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디퍼를 받았는데, 어떻게 풀까요?



미국 대학 얼리 결과가 며칠 사이에 집중적으로 나오고 있다. 이미 여러 차례 블로그와 유튜브에서 말씀드렸듯이 합격도 아니고 불합격도 아닌 유보다. 즉 레귤러에서 다시 한번 검토를 하겠다는 것이다. 떨어졌다면 희망이 사라진 것이지만 디퍼는 그래도 '희망의 불꽃'이 살아있다.


왜 디퍼를 받았나?


쉽게 말해 얼리에 합격한 학생들보다 1%가 부족했다고 말할 수 있다. 레귤러에서 이를 보완해야 한다.


미국 대학들은 보통 얼리에서 정원의 50% 가까이를 선발한다. 매우 많은 인원을 뽑는다. 이제 나머지 인원을 레귤러에서 선발을 한다. 그런데 대체적으로 레귤러 합격자들은 여러 대학에 복수 합격을 하기 때문에 각 대학별 등록률이 매우 낮다. 따라서 미국 대학들은 합격을 하면 꼭 등록을 할 학생에게 관심을 둔다. 바로 이런 점을 이용해 레귤러 전략을 짜야 한다.



■ 미국 대학 얼리 디퍼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 유튜브


https://youtu.be/ZdcMG-0S3sw



우선 자신의 부족한 점을 먼저 파악해야 한다. 레귤러에서 이를 보완할 수 있는가에 대해 점검을 해야 한다.


그 다음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자신을 다시 어필하는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 이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1) 향상된 12학년 1학기 성적을 보낸다.

2) 새로운 수상 기록이나 액티비티 기록 등을 보낸다.

3) 교장 샘이나 카운슬러의 강력한 추천서를 보낼 수 있다.

4) 자신의 의지가 담긴, 즉 합격시켜주면 꼭 등록하겠다는 레터를 오피스에 보낸다.


등등 여러 가지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정말 중요한 것은 레귤러 전략을 다시 점검하는 것이다.


레귤러 지원 대학이 학생의 기록(프로파일)보다 높은 학교 위주로 선택이 됐다면 조정을 해야 한다. 대부분 자기 실력보다 높게 대학을 선택해 놓고 자신은 그 대학이 Reach(상향)이라는 것을 대체적으로 인식하지 못한다. 상향만으로 대학을 선택하면 불행한 사태를 맞게 된다. 따라서 반드시 안정권 대학도 1-2개를 지원을 해야 한다.


미래교육연구소는 얼리 디퍼 풀기 전략과 함께 레귤러 대학의 적정성 여부를 컨설팅해 준다. 이제 미국 대학 레귤러 마감이 며칠 남지 않았다. 끝까지 최선을 다해야 한다. <미래교육연구소>





미국대학 미국유학 아이비리그 미국대학장학금 미국주립대학장학금 미국대학편입 미국대학편입장학금 하버드대학편입 하버드대학장학금 미국고등학교유학 미국조기유학 미국보딩스쿨 미국보딩스쿨장학금 미국교환학생 미국크리스찬스쿨 독일유학

매거진의 이전글 학부에 프리덴탈이 개설된 명문 대학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