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r united Apr 11. 2018

4 Days at Yuanshan

2015- 2016 한국-대만 큐레이터 교류 프로그램, 중간 리포트

위엔샨에서의 나흘


 – 여행자의 호기심이 일상으로의 침투하는 시간 



글 조주리 



들어가며 



대만으로의 여행일정은 당초 계획보다 짧아졌고 그 안에서의 활동 또한 단순해졌다. 구정 전후로 대만여행을 가는 한국 사람이 꽤 많다는 것을 항공권 예약을 하면서 알게 되었다. 꽤 가까운데다 화려한 미식과 독특한 자연 풍광, 야시장 쇼핑에 이르기까지. 한국인에게 대만은 중국과 일본이 교차하는 중간지대로, 새롭게 발견된 관광지로 인식되었다. 대만과 관련된 사이트와 책자를 통해 최대한의 정보를 습득하고 효과적인 동선을 짜보려 했지만 만족스럽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대개의 경우 여행 정보라는 것은 지나치게 상업코스화 되어 있다. 그러면서도, 그러한 관광자원으로 수놓인 궤도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중요한 지향점이기도 하지만 따지고 보면 대만이라는 국가를 압축적으로 제시하는 핵심정보이기도 하므로 그것으로부터 애써 초연해지는 것이  그리 중요한가 싶기도 했다. 


결국 며칠 간 묵게 될 숙소를 확정하면서 이번 여행의 윤곽이 정해진 거나 다름없이 되어 버렸다. 아무데나 덥석 숙소를 정할 수는 없는 노릇이어서 몇 가지 기준을 나름대로 세워 봤다. 우선 호텔이 아니었으면 했다. 이와 비슷한 이유로, 관광객들이 지나치게 많지 않은 평범한 동네면 좋겠고, 그러면서도 주변에 둘러볼만한 일상적 공간, 가령 전통시장, 동네 서점이나 학교시설, 스포츠시설, 사원과 같은 신구 공간이 다양하게 분포된 곳이라면 금상첨화겠다. 다행히도 나와 엇비슷한 연령의 싱글 여성이 사는 아파트를 나흘 간 구할 수 있었다. 위에 열거한 조건에 제법 들어맞는 곳이라는 판단이 들었다.  


숙소를 정하고 나니 비로소 이번 대만 여행의 성격을 그런대로 규정지을 수 있었다.  


  하나, 우선 한 동네에 오래 머무르면서 그 공간을 중심으로 내부를 샅샅히 탐색해 볼 것.  

  둘, 그 안에서 의미있는 일상적 발견과 질문거리를  찾아낼 것.  

  셋, 부러 미술관이나 관광 명소에 집착하지 말 것. 

  넷, 실제 타이페이 시민들이 움직이는 도시의 리듬을 몸에 익힐 것.   


한편 지난 해 여행과의 연속성과 단절성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았다. 2015년  11월에 있었던 1차 여행을 통해 타이페이를 중심으로 대만의 미술기관에 대한 전반적 탐색이 이루어졌다. 피상적이나마 타이페이를 중심으로 한 대만 미술계 지형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끊임없이 국내 미술 토양과의 유사성/ 차이점을 되물으며 질문하는 과정이었다. 따라서 이번 방문에서는 첫번째 여행에 대한 전반적 리뷰인 동시에 지난번 방문에서 다소 아쉽게 느껴졌던 도시와 그곳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일상적 삶에 대한 관찰, 나아가 그 내부로 깊이 밀착되는 시간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그러니까, 나는 이번 여행이 마이크로한 관찰이 가능한 시간이기를 바랐다. 



붉은 라인 위를 움직이며 


타이베이의 2월은 부슬부슬 비가 내리고, 간혹 비릿한 바람이 불어오던 서늘한 풍경으로 다가왔다. 여행의 행선지는 숙소가 있는 붉은 색 전철(MRT) 라인 안을 벗어나는 일이 거의 없었다. 멀리는 붉은 라인 북쪽 끝에 있는 담수이 지역에서부터, 스린역과 동네 주변의 야시장, 근처의 엑스포 공원과 공자 사원, 시립미술관, 고궁박물관, 중산역 근처 화려한 상점이 줄지어 선 번화가, 전자상가인 광화상창과 101 타워가 있는 지역까지 나흘간 매일 출근하듯 숙소를 나서 퇴근하듯 돌아오는 패턴을 이어나갔다. 어떤 장소는 여행 책자에 나오는 곳이었고, 또 어떤 곳은  우연히 발견한 곳이기도 했다. 지난 여행과 달리 수행해주는 분이 없었기에, 그저 낯선 표지판 속의 언어를 해독해 가면서 움직여야만 한다.  




숙소가 있는 곳은 원산, 위안산, 위엔샨, 유안샨, Yuanshan. 


대만에서 사용되는 중국어는  간자가 아닌 번자를 사용하므로, 정체로 한자 교육을 받은 나로서는 읽는 것은 수월하지만, 그것이 시각언어가 아니라 청각언어로 전환될 때 늘 인지적 혼란을 겪는다. 여러 부수로 조합된 한자의 기호적 이미지와 그것의 리드미컬한 발음이 유동시키는 청각적 신호 사이의 불균형은, 모든 글자를 성조없이 하나의 음가로 분절하여 읽고 발음하는 한글과는 차이가 존재한다. 더불어 본토 중국어와 대만의 표준 중국어 사이의 실제적 차이랄지, 대만 토착어의 생존과 변용 등 모든 것이 호기심의 대상이다. 지난 대만 방문 당시 한국-대만어 통역을 맡아준 친구에 따르면 중국 본토와 대만인이 대화를 나눌 경우 어느 정도는 소통이 가능하지만 자연스럽지는 않다고 했다. 이러한 단절감은 마치 북한과 남한이 근본적으로 같은 언어를 공유하지만, 언어의 역사문화적 해리가 심화되고 있는 것과 유사한 상황으로 이해된다. 작은 질문을 큰 질문으로, 쓸데없는 호기심을 유의미한 문제의식으로 발전시키는 게 즐거움인 나에게 한자어를 공통분모로 한 동아시아 내의 지정학적 분화와 문화적 이동에 따른 점진적 소통불가능성은 분명 흥미있는 관심사다.  


그러니까, 이번 여행은 대체로 이런 식으로, 하나마나한 질문을 생산하면서 걷는 시간이었다. 충동적으로 들어간 동네 식당에서 눈짓손짓으로 겨우 주문해 낸 메뉴를 받아들면서도 여러 갈래의 상념과 질문들이 파생되기 마련이다. 예컨데 ‘맛’이나 ‘향’과 같은 비(非)시각문화적 요소 안에도 분명히 근대화 과정에서 새롭게 주조된 기호라든지, 음식문화가 일상의 영역에서 요식업, 나아가 제조업으로 이행되는 과정에서의 도시화와 사회변동의 요소를 추적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토착문화와 일본, 중국, 서구의 것이 ‘화학적’으로 혼합된 지점에서는 필히 눈길을 끄는 무언가가 있기 마련인데, 이러한 질문은 사실은 대만에 대한 질문이기보다, 돌이켜보니, 우리 역사와 사회에 대한 궁금증이기도 하며, 흔히 식민지 문화연구로 일컬어지는 연구문제를 일부 포함하기도 한다.  

가령 이런 종류의 질문들이다. 한국 못지않게 굴곡진 근현대사를 거친 대만에서 대표적 중 식당인 딘타이펑이나 가장 흔하게 보이는 일본계 패스트푸드 체인인 모스버거 이전에 존재해왔던 토착 식문화는 현재 대만의 미식문화에서 어떠한 형태로 잔존/파괴 되었을까.  


이와 함께 줄곧 나를 사로잡은 대만의 ‘맛’은 수준높게 제조된 달콤한 음식들이었다. 가족과 친구들에게 줄 기념품으로 구입할 펑리수(파인애플 쇼트케이크)나 망고젤리 같은 군것질거리를 구경하면서 달콤한 음식의 종류도 상당하고, 그 안에서 폭넓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우리의 경우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설탕과 인공적 감미료를 넣어 제조한 ‘단 음식’에 대한 기호는 지극히 근대적인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일본을 경유하여 수입된, 천연의 단 맛과는 다른 매혹적인 서양의 맛으로 단기간에 한국사회를 점령해 버렸다. 대만 제당산업의 정수라 할 수 있는 펑리수 한 조각을 먹으면서 100년 전 쯤으로 시계를 돌려  상상력을 발휘해 본다. 근대 조선은 일제 제국주의 시대의 식민지 중 하나로 사실 ‘자원 수탈’의 관점에서 그 다지 메리트가 있는 곳은 아니었다. 식민지 조선이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대륙으로 전진할 수 있는 병참기지의 역할을 했다면, 비슷한 시기 대만은 따듯한 기후와 토양으로 대규모 플랜테이션 농업이 가능한 곳이었다. 대만의 사탕수수 농업은 외화획득을 위해 일제에 의해 육성되었고, 당시 조선의 값싼 노동력이 어쩌면 멀리 대만까지 흘러들어갔으리라는 추정도 해봄직하다. 대만에서 재배된 사탕수수가 아시아 내의 노동력과 미각의 ‘모빌리티’에 어떻게 작용했을까에 대한 가정적 질문인 셈인데, 아마도 이러한 근거는 실증적 자료에 의해 뒷받침되거나 기각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위엔샨 역 근처의 숙소에서 매일 아침, 저녁으로 티비 시청을 하는 것도 흥미로운 시간이었다.

분명 주부층을 주 시청 대상으로 한 아침 연속극, 한국에서 인기있는 프로그램과 거의 비슷한 포맷의 예능 프로그램, 전지구적 열풍인 오디션 프로그램까지. 그 가운데 시선을 끈 부분은 의약품 광고다. 엄격히 세어보진 않았지만 유독 제약품 광고의 빈도가 높았고, 그 가운데서도 치아, 잇몸과 관련된 상업광고, 공익광고가 자주 방영되었다. 협소한 모집단에서 추출한 통계의 오류라면 낭패겠지만, 적어도 공공 미디어에서 위생과 건강에 대한 강조가 두드러진 것만은 흥미로운 발견점이었다. 오염과 질병에 대한 공포를 통제하려는 사회적 계몽주의는 비단 대만만이 가진 특징이라 할 수는 없겠지만, 아시아의 과거와 현재를 이해하는 중요한 연결고리임에는 틀림없다. 전통 의학에 기반한 자가치유와 주술적 습성이 강한 아시아 국가에서 서구식 ‘의과학’으로 대변되는 사회적 위생 헤게모니가 어떻게 작동. 발전되어 왔는지를 살피는 것은 소위, 은유로서의 질병에 대한 접근이기도 하겠지만, 질병에 대한 공포의 역치를 가늠하는 일은 사회의 병리적 구조를 투사해 볼 수 있는 실증적 접근이기도 하다.  


또 하나, 타이페이에 머무는 중 반복해서 방문했던 야시장의 풍경도 내 눈에는 이색적으로 다가왔다. 한국의 경우 재래시장은 대부분 저녁에 문닫기 마련이어서, 클리셰같이 들리겠지만 떠들썩한 야시장에서 도시가 가진 특유의 생기나 리듬이 출렁임을 느낄 수 있었다. 가장 재미있었던 점은, 음식을 먹는 것이 철저히 금지된 지하철 정책에서 느껴졌던 국가주의적 통제와는 달리, 야시장 내에서 마작이나 도박에 가까운 일상적 내기나 경품을 내건 게임 등이 활개를 치고 있었던 풍경이다. 시 외곽의 담수이 지역이나 다른 관광지에서도 어김없이 볼 수 있는 모습이었다.  


도시 내에 대학이 무척 많다는 것도 버스를 타고 다니면서 발견한 점 가운데 하나인데, 오직 교육을 통한 ‘인적자본’의 축적과 그 안에서 극심한 경쟁구도를 통해 움직이는 한국 사회의 상황과 어떻게 비슷하고, 또 다른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만일 미술기관 방문과, 본격적인 작가 조사에 앞서 이러한 개인적 여행이 선행되고, 여기에서 도출된 문제의식 기반해 미술작업에 대한 주제적 접근이 이뤄졌으면 어땠을까 잠시 생각해 보았지만, 순서가 바뀌어도 결과가 크게 다르지 않을 것 같기도 하다. 

   


현재의 징후에 대한 역사적 소급, 동시대 미술에 적용하기 


열강 사이에서의 식민 경험과 외부로부터의 정권 변화, 권위주의 국가 통치의 시기를 지나 80년대 계엄령의 해제, 민주주의/자본주의 체제로의 점진적 전환, 글로벌 체제에 편입되고자 하는 경제적 노력과 산업 구조의 재편 등 많은 부분 대만은 한국과 유사하게 역사적 과정을 관통해 온 것처럼 보인다. 아마도 그 과정에서 일어난 비극적 상흔이나 트라우마에 가까운 징후들은 시간의 더께 속으로 묻혔거나 휘발되어 무지한 여행자의 눈에 띄기 쉽지 않을 것이다. 그렇지만 여행 직전에 한국-대만을 달군 소위 ‘쯔위’ 사태와 진보적 여성 총통 당선과 같은 새로운 상황들은 그동안 막연하게 접근해왔던 양국을 둘러싼 상관관계, 대만 내부의 문제의식, 동아시아 내 외교적 역학 등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 보는 기회를 제공했다.   


이전에 비해 조금은 더 긴밀하게 조직된 나흘간 시간 동안, 홀로 보고 들었던 많은 것들을 흘려보내기도 하고, 때로는 지나치게 의미부여 하기도 하면서 소소한 질문 거리들을 나열하고 그것들 사이의 연결지점을 그려 보려고 했다. 여전히 피상적이며, 근거가 희박하거나 오해에서 비롯된 질문들이 산재해 있다.  질문의 방향이 자꾸 현재나 미래가 아닌 과거로 소급되고, 옆으로 확장되거나 원점으로 되돌아오는 까닭은 무엇일까. 멀찍이 보면 무관해 보이나, 자세히 들여다 보면 비슷한 문화사적 결절점을 공유하거나 교차해왔던 대만과 한국 사이의 연결고리를 확보하고자 하는 의도 때문일 것이다. 징후란 언제나 현재에 노출되어 있지만 단서들이 파생된 기원은 늘 대과거에서 비롯되었기 마련이다. 미술의 징후 역시 마찬가지다. 미술관에 걸려있는 작업 생산의 기원은 물론 작가 주체에서 출발했지만, 기관의 역사, 이미지의 역사, 그리고 미술이 주제나 형식적으로나 작업화 될 수 있는 조건들의 역사를 되돌아보지 않으면 이해할 수 없는 것들 투성이다. 무엇보다 대만의 역사, 나아가 아시아의 근현대사에 대해 무지한 수준에 머물러 있는 리서처가 생산할 수 있는 질문이라는 것이 저급하고 표피적일 수밖에 없음을 나 스스로의 상황을 통해 재확인해야 하는 나흘이었다.  


궁극적으로 질문들이 향하는 방향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최적화된 연구조사 방법론을 적용한 미술작업을 리서치하거나, 새로 발굴하기 위함이다. 여행 후 새로운 미션이 주어진 셈이다. 나아가 개인적 리서치 주체를 동료들과 나누고 좀더 의미있는 상위의 문제의식으로 확장하고, 그것이 전시 프로그램으로 조직될 수 있도록 세밀한 묘사, 큰 그림으로 엮어 보려고 한다. 




4 Days at Yuanshan


: When traveler’s curiosity permeates into daily moments


researcher _ Juri CHO




Prologue 


As the itinerary became shorter, my activities also became simpler. It was not until I booked the flight that I recognized many Koreans visit Taiwan during the New Year’s holidays. Considering relatively short distance, exquisite delicacy, unique landscape and the energy of night market, it is not so surprising. It was not that long ago that Koreans started to perceive Taiwan as a new tourist spot where they can enjoy the charm of both China and Japan. I tried to find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through websites and books in order to make an efficient plan; however, it was unsatisfactory. In most cases, travel information tends to be extremely commercial. While trying to deviate from the conventional tourists’ route, part of me admitted that there should be some reason why everyone says that these places are the essence of Taiwan. Maybe there is no point in deliberately neglecting it. 


Only after deciding where to stay, the outline of my trip became clear. Since it was the last thing I wanted to do to stay at some random place, I made a list of my ideal accommodation. I ruled out hotels from the beginning. I would prefer common neighborhood with ordinary places like old markets, small bookstores, schools, sports facilities and temples to famous tourist spots. Luckily I was able to rent an apartment of a single woman around my age for four days. It was quite close to my initial principles.


 I could draw rough picture of this trip once deciding where to stay in this city. 


First, stay at one neighborhood as long as possible, and thoroughly explore the inner face of the places within the range. 

Second, make a meaningful discoveries and inquiries from ordinary scenes. 

Third, do not necessarily be obsessed with art institutions and tourist spots. 

Fourth, get accustomed to the urban rhythm of Taipei people. 


On the other hand, I thought about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this trip to last year’s visit. The first trip on November 2015 was a holistic research on art institutions of Taiwan, primarily in Taipei city. This allowed me grasp the landscape of Taiwanese art scene. Therefore, I wanted this visit to be not only a review of the first trip but also a chance to explore deep inside the city and people’s lives inside it. In other words, what I tried to achieve this time was a kind of micro-observation of Taipei.



Questions; Moving along the MRT 


February in Taipei was bleak with drizzles and occasional cool breezes. Every morning I went out from the apartment, took the subway, got off at a station and ambled around the area. Most of destinations were within the red MRT line: Tamsui, the north end of the red line; Shilin Station and the night market; Expo park and Confucius Temple; City Museum; National Palace Museum; luxurious shopping street near Zhongshan Station; Guanghua Electronics District and 101 Tower. Some places were on the travel books and some places were encountered by chance. Since the luxury of a tour guide was not allowed to me this time, I had no choice but to decode cryptic languages and follow the instructions on the strange signs. 


My apartment was located in Yuanshan area, which can also be variously pronounced by myself as Won- san, We-an-san, We-en-shan, Yu-an-shan. Since Taiwan uses traditional Chinese, not simpli ed Chinese, which is the same in Korea, I had no dif culty in reading. But actually, the problem was in listening. I am always confused by the imbalance between the symbolic image of a Chinese character, which is visually a combination of several radicals, and the auditory signal triggered by its rhythmical pronunciation. It is largely different from Hangeul (Korean alphabet), which has no difference in tone and is pronounced as a single phonetic value. In addition to this, I am also curious about the actual difference between the Mainland Chinese and formal language of Taiwan, and the survival and transformation of native Taiwan- ese language. According to a friend who helped us with interpretation last time, Mainland Chinese and Taiwanese can have a conversation but may not be very natural. I found that this discontinuity is similar to South and North Korea: both share the same language but the cultural and historical gap is growing bigger and bigger. As a person who enjoys making a small question into a big one and developing a use- less curiosity into a meaningful inquiry, I have always been interested in the problem of gradual impossi- bility of communication caused by geopolitical differentiation and cultural migration inside the East Asia, which is in the same cultural area of Chinese character. 


For the most of the time, I wandered around while generating trivial questions. Even when sitting in front of the unfamiliar menu that I barely managed to order with ridiculous gestures, I was able to  nd numerous thoughts and questions such as: there could be some newly coined non-visual symbols such as  avors and scents, which were generated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also, it would be worth tracking down the factors of social change and urbanization within the process where the food culture becoming an industry from a piece of everyday life. There is always something that draws people’s mind at the point where the native, Japanese, Chinese and Western culture is chemically combined. In retro- spect, this question was not about Taiwan; actually, it was a curiosity about our history and society, which contains a part of research questions that are usually dealt by so-called colonial cultural studies. For ex- ample, how has the native food culture before Din Tai Fung and Mos Burger been left or destroyed in the current Taiwan society while undergoing the tumultuous modern history? 


A Taiwanese  avor that captured my appetite was sweet deserts with high quality. While looking around markets to buy pineapple cakes and mango jellies for family and friends, I noticed that there are a va- riety of sweet delicacies with a wide price range. In Korea, predilection for sweet foods made by sugar and arti cial sweeteners is a product of modern age. Imported through Japan, the fascinating  avor of western sweetness occupied Korean society. Eating a piece of Fenglisu, the essence of Taiwanese sugar manufacturing industry, I exercised my imagination. Modern Joseon, one of the colonies of Imperial Ja- pan, was not actually a bene cial for exploiting resources. While its geopolitical location made Joseon a base for expansion, Taiwan was a perfect place for large-scale plantation with its warm climate and fertile soil. Taiwan’s sugar manufacturing industry was intentionally fostered by Imperial Japan as a method of obtaining foreign currency. It would not be a wild guess that cheap labor forces of Korea were assigned to far Taiwan. This is related to the hypothesis that sugar manufacturing of Taiwan would have largely affected the ‘mobility’ of labor and taste of Asians. This suggestion could be either supported or dismissed by empirical data.


 Watching TV was also an interesting experience. I watched TV before leaving the apartment and after getting back. Many programs seemed quite familiar: morning time soap operas for housewives, enter- tainment shows that reminded me of Korean TV, and audition shows that has worldwide popularity nowadays. Among them, what captured my attention were advertisements of medicine related products. Not that I counted thoroughly, majority of them were commercial campaigns of medicines, especially products for gums and tooth. Although it cannot be generalized with such small size of samples, it was certainly interesting to  nd that hygiene and health are so emphasized at the public media. Social enlightenment that tries to control the fear of contamination and diseases is not limited to Taiwan; it is an important link to understand the past and present of Asia. On the one hand, it is an approach to disease as a metaphor to explore how the social hegemony of hygiene that is represented as western medical science has been operated and transformed within the Asian countries who has long tradition of self-medication and superstition; however, speculating the threshold of fear for disease is also an empiri- cal approach that penetrates the pathological structure of the society. 


Another discovery I made while riding buses is that there are plenty of universities inside Taipei. This made me curious about how Taiwanese society is similar to and different from Korean society, where education is a crucial way to accumulate ‘human capital’ and an operating system that structures extreme compe- tition. Slightly overwhelmed by unceasing questions and discoveries, I asked to myself: what if this kind of personal trip preceded the of cial visits to art institutions and artist research? In this case, thematic approach based on personal inquiries would have been possible. Well, the change in sequence might not affect the consequences that much. 



Retroactive interpretation of current symptoms: 

applying to contemporary arts 


Taiwanese history shares many characteristics with Korean history: colonization by imperial powers, regime change by outside power, authoritarian administration, withdrawal of martial law in the 80’s, gradual switch to democracy/capitalism, economic effort to be included in global market system, rear- rangement of industrial structure, etc. Perhaps many of tragic scars and traumatic symptoms would have been buried in the thick layer of time or volatilized that cannot be easily witnessed by ignorant travellers. However, a series of events – ‘Ziyu’ scandal and the election of progressive female prime minister -- that occurred right before the trip provided me a chance to deeply think about problems like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Taiwan, domestic issues of Taiwan society, and political dynamics between East Asia. 


During the four days in Taipei, I let many of what I heard and saw slide by, while ruminated over some of them. Enumerating small questions, I tried to  nd the links between them. Still there are so many unsup- ported questions full of fallacies.


 Why do questions keep heading back to the past, not moving forward to the present or the future? Why do they keep expanding and returning to the starting point? Maybe it is because of the intention to se- cure the linkage between Taiwan and Korea, two countries that seem to have no connection at all, but actually share a lot of similar cultural-historical nodes and crossings. Although every symptom is exposed in the present, its origin is always in the past. Symptoms of the art are no exception to this. Every piece of art in the museum is initially originated by individual artist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we can properly understand the artwork without knowledge about the history of organizations, images, and other conditions that enabled the creation. Four days at Yuanshan made me realize the limitations I have as a researcher who knows little about modern history of Taiwan and other Asian countries by the quality of questions I made.


 All the questions I made cannot be meaningful until I share these issues with others, list up and discover the artworks that utilized optimal research methodology. So, it can be said that a new mission is assigned after the trip. Furthermore, I am planning to expand my personal research theme to a more broad and meaningful question by discussing it with colleagues and fabricate it into a big picture with elaborate de- tails so that it can be organized as an exhibition program. 



*Written by Juri CHO and Translated by Jungwon CHOI


** This is an internal report after the research trips to Taiwan, which was fully funded and supported by Arts council Korea and NCAF Taiwan between 2015 and 2016. This inter-national curatorial research practices developed into the exhibition titled <Mille- feuille de Camelia> at Arko Art Center from December of  2O17. Among 8 selected participants from both countires, Hyunju KIM & Juri CHO(KR) and Yunglin WANG(TW) worked togethere on this exhibition as co-curators for the show. 

작가의 이전글 “Trans-mission : 이석에서 귓바퀴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