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토종' 네이버 가세 격전지로 바뀐 클라우드 시장

 '토종' 네이버 가세 격전지로 바뀐 클라우드 시장


                    아마존·구글·MS·IBM 글로벌 기업에 도전장

AI·자율주행차·IoT 등폭증하는 데이터 처리 위해 클라우드 플랫폼 필수

네이버 자회사 NBP 데이터·보안·네트워크 등 매달 4~5개씩 상품 출시
시장 안착 위해 총력전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 경쟁이 점점 더 치열해지고 있다. 지난 17일 네이버의 정보기술(IT) 인프라 자회사인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NBP)이 기업용 클라우드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등 해외 주요 IT 기업이 각축전을 펼치고 있는 클라우드 시장에서 네이버가 어느 정도의 존재감을 드러낼 수 있을지에 시장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외국계 대기업에 도전장 던진 네이버 

클라우드 서비스는 서버나 데이터 저장장치(스토리지) 같은 전산 설비와 업무용 소프트웨어(SW)를 인터넷망을 통해 유료로 빌려주는 것을 말한다. 매월 일정액의 사용료를 내면 엔지니어들을 고용하고 서버를 관리하는 번거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 비용도 절감된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에 사용료를 지불해야 하지만 직접 서버를 유지하는 것보다 비용이 덜 든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아마존이나 MS와 같은 글로벌 IT 기업들이 클라우드사업에 적극적인 또 다른 이유는 확장성 때문이다. 이른바 ‘4차산업’으로 불리는 인공지능(AI), 자율주행자동차, 사물인터넷(IoT) 등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클라우드가 필수다. 회사가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서버만으론 폭증하는 데이터를 감당하기 힘들어서다. 일례로 자율주행차 한 대가 2시간만 운행해도 4PB(페타바이트·DVD 영화 약 70만편 용량)의 데이터가 만들어진다. 클라우드 시장의 승자가 4차산업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할 것이란 분석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NBP가 제공하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은 컴퓨팅, 데이터, 보안, 네트워크 등 30여개 인프라 상품으로 구성된다. 네이버가 갖춘 기술과 시스템, 운영노하우를 지속적으로 상품화해 매월 4~5개씩 상품을 추가할 예정이다. 글로벌 서비스는 3분기부터 시작할 계획이다. 


이 회사는 한국 기업에 특화된 기술과 서비스를 통해 후발주자로서의 한계를 극복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박원기 NBP 대표는 “한국에도 쓸 만한 클라우드 서비스가 나올 때가 됐다”며 “네이버의 검색, 음석인식, 음성합성, 지도 등의 간판 기술을 고객사가 빌려 쓸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인이 따로 교육을 받지 않아도 쉽게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채택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NBP는 2009년 5월 네이버에서 분할해 출범한 법인이다. 네이버와 라인, 스노우 등 계열사를 대상으로 IT 인프라를 지원하면서 기술 및 운영 역량을 쌓아왔다.

○점점 치열해지는 경쟁 구도 

지난해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 규모는 280조원 안팎으로 추정된다. 아마존과 구글, MS, IBM 등 4개 업체가 대부분의 시장을 차지하고 있다. 3조8000억원 규모인 국내 시장의 경쟁 양상은 한층 더 복잡하다. 글로벌 기업들은 물론 KT와 SK C&C 등도 이 사장에서 치열한 점유율 경쟁을 벌이고 있다. 포털 서비스 시장의 절대 강자인 네이버라 하더라도 시장 안착 과정이 녹록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글로벌 기업들은 잇따라 국내에 데이터 센터를 설립하고 있다. 내규에 따라 데이터를 반드시 국내에 저장해야 하는 공공기관과 금융업체, 병원 등을 고객사로 끌어들이기 위해서다. 한국 시장이 성장 잠재력이 크다고 판단, 과감하게 시설투자에 나선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해외 업체 중에는 아마존웹서비스(AWS)가 가장 빠른 진도를 보이고 있다. 이 회사는 이미 지난해 1월 서울에 데이터센터를 설립하고 삼성전자, LG전자 등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무처리 프로그램인 ‘오피스 365’를 전면에 내세운 MS도 서울과 부산 데이터센터를 열었다. 클라우드 서비스에 오피스 프로그램을 얹어 판매하는 방법으로 고객층을 확대하겠다는 전략이다. 소프트웨어 분야 강자인 오라클도 국내에서 클라우드 관련 인력을 대대적으로 충원하는 등 전면전을 준비하고 있다. 

국내 업체들도 발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요구하는 기술 수준이 높지 않고 토종 업체에 우호적인 공공기관이 1차 공략대상이다. KT는 서울 목동에 있는 ‘클라우드 데이터 2센터’에 기업전용 저장 공간을 추가로 구축했다. SK C&C도 법인 고객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설명회를 여는 등 인지도를 높이는 데 힘쓰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한번 클라우드를 선택해 인터페이스에 익숙해지면 서비스 제공 업체를 바꾸는 게 쉽지 않다”며 “선점효과가 중요한 시장인 만큼 향후 1~2년간 관련 업체의 마케팅 싸움이 치열하게 펼쳐질 것”이라고 말했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7042418971      

클라우드란 무엇인가?  

구름  

즉 구름위의 컴퓨터이다.  

예전에는 각 기업마다 전산실이라는 것을 뒀다.  

거기에 인트라넷도 운영을 하고 각종 자료도 백업을 받고 말이다.  

그런데 이것이 인터넷 속도가 빨라지면서 낭비의 요소가 심해졌다.  

인력도 그렇고 공간도 그렇고 가격도 그렇고 말이다.  

그러니 구조조정과정에서 이런 것을 누가 대신 해줄 기업이 없나를 살펴보게 되었다.  


  

아마존을 비롯한 기업들이 있다.  

자기들도 서버를 운영했을 것 아닌가?  

그런데 그 서버라는 것이 조그만 기업에 비할바가 못 된다.  

세계적으로 물류서비스 등을 하게 되면 어마어마한 서버의 용량이 필요하고 AI라도 돌리면 그 AI가 인식해야 할 것이 그림이 대부분이라 그림데이터가 어마어마하게 늘어난다.  

그런데 그런 데이터를 저장하려면 커다란 데이터센터가 필요하고 그 데이터센터를 짓다보니 딱 알맞게 짓는 것이 아니라 남아돌게 지었다.  

그러니 여기는 서버용량이 남아돈다.  

이것을 상용화한 것이 아마존의 AWS(아마존 웹서비스)이다.  

게다가 서버를 구축하려면 SQL등 전문적인 서버프로그램을 아는 사람들을 고용해서 전산실을 돌려야 하는데 그런 구축비용과 유지비용이 장난 아니게 비싸다.  

그러니 이것을 일반인들(컴퓨터를 조금은 알아야 한다.)을 통해 쉽게 서버에 접근할 수 있고 각종 명령어 등을 만들어 쓰는 것이 아니라 윈도우처럼 쉽게 만들어진 툴로 서버를 다룰 수 있도록 해준 것이 지금 여기서 말하는 클라우드다.  

이것은 초고속 인터넷으로 연결되면서 부각된 서비스라 하겠다.  


  

그것을 아마존이 치고 나간 것이고 이렇게 시장점유율이 나타난다.  

클라우드가 강하면 무엇이 좋은가?  

일단 아마존 클라우드는 그것을 쓰는 업체가 기업이라는 것이다.  

즉 아마존 클라우드를 많이 써본 기업은 무엇을 할 가능성이 높은가?  

아마존 클라우드로 AI서비스를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즉 클라우드를 쓰다가 아마존에서 이런 AI 서비스를 개발 했는데 이것을 당신네 회사의 에어컨과 연결해보는 것이 어때?  

사람의 얼굴을 인식해서 그곳만 바람을 불어주게 하는 것 말이다.아마존을 먼저 쓰고 있다면 이런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이고 시장 점유율이 높다는 것은 그렇게 손쉽게 접근할 가능성도 높다는 것이다.

그럼 위와같은 대기업만 가능한가?

아니다.

MRI(자기공명장치) 등을 찍으면 어마어마한 사진이 나온다.

크기 자체가 말이다.


MRI 이미지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이미지 당 차지하는 용량은 2~3 기가바이트입니다. 만약 수천, 수만 장의 이미지를 저장하한다면, 그 용량은 어마어마해집합니다. 산업인터넷은 향후 5년 이내에 제타바이트(1,000 엑사바이트, 10의 21제곱 바이트)의 장벽을 깰 것입니다. (2009년, 전체 월드 와이드 웹의 용량은 500 엑사바이트였다)

http://www.gereports.kr/ge-opens-industrial-internet-platform-predix-to-everyone/


그냥 그림이 크다는 얘기다.

일개 병원에서 저렇게 큰 이미지를 다 저장할 서버실을 만들 이유가 있을까?

그러니 이런 것을 클라우드에 올려 놓고 일정액의 서비스 유지료를 내는 것이 더 간단하지 않을까?

즉 앞으로의 시장이 더 넓어진다는 것이다.


일례로 자율주행차 한 대가 2시간만 운행해도 4PB(페타바이트·DVD 영화 약 70만편 용량)의 데이터가 만들어진다. 클라우드 시장의 승자가 4차산업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할 것이란 분석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기사에 나온 얘기다.

2시간 운행한 데이터가 영화 70만 편에 달한다.

이것을 통해 AI가 머신러닝을 해야 하니 지울수도 없다.

그런데 그것을 저장해야 하는데 그럼 어디에 저장할까?

자동차 안에 하드디스크에 저장할까?

그랬다가는 자동차가 아니라 컨테이너 트럭처럼 짐칸이 더 커질 것이다.

그러니 이것도 클라우드의 영역이다.


그래서 네이버도 들어왔다.

내가 보기엔 일단 국내시장 먹으려는 이유가 크다.


글로벌 기업들은 잇따라 국내에 데이터 센터를 설립하고 있다. 내규에 따라 데이터를 반드시 국내에 저장해야 하는 공공기관과 금융업체, 병원 등을 고객사로 끌어들이기 위해서다. 한국 시장이 성장 잠재력이 크다고 판단, 과감하게 시설투자에 나선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앞으로 이런 클라우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런 클라우드 수요를 그냥 무시할 수는 없다.

시장을 그냥 빼앗길 수 없지 않은가?

그러니 일단 시작하는 것이다.

성공할지 말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힘겨운 싸움이 될 것이다.

이겨도 국내에 제한 될 가능성이 크다.

왜냐하면 이 클라우드에 각종 기업의 기밀이 담기는데 그것을 해외진출에 있어서 신뢰의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내가 보기엔 그렇다.

오히려 해외기업이 특히 미국기업이 이런 정보를 CIA에 정보를 공개할 가능성이 큰데도 불구하고 네이버같은 업체 것을 안 쓸 가능성이 크다.

보안이나 해킹, 서버의 용량, 지속가능성 등 전반적인 업체의 신뢰성을 놓고 볼 때 말이다.

그래서 잘 하면 국내 1위가 되는 것이 네이버의 1차 목표가 될 가능성이 크다.


아무튼 삼성전자와 더불어 앞으로 우리나라를 끌고 갈 네이버라 생각된다.

선전하기를 바란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수출 잘되는데도 일자리 안 늘어나는 3가지 이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