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거짓 해명…SNS 파급력 무시…실적 집착한 기업문화과거

                    거짓 해명…SNS 파급력 무시…실적 집착한 기업문화

과거 비슷한 구설수 겪고도 무대책 
승객을 '호갱'으로 보는 인식도 문제                                                    미국 유나이티드항공이 승무원을 태우려고 강제로 승객을 끌어냈다가 미 의회 조사까지 받게 됐다. 승객을 짐짝처럼 끌어내는 동영상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퍼지며 불매운동이 확산되는 등 위기를 맞고 있다.

전문가들은 유나이티드항공의 세 가지 잘못이 위기를 불러왔다고 보고 있다. 초기대응에 거짓말이 섞여 있었던 점, 소셜미디어 효과를 얕잡아보고 제대로 소통하지 않은 점, 기존에도 승객 차별로 구설에 올랐는데 무(無)대책으로 일관한 점이다. 이정연 서울대 경영학부 교수는 “유나이티드항공은 고객만족보다 비용 감축에 집중하는 등 실적 중심의 기업문화를 지닌 곳”이라며 “이런 문화가 승객 경시로 이어져 위기를 초래했다”고 말했다. 

◆두 번의 거짓말 

소동이 벌어진 건 지난 9일 미국 시카고 오헤어공항에서다. 켄터키 루이빌행 유나이티드 3411편에서 베트남계 미국인 의사 데이비드 다오(69)가 공항 경찰에 의해 강제로 끌려나오는 일이 발생했다. 회사 측은 오버부킹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무작위로 하차할 승객 네 명을 정했고, 한 명이 거부하자 경찰을 불렀다고 밝혔다. 회사 대변인인 찰리 호바트는 AP통신에 “우리는 정당한 절차를 따랐다”고 말했다.

이 설명은 거짓으로 드러났다. 로스앤젤레스타임스는 ‘회사 측이 늦게 도착한 승무원을 태우려고 티켓을 사서 정당하게 탑승한 승객을 끌어내렸다’고 보도했다. 오버부킹 문제가 아니었다. 전희준 건양대 경영학과 교수는 “오버부킹은 승객이 기내 탑승하기 전 해결하는 게 원칙”이라며 “탑승한 승객을 강제로 내리게 한 건 전적으로 항공사 측 잘못”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이 회사는 승객을 하차시키기 위해 공항 경찰에게 소동이 발생했다고 거짓 신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무작위로 골랐다는 하차 대상에 상대적으로 탑승객 비중이 낮은 아시아인을 포함한 탓에 인종차별 혐의도 추가됐다.

◆SNS 시대 커뮤니케이션 소홀 

소셜미디어를 타고 비판 여론은 일파만파 커지는데 대응은 너무 느렸다. 오스카 무노즈 최고경영자(CEO)는 10일 임직원에게 “승무원들은 규정을 따랐다”며 “계속 과감하게 행동할 것을 권한다”는 편지를 보냈다. 그는 11일에야 “어떤 승객도 이렇게 잘못 대우받아서는 안 된다”고 꼬리를 내렸다가 12일 미국 ABC방송 인터뷰에선 “시스템이 문제였다”고 말을 바꿨다. 

위기관리 컨설팅 업체 스트래티지샐러드의 정용민 대표는 “동영상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다 퍼졌지만 정작 CEO는 종이로 된 보고서를 받고 단순하게 받아들였을 수 있다”며 “사람들의 생각과 동떨어진 반응을 내놔 더 많은 화를 불러왔다”고 지적했다.

◆승객 경시 기업문화 방치 

이 회사는 승객을 인종·종교·성(性) 등으로 차별했다가 여론의 비난을 받은 전력이 여러 번 있다. 2013년 10월엔 샌프란시스코에서 착륙사고를 낸 아시아나항공 조종사를 조롱하는 듯한 사진을 승무원들이 인터넷에 올렸다가 논란이 됐다. 2015년 6월에는 음료수를 요구한 무슬림 여성에게 “캔이 무기로 사용될 수 있다”며 거부했다가 비판받았다. 지난달엔 ‘레깅스를 입고 탑승하는 것은 규정에 어긋난다’며 10대 소녀 두 명의 탑승을 거부해 도마에 올랐다.

제때 이런 문화를 고치지 않아 큰 위기에 처하게 됐다. 미국 상원의 존 툰 상무위원장 등 중진 의원 4명은 11일 유나이티드항공과 시카고 공항당국에 진상규명을 요구했다. 이들은 오버부킹으로 승객을 퇴거시키는 것과 관련한 규정 및 승객이 이미 탑승했을 때 이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지 등을 질의했다.

불매운동도 벌어지고 있다. 소셜미디어에선 유나이티드항공을 조롱하는 해시태그 달기(#boycottunited)가 퍼지고 있다. 지주회사인 유나이티드콘티넨털홀딩스 주가는 11일 장중 최대 4%까지 빠졌다가 1.13% 하락 마감했다. 숀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불행한 사건”이라며 “회사 측과 법 집행당국 모두 이 문제를 어떻게 처리할지 충분히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7041252061

그러고 싶겠지.

주가가 떨어지고 있다고 믿고 싶겠지.

그러나 호락호락 하지 않다.



이것이 유나이티드 항공 주가다.

최근에 조금 떨어지긴 했지만 잘 보면 우상향을 그리고 있다.

2008년도에 3달러 했는데 지금 70달러 가까이 가니 20배가 넘게 올랐다.

항공사 수족기업인줄 알았는데 이게 웬일인가?

역시 미국기업은 다른 것인가?


경비행기 면허를 가장 많이 가지고 잇는 나라는 어디인가?

경비행기 제작사를 가지고 잇는 나라가 어디인가?

브라질이다.

왜냐하면 그들은 차타고 돌아다닐 수 없을만큼 넓은 면적의 국토에다가 아마존이 있지 않은가?

그러니 비행기는 필수품이다.


미국에서는 차가 필수품이라 했다.

그에 못지 않게 항공사도 필수품인가보다.

여기도 LCC가 분명 있을텐데 말이다.

그래도 LCC도 먹고살고 대형항공사도 먹고 사는가보다.

워낙 넓어서 많이 이용하니 말이다.

포드가 철도회사 사서 철도를 없애버렸다는 얘기가 있었다.

자동차가 돌아다니려면 경쟁자인 철도를 없애야 했다는 것이 이유다.

비행기의 대체재가 자동차일까?

우리나라는 비행기의 대체재가 철도, 자동차 다양하다.

국토가 워낙 아담하니 말이다.

그러나 미국은 자동차 타고 가다가는 해가 저물고 몇 날 며칠을 타고 가야 한다.

해지는 것을 사막에서 본다면 몇 시간이고 석양을 마주 보아야 한다.

게다가 총이 2억 정이 넘게 팔린 나라이니 안전도 보장 못한다.

이런 상태에서 비행기의 대체재는 없다.

그래서 이렇게 우상향 하는 것인가?


중국은 죽어라 고속철 깔고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좁지 않으니 그런 고민이 있을 것이다.

중국도 그러면 항공사가 수족기업이 아니지 않은가?

모를 일이다.

땅이 넓고 인구는 미국의 3배 이상 된다.

나중에 돈을 많이 벌게 되면 미국처럼 비행기 엄청 타고다닐 것 같다.


나는 부산으로 가끔 강의갈 때 KTX 타는 것보다 비행기 타는 것이 훨씬 좋다.

훨씬 편하고 빨리 가기 때문이다.

우리 집에서 공항도 가깝다.


우리나라에서는 항공이 수족인데 나라에 따라서는 아닐 수도 있구나 하는 생각이다.

그리고 주가 떨어지기를 바라는데 그러면 주가 먼저 확인하자.

그리고 생각해보자.

정말 그런가?

만약 올랐다면 다른 무엇이 있는가 생각해보는 것도 생각을 넓힐 기회다.

남이 하는 말 믿지 말고 합리적으로 생각하자.

감정에 휘둘리면 얻는 것이 없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D램 기술전쟁' 뛰어든 중국 칭화유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