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r united Apr 12. 2018

research proposal '베틀, 배틀'

사전 리서치 프로포절 

Proposal  

  

Title 베틀, 배틀 (Loomshuttles and Warpaths) 

Venue 토탈미술관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Period 내년 가을 Fall of 2018 (Sep-Oct, TBC) 

Support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외 

                Arts Council Korea (Main public funding will be progressed next spring) 

Researcher and Curator Juri CHO & more contributors 



프로젝트/리서치 제안  조주리



출발점


<베틀, 배틀>(가제)이라는 제목으로 제안된 본 전시는 오스트리아 기반의 설치작가 이네스 도우약(Ines Doujak b.1959)의 장기 연구과제인 “Loomshuttles/Warpaths” 작업을 담은 전시 <Not Dressed for Conquering)(Württembergischer Kunstverein, Sttutgard, 2016)로부터 촉발된 기획 고안물이자, 문화연구 주석을 덧붙이고자 하는 시도다. 


전시에서 작가가 펼쳐낸 예술적 쟁점과 실천들을 거칠게 요약하자면, 천을 짜는 방직노동의 역사와(“베틀”) 식민지 전장 위의 경제적 현실이 (“배틀”) 어떠한 문명사적 상관관계를 직조해 나가는지를 매우 진지한 호흡의 연구물과 기이한 창작-패션 오브제를 엮어 내는 일, 나아가 그 결과를 전시를 매개하여 패션 굿즈로 소비시키는 일까지 확장을 꾀하는 것이었다.  


전시는 남미와 아시아를 가로지르며, 직물에서 패션산업으로 이행되는 식민지 근대화 과정에서 촉발되었던 잠재된 폭력성의 구조와 그에 저항하는 토착의 몸짓을 여러 요소들을 통해 기록하고 고발하고, 나아가 새로운 형태의 직물과 패션으로 지금의 시대를 그려낸다. 


Starting Point

 The exhibition, <베틀, 배틀>(which means literally “Loomshuttles and Warpaths” in Korean, as a working title) is a secondary curatorial show of the exhibition titled Not Dressed for Conquering (Württembergischer Kunstverein, Sttutgard, 2016) which features Ines Doujak’s (b. 1959) long-term research project, the Loomshuttles/Warpaths and an attempt at attaching a cultural research footnote. 

To roughly summarize Doujak’s commentary and achievements, it is a research on how the history of textile weaving (loomshuttles), and the economic reality of colonization (warpaths) are woven together into the history of civilization; and linking such results with the peculiar creative fashion objets. Furthermore she expanded her work to render her creations into consumable fashion goods via her exhibition. 

Doujak documents in various ways,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by colonization across the South Americas and Asia; and the structure of potential violence derived from it, crossing over from the textile industry to the fashion industry; and the indigenous resistant gestures. Furthermore, she portrays the current era with a new form of textile and fashion. 



새 목표점

  

새로운 전시의 목표점은 여성 방직 노동의 기원이라 할 수 있는 ‘베틀’에 포획되는 우리(한국) 내부의 문제들을 되돌아보는 것이다. 또한 ‘배틀’, 즉 전투나 전장이라는 용어에 내재된 다층적 함의들- 식민적이며 억압적 노동 현실과 저항의 흔적들, 불균등한 세계 경제 체제 속에서 동남아시아의 노동의 착취를 통해 지탱되는 패션 산업의 현 지점, 전통의 소실과 현대적 대응 방식의 양상을 두루 조명 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 방식은 순진한 고발이나 방대한 자료의 구성에 기댄 시각적 연출은 아닐 것이다. 오히려 오늘날 미술관에 

개입한 오뜨 꾸뛰르 숍이 과시하는 화려한 외피 속에서, 진지한 연구의 속살과 다양한 작가적 프레젠테이션을 수놓음으로써,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이중 구조를 은근하게 드러내고, 옷감에서 옷으로, 옷에서 패션으로 시스템을 옮겨가는 과정에 담긴 의류사회학적 의미와 복합적 켜를 내보이고자 함이다.   


인류 문명을 이루는 원형적 행위로서 이해되는 전통 직조에 내재된 개인의 공예적 손길, 공동체 내의 협력적 노동 사슬, 산업화 과정에서 명징하게 가시화된 노동 소외, 특히 여성 노동 착취 구조, 동시대 패스트 패션과 하이엔드 패션 사이에 놓인 모순적 상호 닮음의 문제까지. 전시가 다루어야 할 최종 과제는 축소되겠지만, 리서치 과정에서는 최대한 깊고 넓은 과녁을 마주하며 고민해야 함이 자명하다. 


전통 길쌈과, 컴퓨터 코딩으로 가능해진 니팅 머신의 제작기술, 텍스타일 디자이너의 일상적 생산이 같은 공간 안에서 현대미술 작가들의 새로운 변형과 조형 방식과 공명하면서, 비로소 베틀의 몸짓은 파괴와 수탈의 전장이 아닌, 창의적 배틀로 전환된다. 


The New Goal 

The goal of the new exhibition is to review the local issues of Korea that are captured through the “loomshuttles,” the origin of the female workforce in textile weaving  in Korea. Also, the various connotations behind vocabulary such as “warpaths” – or in other words, war or the battle fields, colonization and suppressive labor conditions and evidence of resistance; the current state of the fashion industry that is held together by the South East Asian sweatshops in an uneven world economy; and the loss of tradition and modern solutions are to be highlighted. 

The method will not be that of naïve statement, or a visual display of a large body of information. Rather, by showcasing the delicate research results and various artistic presentations within the extravagant shell of haute couture that made its way into the art museum, the acutely double sided structure we face can be subtly revealed, as well as uncover the costume-sociological significance and complex layers within the process of cloth becoming clothing, and clothing becoming fashion. 

Though the total assignment may be reduced in scale, the research must be wide in scope and in depth. Be it from the personal craftsmanship embedded in traditional textile weaving which can be understood as the archetypical act that make up human civilization; the chain of cooperative labor within the community; the apparent marginalization of labor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especially the exploitation of female workers; all the way to the ironically similar issues between today’s fast fashion and high-end fashion 

The gil sam, or Korean traditional textile weaving, and mechanical knitting made possible with computer coding, and the every-day production of a textile designer can come together in one space to resonate with the new changes and formative methods of the contemporary artists to transform the movement of the shuttles from that of destruction and plunder into a creative warpath. 



연구 과업들



전시를 가능케 하는 주요한 동력은 한국과 동남아시아의 방직 역사와 노동의 문제를 비평적 시각에서 되돌아보는 사전 연구조사와 문화연구 기반의 작가 창작 프로세스에서 비롯된다.  


1.이를 위해서는, 우선은 이미 그와 유사한 문제의식을 비평적으로 선취했거나 일정 부분 교점을 가진 작가들의 작업들을 전반적으로 재 소환하여, 더 큰 맥락 안에서 리뷰해 보는 것이 선급하다. 이네스 도우약의 작업은 이미 국내에서 부산 비엔날레와 같은 메가 전시에서 소개된 바가 있으므로, 전시로서의 당위성을 살피면서, 이 전시가 개인전의 국내 소개가 아닌, 새로운 틀에서 연결되고 내용적으로 심화, 확장 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들을 지금 단계에서 살펴본다. 단순 참여가 아닌, 공동의 연구/창작 과제로 인식 할 수 있는 작가, 디자이너, 전통 이수자, 동남아시아 지역학 및 직물 이론가, 그 밖의 전문가들의 협업 지형도를 그려본다.  (국내연구)  


2.다음으로, 새로운 프로젝트를 통해 연구되고 공유되어야 할 가치있는 내용들을 구상하고, 이를 위해 요구되는 구체적 연구 과제를 디자인하고 진행한다. 작가들의 작업 안에서 유의미하게 개입될 수 있도록, 아주 구체적인 수준에서의 탐방과 현장 파악, 연계 기관과의 미팅이 요구된다. 사전연구는 탁상연구에서 나아가 국내의 지역 현장 조사와 동남아시아 현장, 협력기관과의 미팅을 올 하반기 동안 진행한다. 의례적 미팅이 아닌, 연구자 역할을 일정 부분 담당하는 기획자의 수집 조사 연구 여행이 되도록 기획한다. (국내 및 동남아시아 리서치 트립 단계)          


3. 마지막으로, 기존의 이네스 도우약의 독창적인 아카이브 생산 과정과 전시 프로그램으로 확장된 전략과 운동성을 살피는 큐레이토리얼 연구가 필수적이다. 새로운 전시에서 덧붙이고 수정되어야 할 쟁점들과 작품 생산이 기존의 전시 프레임에서 어떻게 접맥되고, 때로는 이탈되어 새로운 의미를 파생시킬지 충분한 고민이 필요하다. 독일 슈투트가르트 소재의 미술관 학예팀과의 공동 연구 기간을 확보하고, 작가의 스튜디오가 소재한 오스트리아를 방문하여 기존의 직물 연구 프로젝트에서 한국과 동남아시아의 사례를 추가로 확장해 나가는 문제와 함께 이를 전시에 반영하는 방식과 한국 창작자들의 문화적 해석과 창작 플랜을 공유함으로써 차후 전시의 얼개를 확정 짓는 계기로 삼는다.  



Direction of the exhibition & Research assignment 


The major driver of this exhibition is the creative process based on preliminary research, critically reviewing the history of textile weaving and the issue of labor in Korea, and South East Asia. 


In order to achieve our goals, I(we) must: 


1. First and foremost, bring together the artwork of artists who share similar voices in criticism, or who are already on the similar frequencies as Doujak to review them in a wider context. Korea is already acquainted with Ines Doujak’s work through mega exhibitions such as the Busan Biennale. Reviewing various potentials for further links, contextual enhancement, and expansion would be more suitable rather than re-introducing Doujak with a solo show. There is a blueprint for co-work among experts such as artists, designers, traditional craftsmen, scholars of South East Asia and their textiles who can see this project as something more than cooperative research/creation. (Local research) 


2. Plan for creating quality content that is to be researched and shared through the new project, and design and carry out the specific assignments necessary. Exploring and familiarizing with the sites (both Korea and South East Asia), as well as meeting with the partner institutions in a way that can positively affect the artist’s work is needed, all of which shall be carried out by the end of this year. The meetings will be planned to be part of the curator’s research who is one of the participating researchers. 


3. Carry out curatorial research on the unique archiving process of Ines Doujak, and the strategies, and motility that is expanded as part of the exhibition program. How the commentary that are to be added and changed in the new show, and artwork production connects to the original framework, and at which stages ideas should be deviated to create new meaning must be thoroughly thought through. Curators at the Stuttgart in Germany, and the artist in Austria are to be visited to discuss how the Korean and South East Asian aspects are to be included, and to share the cultural interpretation and creative plans of the Korean artists to stamp out the roadmap of the new exhibition. (Cooperation between overseas institutions and curator)  


(Translated by Jeongyoon KIM)



This brief paper  was submitted to the Arts Council Korea for the travel grant last summer  and  chosen by ACK on early August as far as I remember. And also, it was shared with overseas artist in the beginning. As it was an initial version, this paper has been revised pretty much and developed into the final report after 3 months research period which includes 40 day trip to Austria, Germany,  UK and local cities in Korea.

작가의 이전글 on a starting point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