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뉴욕증시, 미-이란 무력충돌 우려에도 상승 마감…다우

뉴욕증시, 미-이란 무력충돌 우려에도 상승 마감…다우 0.24%↑

https://view.asiae.co.kr/article/2020010707302642709


[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미국과 이란의 무력충돌 긴장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미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가 6일(현지시간) 상승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이날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24%(68.50포인트) 오른 2만8703.38에 거래를 마쳤다. S&P  500 지수는 전거래일대비 0.35%(11.43포인트) 상승한 3246.28에, 나스닥은 0.56%(50.70포인트) 오른  9071.47에 장을 마감했다.


어제 주가가 올랐다.

지난번 사우디 유전시설 공습도 하루로 끝나더니 이번 이란 지도자의 척살도 하루로 끝났다.


위기시 선제 대응은 -1% 일 때는 소용이 없고 -2% 일 때는 어느정도 TLT를 사는 것은 효과가 있다는 것이 2년간의 통계수치다.

따라서 이런 위기는 무조건 -2% 이상일 때만 TLT를 사면서 대응하는 것이 메뉴얼이다.


-1%, -2% 떴을 때 미국국채와 나스닥과의 수익률 비교

http://cafe.daum.net/jordan777/Bm2o/884


이 내용은 칼럼에 써 놓았으니 확인하고 실천하기 바란다.

이제는 위기상황도 나스닥만 보고도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 지수는 지난 3일 중동 내 긴장감이 고조되며 큰 폭으로 하락했지만 이날 상승세로 돌아섰다. 아직까지 이란이 보복을 단행하지 않으면서 관망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대형 IT기업들의 주가가 오르면서 뉴욕증시 상승에 영향을 줬다. 이날 페이스북과 아마존은 주가가 1% 이상 올랐고 넷플릭스와 알파벳도 각각 3.1%, 2.7% 상승 마감했다.


대형IT주는 올랐는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 넘게 떨어졌다.

대형IT는 아마도 이번 실적이 좋을 것으로 보는 것 같다.

아마존, 넷플릭, 알파벳, 애플 등등 말이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떨어지면서 그동안 올랐던 반도체 주가가 오늘도 떨어졌다.

아무래도 중국쪽에 영향이 있지 않나 보인다.

중동의 긴장은 유가의 상승이 있고 유가의 상승은 제조업을 돌려야하는 중국의 부담으로 간다.

그러면 중국의 내수 및 제조업의 지수는 아무래도 영향을 받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큰 폭으로 떨어졌던 유가도 상승폭을 줄였고 안전자산으로 투자 심리가 극대화됐던 금값의 상승폭도 다소 완화됐다. 2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의 경우 0.35% 상승한 63.27달러에 장을 마감했으며 3월 인도분 브렌트유는 한국시간 오전 6시25분 0.23% 하락한 68.44달러에 거래됐다. 국제금값은 온스당 1.1% 상승한 1568.8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유가는 이제 안정을 넘어 하락으로 돌아설 것으로 보인다.

금값은 어제 올랐지만 어제 채권ETF는 0.5% 떨어지면서 약세를 보였다.


투자자들은 지난 3일 미국의 공습에 가셈 솔레이마니 이란 쿠드스군 사령관이 폭사한 이후 중동 정세에 주목하고 있다. 이란은 전날 핵협정(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 탈퇴를 전격적으로 발표했다. 이날 이란 수도 테헤란에서는 솔레이마니 사령관의 장례식이 진행됐다. 이란은 미국에 보복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란이 미국에 보복할 경우 52곳의 목표에 반격을 가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라크는 의회를 중심으로 미군  철수 주장을 내놓는 등 중동 정세가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이라크에 대해서도 제재를 가할 수 있다고 위협했다. 


아직 위기는 끝난 것이 아니다.

그러나 너무 쫄 필요 없다.


결론 : -2% 이상 뜨지 않는한 TLT 살 필요 없다.

지난번 트럼프의 무역협정 발언으로 TLT를 사서 손해를 봤는데 사실 그 당시에도 1% 좀 넘게 떨어졌는데 오버해서 거의 30% 이상을 TLT를 사서 손해본 생각이 들었다.

확률을 알면 두렵지 않으리라.

이번 칼럼을 좀 더 보강해서 몇 년치를 더 따져봐야겠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아마존의 영토확장이 AWS 클라우드를 위협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