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내가 아는 대학만 좋은 대학일까?


국내 대학은 336개, 미국 4년제 대학은 4000여개.


미국 대학 4천여개 가운데 일반 한국인들이 꼽을 수 있는 대학들은 20- 30여개다. 이들 대학들은 아이비리그 대학과 NYU, 존스홉킨스 등 몇몇 사립 그리고 UC 버클리, 미시간, 일리노이, 위스컨신 등 상위권 주립대학들이다.



미국인들과 아시아인들의 대학 선택 기준을 보면 한중일 사람들은 랭킹을 선택의 제1기준으로 한다. 그 가운데서도 한국인들은 유독 랭킹을 과도하게 신뢰한다. 이런 한국사람들 때문에 유에스 뉴스라는 미국의 작은 언론 매체가 '미국 대학 순위' 자료로 돈을 번다.


'유에스'라는 이름 때문에 미국의 대표하는 것처럼 인식되나 이 자료는 미국의 공식자료가 아니다. 작은 언론 매체가 자기들의 기준에 따라 대학 순위를 매긴 것이다. '아니면 말고..'식이다.


유에스 뉴스 랭킹 외에 미국 여러 기관, 여러 사람들이 미국 대학 순위를 매기고 있다. 따라서 어느 한 기관의 자료에 억매일 것이 아니라 여러 측면에서 분석을 해야 할 것이다.


미국 대학들을 소개하는 여러 책들이 있으나 뉴욕 타임즈의 교육 담당 에디터였던 로렌 포프란 사람이 발로 뛰어서 발굴한 대학들이 있다. 그는 이 대학들은 College That Change Lives란 이름으로 소개를 했다. 국내에서도 '내 인생을 바꾸는 대학'이란 이름으로 번역이 됐고, 지금은 절판이 됐다.


필자는 이 대학들에 오래전부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 대학들은 아이비리그처럼 우수한 학생들이 가지는 않는다. 그래서 유에스 뉴스가 내놓은 랭킹에서 50-100위권에  올라있다. 그 분류도 National University(연구중심대학)이 아닌 Natinal Liberal Arts Colleges(학부중심대학)이다. 한국인들은 리버럴 아츠 칼리지를 모르니 이 대학들에 대해 정보가 없는 것은 당연하다.


이 대학들은 한마디로 A-, B+ 수준의 학생들이 진학을 해서 A+급 학생으로 변해 졸업을 하는 대학들이다. 우리가 아는 아이비리그,아이비리그급 대학들은 A+급 대학들이 가는 대학이다. 미시간이나 UC버클리의 경우에도 A급 학생들이 간다. 그런데 CTCL의 경우 바로 그 아래 수준의 학생들이 진학을 한다. 그런데 바로 CTCL 대학에 가서 A+로 바뀌는 것이다. 한국인들은 이 대학들은 '듣보잡'으로 취급한다. 들어본 일도 없고, 알려주는 사람도 없으니까...


이 대학들을 소개한 사이트가 바로 https://ctcl.org/ 다.


그런데 필자는 이 대학들에 다니는 학생들, 정확히 말해 필자가 진학시킨 학생들을 모아 그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들이 다니는 대학을 소개하도록 했다. 제 3자가 소개하는 것보다 생생하다. 물론 필자가 소개하는 책에 담긴 대학들이 모두 CTCL 대학은 아니다. 일부 '히든 아이비' 대학도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리버럴 아츠 칼리지를 보여주자는 의도이고, 이 가운데서도 '내 인생을 바꾸는 대학'을 집중적으로 소개하고자 했다.


그게 바로 '큰 꿈 키우는 작은 대학들'이다. <미래교육연구소장 이강렬 박사>




미국대학 미국유학 아이비리그 미국대학장학금 미국주립대학장학금 미국대학편입 미국대학편입장학금 하버드대학편입 하버드대학장학금 미국고등학교유학 미국조기유학 미국보딩스쿨 미국보딩스쿨장학금 미국교환학생 미국크리스찬스쿨 독일유학  

매거진의 이전글 경시대회·리서치 말고, 소외되고 어려운 이들을 도와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