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혼밥과 집밥의 하모니

 혼밥과 집밥의 하모니


바야흐로 ‘혼자’의 전성시대다. 혼밥과 혼술, 혼영 등 혼자서 밥먹고 여가생활을 즐기는 사람이 넘쳐나는 세상이다. 하긴 1인 가구 비중이 2015년 기준 27%(1990년 9%)를 넘어서 우리나라의 가장 대표적인 가구 형태로 자리잡았으니 어쩌면 당연한 현상일 수 있겠다.

혼밥은 간편함과 자유로움을 추구하는 요즘 젊은 세대의 새로운 소비 패턴이다. 그러나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혼자 밥먹는 어깨너머로 ‘집밥’에 대한 그리움도 그만큼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집밥에는 혼자서는 결코 채울 수 없는 정(情)과 따스함 등 진정성에 대한 아련함이 묻어 있기 때문이다.

또 하나 중요한 소비 키워드는 ‘가성비’다. 가격과 품질 모두 놓치지 않겠다는 스마트한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이다. 마트 진열대에서 단위당 가격을 비교하거나 ‘1+1’ 행사제품에 먼저 손이 가는 우리네 소비 방식이다. 그러나 가성비 반대편에선 여전히 ‘가치 소비’라는 이름으로 명품에 대한 집착이 좀처럼 식을 줄 모른다. 명품 소비는 비싸더라도 감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런 소비자의 가치 소비 심리에 기대 ‘명품의 대중화’라는 아리송한 용어까지 등장하고 있다.

이처럼 서로 간에 도저히 양립할 수 없을 것 같은 소비 트렌드가 혼재돼 나타나고 있는 것이 지금의 마케팅 시장이고, 고객의 마음이다. 옛날처럼 낮은 가격으로 승부하거나 한 번 거래하면 끝까지 함께하는 충성도 높은 고객은 더 이상 기대할 수 없다. 단 한 번의 불만이나 쥐꼬리만한 혜택에도 금방 돌아서는 것이 지금의 스마트한 소비자다. 

영업 일선에서 볼멘소리를 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혼밥을 하면서도 집밥을 아쉬워한다. 가성비를 따지면서도 가치 소비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한다. 우리의 스마트한 고객은 편의성과 기능에 대한 효용을 중시하면서도 진정성과 가치 추구를 통해 소비에 대한 자기만족을 여전히 바라고 있는 것이다. 어찌 보면 이런 이중성은 지극히 정상적인 인간 본성일지 모르겠다.


바로 여기에 영업의 지향점이 있다. 결코 단순하지 않은 고객 마음을 제대로 헤아리는 게 출발점이다. 과거처럼 일방적인 정보 제공이나 상품 판매는 통하지 않는다. 고객 의견에 귀 기울이고 적극 반영하는 쌍방향 의사소통이 필요한 이유다.

상품과 서비스를 설계하고 결정하는 과정에 고객이 직접 참여하고, 그 경험이 상품의 가치와 만족도를 높여주는 일이 금융업에서도 낯설지 않은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함영주 < KEB하나은행장 hana001@hanafn.com >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7052155841

혼밥과 집밥 뭔가 이상한 점이 없는가?


대학교 1학년 때 심리학개론 수업을 들은 적이 있다.

심리학 교수가 한 말이 아직도 귀에 선하다.

심리학 교수가 하는 말이 자신은 자신의 어머니가 전화를 하면 간단히 용건만 말하고 끊어버린다는 것이다.

왜 그런가?

쓸데없는 얘기를 많이 하는데 거의 대부분이 남을 헐 뜯는 얘기라는 것이다.

그리고 안 좋고 힘들고 이런 얘기만 늘어논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자신에게 안 좋은 감정을 자꾸 전해주는 그런 전화는 일방적으로 차단해 버린다는 것이었다.

나는 그 때 아니 뭐 저런 자식이 있나?

부모가 하소연 할 수 도 있지 하고 생각했다.


그런데 잘 생각해보면 그 심리학 교수의 말이 맞는 말이었다.

여자친구와 헤어진 친구놈이 전화해서 만나 술 한잔 할 수 있다.

그런데 매일 전화해 술을 먹으면 술이 떡이 되도록 먹자고 한다면 만날 것인가?

아닐 것이다.


선진국에 가면 테라피스트라는 사람들이 있다.

남의 말을 끝까지 들어준다.

정신적인 상처를 치유해주는 직업이다.

정신과 의사도 마찬가지다.

환자의 말을 잘 들어주는 것이 정신과 의사의 할 일이다.

절대 간섭이나 어떤 조언도 필요치 않다.

그러나 그것은 돈을 받는 치료행위다.


예전에 이런 치료행위를 친구들이 해주고 자식들이 해줬다.

그러나 극도로 개인화된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돈이 해준다.


이런 생각 한번이라도 해봤나?


집밥과 혼밥이 있다.

집밥은 어머니가 해주는 가족사회의 한 단면이다.

돈을 받지 않는다.

혼밥은 돈을 받고 식당 아주머니가 해준다.

돈을 받는다.


돈을 매개로 하게 되면 신뢰성의 문제가 생긴다.


어머니가 해줄 때는 이 밥이 중국쌀인지 한국쌀인지 따지지 않는다.

그러나 식당에서 밥을 먹을 때는 어디 쌀인지 따진다.

돈을 벌 목적으로 밥을 짓기 때문이다.


점점 더 많은 일들이 돈을 버는 영역으로 넘어가고 있다.
이제는 주변 사람들의 소중함을 생각해봐야 할 것 같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동탄2·김포·위례 전세 쏟아진다 7월까지 9600가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