어야 하나?

예를 들어 도쿄에 골드만 삭스 그룹이 들어와 돈을 벌었다.

그런데 돈을 가지고 나가려고 하면 무엇을 해야 하는가?

환전을 해야 한다.

환전은 무조건 달러화로 하는 것이다.

그런데 홍콩, 싱가폴은 달러화와 연동이 되어서 환율로 손해를 볼 일이 없다.

일정 수수료를 빼고는 그냥 달러화와 동일하게 움직이니 안심하고 투자를 할 수 있다.

그런데 일본은 페그제가 아니다.

그런데다가 일본이 그 당시 잃어버린 10년을 지나 잃어버린 20년의 초입에 들어선 2000년대 초반이다.

그러니 엔화는 엔저를 정부차원에서 엄청나게 밀어부쳐 소비를 키우려고 하고 있었다.

그러니 외국계 자금이 돈을 바꾸려고 하면 엔화가 떨어져 있거나 불안 하게 움직이니 사업을 제대로 할 수 있는가?

더군다나 금융허브는 달러와 완전한 연동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엔화약세의 기세가 더 심해지고 심지어 마이너스 금리까지 쓰고 있는데 무슨 금융허브인가?

그래서 안 되었다.


둘째 자금의 유치에 실패했다.

아시아의 금융허브는 어떤 돈을 유치하기 위한 것인가?

동남아 자금 유치가 목적이다.

왜 동남아 자금인가?

한국, 대만을 제외한 나라들은 모두 동남아시아의 나라들이다.

그런데 이 동남아 나라들의 부자들은 누구인가?

죄다 화교다.

화교의 자금을 유치해야 한다.

이에 관해서는 추천도서에 있는 '아시아의 대부들'이라는 책을 읽으면 도움이 된다.

그런데 이 동남아자금은 가까운 곳에 자금을 맡긴다.

왜 맡기나?

화교는 외국인이기 때문이다.

말레이시아는 말레이인이 인도네시아는 인도네시아인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화교는 소수이다.

그래서 군부 구테타가 일어나면 화교재벌의 돈을 빼앗고 내쫓는 일이 다반사로 벌어졌다.

물론 필리핀, 태국 등도 마찬가지다.

그러니 이곳에 화교 재벌들은 항상 자신의 재산과 생명에 위협을 느끼고 있었다.

그러니 이들은 재산을 빨리 빼돌리도록 100달러 짜리 지폐를 모으고 돈이 생기면 화교 국가인 홍콩, 싱가폴에 수시로 드나들면서 돈을 맡기고 있었다.

게다가 이들 나라의 법률은 스위스 못지 않게 비밀 보장이 잘 되어 있다.

그래서 요즘 스위스가 영국, 미국 등쌀에 계좌가 털리는 일이 생기는데 그런 검은 돈들이 홍콩, 싱가폴로 몰려 든다고 한다.

그러니 이들은 법적인 보장도 잘 되어 있는 홍콩, 싱가폴에 돈을 맡기는 것이 일상화 되었다.

그리고 홍콩, 싱가폴은 그들이 무엇을 잘 해서가 아니라 필리핀,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등의 정경유착의 썩은 화교재벌들의 돈으로 금융허브가 된 것이다.

마치 유럽의 스위스처럼 말이다.


이러니 도쿄가 금융허브가 된다는 것이 가당키나 한 일인가?      

그런데 도쿄보다 금융환경도 떨어지고 게다가 기축통화도 아닌 원화를 가지고 있는 제조업 국가 한국이 가당키나 하나?


서울의 금융허브도 어불성설이다.


지금 골드만삭스, UBS, 바클레이스 등등 외국계 지사들도 한국에서 죄다 떠났다.


한국은 금융규제나 풀어라.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中인민군 3천명 美유학중…G2갈등 핵심은 `軍과학기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