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취준생이 면접관 선택해요… 청년이 웃는 일본

취준생이 면접관 선택해요… 청년이 웃는 일본 

트위터

더보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7.03.07 03:15 

['잃어버린 20년' 넘어 부활한 日本] [1] 취업난 아닌 구인난

올해 대학 졸업생 85%가 취업… 日기업들 '인재 모시기' 경쟁
20년새 20代인구 600만명 줄었는데 호황으로 일자리는 넘쳐

지난 1일 오전 10시 일본 수도권 지바(千葉)시에 있는 국제회의장 마쿠하리멧세는 내년 봄 졸업하는 취업 준비생 3만1000명이 북적댔다. 일본 최대 취업 박람회 '마이나비 취업엑스포'가 개막했다.

잠실야구장보다 두 배 넓은 공간(5만4000㎡·1만6000평)에 630개 업체가 부스를 차렸다. 도요타·히타치·미쓰이스미토모은행 같은 대기업은 물론 IBM 같은 다국적 기업, 일본연금기구와 경시청 등 공기업과 공공 기관이 진을 쳤다. 수도권 히노(日野)시 공무원들은 아예 지하철역과 행사장 사이 길목을 지키며 채용 시험 안내문을 돌렸다.

"마음에 드는 면접관 고르세요" - 지난 1일 일본 최대 취업 박람회가 열린 지바(千葉)시 마쿠하리멧세에서 의료기기 회사 '에란' 직원들이 회사를 소개하고 있다. 이 회사의 한 직원이 취업준비생들에게 면접관들의 얼굴과 이름이 들어간 팸플릿을 보여주며“올해부터 지원자가 면접관을 고르는 '역(逆)선택'을 한다”고 안내하는 모습. /김수혜 기자

장내는 취업 준비생이 좁은 문을 뚫으려고 발버둥치는 자리가 아니었다. 기업이 사람을 뺏길세라 안달하는 자리였다. 기업들은 입사 5년 차 미만 직원들을 대거 투입해 "우리 근로 조건이 더 좋다"며 취업 준비생을 붙잡았다. 다이이치생명보험이 "우리 회사 여직원은 눈치 안 보고 출산 휴가 간다"고 하자, 다이와증권은 "우리는 남자 사원도 73%가 육아 휴가 간다"고 맞섰다.

중소기업도 기를 썼다. 연 매출 2472억엔(약 2조5000억원)인 부동산 중개회사 '오픈하우스' 부스에서는 4년 차 영업사원 가와카미 이큐(川上生)씨가 "도쿄증시 상장 기업 중 성장률 1등"이라고 외쳤다. 이 기업은 수도권 부동산 붐을 타고 최근 5년 사이 연 매출이 4배가 된 회사다. "대기업 가면 10년 차도 말단인데 우리 회사는 4년 차인 제가 벌써 채용 담당입니다. 성장하는 회사에 들어와야 여러분도 큽니다."

연 매출 90억엔(약 915억원)인 의료 기기 회사 '에란'은 "우리는 올해부터 지원자가 면접관을 '역선택'한다"며 면접관들 얼굴과 실명이 찍힌 팸플릿을 돌렸다. 영업사원 미나구치 도모미(水口友美)씨는 "면접관이 편해야 지원자가 혼네(本心·본심)를 말할 수 있다"며 "우수한 지원자를 한 명이라도 더 뽑고 싶다"고 했다.

일본 기업들이 이처럼 인력 채용에 열을 올리는 현상은 '경제'라는 수요 요인과 '인구'라는 공급 요인이 맞물려 일어나고 있다. 아베노믹스로 경기가 살아나면서 사람 뽑는 회사는 늘어나는데, 인구 구조 변화로 일을 할 수 있는 젊은 인력은 크게 감소한 탓이다. 1995년 1868만명이었던 일본의 20대 인구는 2015년 1275만명으로 20년간 600만명가량 줄었다.

문부과학성에 따르면 이달 말 졸업하는 대학생 중 85%가 지난 연말 전에 취업했다. 1997년 조사 시작 후 최고 기록이다. 야나기마치 이사오(柳町功) 게이오대 교수는 "일본은 이제 취업으로 고민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했다. 한국 사회는 끝모를 장기 불황의 터널 속으로 진입하고 있는데, 일본은 이미 '잃어버린 20년'에서 빠져나와 질주를 준비하고 있다.             

http://news.chosun.com/misaeng/site/data/html_dir/2017/03/07/2017030700192.html

우리나라 베이비붐 세대가 800만이다.

언제인가?

1955년생부터 1963년생까지이다.

1955년생 만으로 62세이다.

60세가 넘어가면 은퇴한다.

양질의 일자리가 나온다는 얘기다.

앞으로 63년생까지 모두 퇴진하는 것이 6년 남았다.

즉 6년 후면 800만 개 가까이 일자리가 늘어난다는 뜻이다.

800만 개가 늘어나면 지금의 청년실업은 해소된다.

그래도 6년 기다려야 한다.

그리고 일본처럼 우리나라 대기업이 버텨만 준다면 앞으로 청년실업은 해소된다.

그러니 애를 젊은세대에서 안 낳는 것이 이득 아닌가?

그런데 왜 젊은이들에게 애를 낳으라고 할까?

표면적인 이유는 나중에 적은 젊은이가 많은 노인을 부양하기 때문이란다.

그러나 지금의 기술발전속도로 봐서는 AI가 웬만한 직업을 다 차지하고 더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인데 사람이 많은 것이 맞는 것일까?

혹시 현재의 시각으로 미래를 보는 것은 아닐까?

훨씬 생산성이 좋은 로봇과 AI가 더 많은 부가가치를 내는 것 말이다.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

현재의 정권 집권에 유리해서 아닐까?

애를 많이 나야 병원, 학교, 쇼핑 등등 모든 경기가 살아난다.

그런데 애를 안 낳으니 이런 경기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니 자신이 집권 하려면 애를 낳아서 경제성장률이 올라줘야 하는데 애를 안 낳으니 문제 아닌가?

3만 불까지 가야 하는데 3만 불 문턱에서 고꾸라지는 우리 경제를 보고 걱정해서일까?

그러나 지금 당장 취직하는 것이 문제인 청년들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대학 가자마자 일본에 취업할 생각하고 일어부터 배워라.

지방대 나와도 일본어 능통자면 취업 잘 된다고 한다.

일본은 웬만하면 평생직장이다.

아는 애 중에 히타치 다니다가 2007년도에 그만 둔 녀석이 있는데 지금까지 다녔으면 지금도 다녔을 것이라고 한다.

그만큼 일본기업 사람 안 자른다.

그런데 다국적기업 HP, IBM으로 옮긴 애들 전부 잘렸다고 한다.

그리고 지금 일본의 어느 업종이 사람을 많이 뽑는지 연구하자.

도요타·히타치·미쓰이스미토모은행 같은 대기업은 물론 IBM 같은 다국적 기업, 일본연금기구와 경시청 등 공기업과 공공 기관이 진을 쳤다. 

복수전공, 부전공 막 해서 일단 지원할 수 있는 풀을 넓혀놓는 것이 좋다.

만약 한국에 오고 싶다면 일본이 한국진출에 적극적인 기업들을 보는 것도 좋다.

한국에 지사가 있다면 더 좋다.

이런 곳을 노리자.

지금 취준생이라면 지금이라도 히라가나 배우자.

아니면 학원에서 배우지 말고 차라리 일본에 가서 배워라.

학원에서 1년 공부하는 것 해봐야 현지에서 3개월 못 따라간다.

비정상회담에 나오는 사람들 중에 한국에 온지 얼마 안되는 데도 한국어 실력 좋은 이유는 현지인과 부대꼈기 때문이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알파고 쇼크 1년… KAIST선 'AI 전공' 몰리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