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r united Mar 06. 2018

Andro’s Nine Seoulic Moulds

2017년 서울시립미술관 난지 스튜디오, 입주작가 인터뷰

안드로 세메이코의 아홉 가지 서울 주형 



글 조주리


처음 만났던 날, 안드로가 보여주었던 아홉 점의 회화 연작은 홈페이지를 통해 미리 살펴보았던 이전의 작업들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였고, 그럼에도 어떤 디테일들은 분명히 포개져 보였다. 생경한 느낌은 종이위로 검은 먹선들이 갈라지고 번져나가는 동양화 풍의 뉘앙스 때문이다. 안드로의 농묵濃墨은 화면 아래로 스며들거나 가라앉지 않고, 먼 곳으로 튕겨 나가듯부풀어 있었다. 그 가운데 낯익어 보였던 것은 갑옷이나우주선과 같은 도상과 그것들을 감싸고 있는 유선형의 실루엣, 단단한 질감이 발산하는 번뜩이는 광휘, 수직적으로 솟구치는, 그럼에도 남성적이기보다 어딘가 ‘아스트랄’한 공간감이다. 


Malic Moulds, Installation View at Nanji Residency of Seoul Museum of Art, 2017


안온한 곳에 좀체 정주하려 들지 않는 유목형 작가들이 그러하듯 그에게도 새로주어진 환경에서 집중해야 할 리소스와 방법론을 적확하게 추출하는 일은 중요하다. 석 달여의 서울생활. 그 사이 작가는 한글과 붓글씨를 익혔고, 난지의 장소성과 서울의 주변부를 탐색했고, 그 두 가지를 대응시키는 작업을 생산해 냈다.


Malic Mould B, 2017


가장 최근, 그에게 동아시아의 캘리그라피 전통은 표현성의 가능성을 열어준 중요한 화두임에 분명하다. 서울에서의 작업 또한 새로운 탐구와 수행의 연장선 위에 있다. 그렇지만, 그의 작업이 화가의 내면에 온축蘊蓄된 에너지를 외부로 흩뿌리거나 가두는행위, 그리고 이를 통한 이미지 생산 그 자체를 목적으로 삼는 것 만은 아니다. 그 동안 습득해 온 회화적 관습과 가치체계로부터 탈각하는 과정에서 동양식 화론과 실천 방식과 그가 꿈꾸는 순수한 표현의 즐거움, 예술적 뿌리에 대한 의식, 늘 과정과 과정 ‘사이’에서 의미를 만들어 나가는 작업의 여정이 한 순간 맞닿은 것 일 테다.  


Mapo Incinerator A, 2017, 

ink and acrylic on rice paper, 140 x 80cm


<Malic Moulds>라고 명한 아홉 점의 회화. 제목과‘9’라는 숫자에 이미 뒤샹식 태그를 선명하게 달고 있는 이 작업은 서울에서 마주한 남성적 주형의 편린들을 모아 특정한 풍경으로 펼쳐낸다. 가령, 난지도의 소각로는뜨듯한 가스로 부풀어오른 남성적 주형 그 자체이다. 그러나 주형이란 말 그대로 도시의 호흡과 욕망으로가득한 발광 가스를 위로 올려 보내는 텅 빈 연통관일 뿐. 따라서 ‘수컷주형’(malic mould)이라는 말 또한 굳건한 기념비이기는커녕, 이내 기화하여 스러질 대상이다. 세계를 구성하는 (것처럼보이는) 크고 단단한 기계 인프라 더미들이야말로 기실 불확실성과 상실의 껍데기다.  


Malic Mould G, 2017 


한편 작가가 포획한 서울식 주형에 대한 편집적 시선과 미술사적 해석에 앞서 작가로서의 첫 출발점인 조지아에 대한 호기심, 이후네덜란드와 영국에서의 새로운 작업, 그리고 최근 아시아권으로 행로 속에서, 화면에 남겨둔 단서들을 되짚어 봐야할 것 같다. 작가의 바이오그래피는 화면 내의 타임라인으로 슬며시 침투되기도 하고, 화면 바깥에서 작동하는 제작과정으로도 발현된다. 맨 처음 고전적인 회화 기법을 수련했던 고국 조지아는 흑해와 카스피해 사이에 위치한 산중 국가로, 끊임없는 역사적 부침을 견뎌온 현시대의 고대국으로 상상된다. 어쩌면지금도 사용되고 있는 고대 이베리아 문자의 유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1] 기표의 회화성, 그것들로 쓰여진 문학적 서사와 전통의 특수 가치는 따라서 작가에게 늘 중요하게 인식되는 축이다. 


안드로 세메이코는 주로 영국을 기반으로 활동하며 동시대 화가로서 자리매김해 왔는데, 그의 작업들이 비평적 주목을 받았던 지점들은 회화성을 고수하면서도 끊임없이 이전의 창작 관습과 가치체계로부터 이탈하고자하는 창의적 분투 속에 자리한다. 가령, 화면에 종종 등장하는 갑옷 입은 기사와 같은 서구 중세의 표상과 한 순간 미래적 시점으로 도약하는 우주적 요소의 이질적 병치, ‘리얼’한 양감 표현과 ‘버추얼’한 선들이 이루는 심상의 대비, 역사적 리서치에 기반한 장소 특정적 설치, 화면의 막후와 막간으로 이어지는 소설적인 내러티브,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과의 협력적 창작. 작품의 내, 외겹을 이루는 요소가 다층적이다.


 또한 지금까지의 시리즈들을 연결해서 조망해보면 일정한 시각적 계보를 구성하지만 방법론적으로는 끊임없는 수정, 확장 중에 있다. 따라서, 그의 작업은 감각적 향유의 대상이기에 앞서, 적극적인 해독과 참여가 요구된다. 많은 경우, 작업의 돌출 지점은 회화작업들이 설치된 전시장 내의풍경에 머물러 있지 않는다. 회화의 전 과정을 구성하는 촉발 지점에서부터 작품이 지적으로 소비되는 마지막단계까지, 문화 연구와 시각적 표현성의 확장, 회화와 글쓰기, 퍼포먼스 사이의 긴밀한 연결고리들은 작가 자신에게, 그리고 관객들에게도매우 중요한 요소다.  


어쩌면 서울은 그에게다른 세계로 향하는 여정 중에 잠시 멈췄던, 중간 기착지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어지는 안드로의 시간 여행과 공간 탐사가 다시 어떤 형태의 글과 그림, 움직임, 그리고 낯선 타인과의 만남으로 이행되어 나갈까. 


이곳에서 부디 필요한만큼의 연료와 상상력을 싣고 떠났기를.  


      


[1] 조지아어: ქართული დამწერლობა (카르툴리 담체를로바)는 조지아의 공용어인 조지아어에서 사용되는 문자이다. 기록에 따르면, 조지아 문자는 기원전 284년경에 이베리아의 국왕인 파르나바즈 1세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한다.




Andro Semeiko’s Nine Seoulic Moulds 

  

The series of nine paintings that I saw when I first made acquaintance with Andro Semeiko were slightly different from what I saw on his website. However there were distinct similarities at a closer look. The unfamiliarity was due to the Asian nuanced black strokes that split and splatter about. The saturated strokes do not sink into the paper or have weight on the surface and instead float about as if they are ready to simply bounce off the paper. Meanwhile familiarity comes from the armour or spaceship-like imagery, and the curved silhouette, light sharply reflecting off the steely texture and the vertically erect structure that has an astral, spatial feel rather than a masculine presence.  

  

For nomadic artists who prefer not to settle and seek comfort, it is essential to find resources and methods to focus on in a new environment. Likewise this was important to Semeiko during his three months stay in Seoul. He studied Korean Hangeul calligraphy, and explored the site-specificity of Nanji and areas around Seoul creating works that incorporated these two fields of research. It is apparent that the East Asian calligraphy heritage has been his most recent source of inspiration to reach new potential for expression. Semeiko’s work in Seoul is part of that new exploration and performance. However, the act of emanating or containing his artistic energy and thereby producing artwork is not the sole aim of itself. The processes of moving away from painterly conventions and value systems that have been embedded in the artist’s work - Asian painting theory and practices, the artist’s joy of pure expressionism, his awareness of artistic roots, the journey of extrapolating meaning between one process and another - would intersect at a point in time. 


The nine paintings titled Malic Moulds - a clear nod to Duchamp, both in title and the number nine - sets a particular scene, with the collected fragments of masculine moulds met by the artist in Seoul. For instance, the waste incineration facility in Nanji with vertical wafts of warm gas is a quintessential masculine “mould”. However “mould” as the word suggests, is nothing more than an empty chimney that spews glowing gas made up of the breath and desires of the city. Therefore the malic mould, as it were, the seemingly steadfast monument is soon to vaporize and disintegrate. The gigantean and solid machine infrastructures that are (or appear to be) the backbone of the world we live in, are in fact the shells of uncertainty and loss. 


In prelude to delving further into Semeiko’s unique perspective, and carrying on with maintaining an art historical interpretation, it would be pertinent to trace the clues left here and there in the artist’s works created in Georgia, his first projects as an artist, his new works in the Netherlands and the UK, and his recent works while travelling through Asia. The artist’s biography is subtly reflected within the artwork, and at the same time manifests out of the canvas as the process of creation. Georgia, his homeland where he trained in the classical discipline, is imagined as an ancient kingdom that stood through historical turmoil. Perhaps it is reflected as such due to the heritage of the ancient Iberian text.

[1]


 Therefore, the painterly quality of the signifiers, the literary narrative written with such elements, and the special values tradition holds are all essential to the artist. 

Andro Semeiko is a contemporary artist based mainly in the UK. He has achieved critical attention through his continuous efforts to break away from conventional creative practices and values while maintaining a painterly approach. For example, the Western symbols of armour-clad knights of the Middle Ages; a sudden jump to futuristic perspectives with “spacey” elements; unlikely juxtapositions that often appear on his canvas; the contrasting imagery of “realistically” expressed volume and “virtual” brush strokes; a site specific installation based on historical research; a fictional narrative that continues behind and beyond the screens; creation based on collaboration with people of various fields – all multifold elements that make up the innards and outer skin of Semeiko’s practice. When all the series are looked at consecutively, there exists a visual genealogy, but with endless changes and development in execution. Therefore, Semeiko’s work requires rigorous interpretation and engagement in order for them to be fully, sensually appreciated. Oftentimes, the significance of an artwork is not confined to the space it is installed in. The cultural research and expansion of visual expression, the close links between painting, writing, and performing are all essential to both the artist and the viewer, from ground zero that makes up the backbone of the painting through to the final stages of intellectual consumption. 


Andro Semeiko’s stay in Seoul may have been a quick stopover on his way to another world.  

I am left wondering what other forms of writing, painting, movements and encounters with strangers his travels through time and space will lead to. I hope he has enough fuel and imagination for the road. 


          

[1]

Georgian language ‘

ქართული დამწერლობა

 (K'art'uli damtserloba)’ is the official language of Georgia. It’s recorded that the Georgian alphabet was created by the King Pharnavaz I of Iberia in 284 BC.


Written by Juri CHO, Translated by Jeongyoon KIM


작가의 이전글 The Travelers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