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r united Oct 29. 2019

번외편: A-side-B

2019 금천예술공장 오픈스튜디오 기획전 기획의 글

번외편: A- side-B


기획의 글





‘번외’는 말 그대로 본래 전달하고자 하는 공식화된 언어의 바깥 자리에 놓인 이야기들을 폭넓게 지칭한다. 용례에 따라 ‘서플리먼트’(supplement), 즉 보충이 되는 주변적 서사일 수도 있고, 사람들이 공유하고 있는 어떤 시공을 앞질러 존재하는 누구도 알지 못하는 지점, 즉 ‘프리퀄’(prequel, 전편)이기도 하다. 혹은, 본편에는 삽입되지 않았지만 호기심이 강한 사람들에게는 탐독의 대상이 될 수 있을 일종의 ‘부록’(appendix)에 해당할 수도 있겠다. 


올해로 10주년을 맞는 금천예술공장. 그 시간의 더께만큼 이곳의 역사를 공유했던 여러 존재들의 이야기가 쌓이고, 어느 틈엔가 흩어지고, 다가올 마주침을 예비하는 이 공간이 마치 저쪽에서는 재방송이 나오고, 이쪽에서는 다음회 예고편이 흘러나오는, 뒤엉킨 시간웅덩이처럼 느껴진다. 현재 금천예술공장을 기반으로 활동 중인 작가들의 작업 이력과 인생 행로 또한 같은 시간대에 저마다 다른 좌표를 지나고 있다. 단편적이고, 때로 지나치게 반들거리는 기획의 언어로써 각각의 특수한 서사들을 덜컥 획정해 버리는 것은 경계되는 일 중에 하나였고, 실은 온통 그 걱정이기도 했다. 


여러 작가들과의 대화를 통해 개별 스튜디오를 ‘원전’으로, 기획전을 일종의 ‘번외’의 자리에 놓자는 단순한 발상, 어쩌면 당연하기도 한 출발점을 되새겨 보고자 하였다. 작가들의 대표작들을 일관된 주제 안에 배치해야 하는 부담과 강박을 덜어내고, 기획전 만들기의 난제를 구조적인 뒤틀기를 통해 새롭게 사고해보고자 한 시도이기도 하다. 변화하는 시제와 시점에 따라 스토리가 매번 달라지는 소설이나 영화의 번외편을 상기시키는 제목처럼, 이번 전시는 작가들의 잘 알려진 대표작들 보다는 창작의 기원과 변화들을 지시하는 다양한 ‘덜 알려진’ 혹은 ‘어딘가 다른’ 작업들로 주로 배치되었다. 


<번외편: A-side-B>은 기획전의 타이틀이자, 동시에 오픈 스튜디오 전반에 대한 포괄적 수사이기도 한데,  A와 B로 상징되는 양면적, 혹은 그 둘을 오가는 중층적 구조 안에 일종의 전일담이자 부록물에 해당하는 창작의 서사들과 단서들을 불균질하게 흩뜨려 놓고자 하였다. 금천예술공장 전체를 가로지르는 전시는 크게 세 가지 층위로 구성되어 시간과 공간의 하중을 함께 짊어진다. 중층은 물론 작가들의 작업실이다. 수장고이자 쇼룸이며, 연구실이자 창작소인 아뜰리에는 각 작가들이 도달해 있는 가장 현재적인 세계를 보여준다. 물리적으로 상층부에 해당하는 전시공간 PS 333에서는 작업의 시원점과 참조점, 더러는 변곡과 이탈의 지점까지를 두루 조명한다. 평탄하지 않은 갤러리 바닥의 부분적 융기와 침강은 작품의 성격에 따른 물리적이고 합리적인 분배의 방식을 취하기 보다, 전체가 어우러졌을 때 연극적 ‘빌리지’(Village) 혹은 하나의 가상적 ‘홈’(Home)으로 비추어지고자 한 선택이다. 기숙사 혹은 집합 사무실과 유사한 도면을 가진 입주 공간을 개념적으로 축도하고, 비튼 것이기도 하다.    

물리적으로 하부를 이루는 지하 공간에서는 언어적으로 명시되고, 포박되고, 때로 그 의미를 탈각하기도 하는 작업의 비물질적인 양태와 서로 간의 연관관계들을 이미지와 텍스트의 긴장관계를 통해 조명하게 된다. 이렇게, 세 개의 층을 오르내리며 흩어진 원전과 부록, 대과거와 근미래, 개별체와 집단의 태는 서로 엉겨붙거나 해리되고, 퍼뜩 솟아오르고 이내 내려 앉기도 한다. 


번외편의 부제인 A-side-B는 앞면과 뒷면, 원전과 각주, 텍스트와 이미지와 같은 이분법적 세계가 실은 어떤 주기마다 자리를 교환하며 공전, 자전하는 세계와도 같음을 시사한다. 독자와 관객을 향한 일종의 방백(Aside)이자 전편에 가리워진 배면(sideB)의 이야기들이 교차되었으면 한다. 친절하고 산뜻한 프레젠테이션을 포기한 자리에 띄엄띄엄하지만 그 사이를 잇는 다양한 서플리먼트들을 삽입해 본다. 작가들에게도 그들이 다시 가본 옛 자리는 어쩌면 그때의 그 자리는 아닐 지도 모르겠다.  


응달진 자리에 슬며시 빛이 차오르고 재빨리 꺼져가는 시월의 하오(下午).


짤막했던 하루치 이야기가 대 서사시로 이행하는 데 걸렸던 어떤이의 구불구불 휘어진 시간을 멋대로 추억해본다. 그리고 이곳을 찾아올 다른 누군가가 몰고올 우연한 시간들도 상상해 본다. 전시도 전시지만, 섬망처럼 흩어져버린 요즈음의 분주했던 순간들과 고이 이어져온 긴 시간의 단면이 잠깐 동안 자리바꿈되는 경험이었으면 한다.           



조주리 (전시감독)





Beonwe: A-side- B


Curator’s Note


The Korean word beonwe (번외, 番外, other stories that are not part of the main plot) is a term that defines the stories that are set aside from the official language that is to be delivered. Depending on the usage, it can mean ‘supplement’, i.e., peripheral narratives that support the main idea, but at the same time, it can mean ‘prequel’, what precedes the time-space that is currently shared by the audience, and therefore cannot be known by anyone present. Or, it can also be an ‘appendix’ that is not a part of the main feature that may be read by a curious few.

This year marks the 10th anniversary of Seoul Art Space_Geumcheon. This space feels like a pond of jumbled time where the stories of those who shared its history are layered, then dissipated at an undetermined time, with a rerun being played in one corner while a trailer is being played in another, readying itself for another future encounter. The career and life trajectories of each artist currently based in Seoul Art Space_Geumcheon are all passing through different coordinates, but within the same time frame. Defining each of the unique narratives with the fragmented, and at times, over polished language of a curator was a sizable concern. In fact, it was the predominant issue.

Speaking with many artists, I came up with a simple idea—and probably the most natural course of thought—to render the individual artists’ studios as the ‘original texts’, and the special exhibition as the ‘beonwe’, and decided to ruminate over this departure point. In a way, it was an attempt at alleviating the pressure of having to place the main works of each of the artists under one single topic and see the structural challenge that comes with putting together a themed exhibition in a different light. Just like the title which points to the beonwe of novels or films that change the main plot depending on the timeline and perspective, artworks that are lesser known or somewhat different that hints at the origins of or changes underwent by the creative minds are gathered and showcased in this exhibition. 

Beonwe: A-side-B is the title of this special exhibi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overarching rhetoric of the open studio. The aim was to unevenly disperse the narratives and hints of creation that are considered anecdotes about the past or appendices within the double sided that A and B signify, or the multi layered structure that allows one to hop between the two sides. The weight of time and space is propped up by the three layers of this exhibition which spans across the entire venue. The middle layer is of course, made up of the artists’ studios. The atelier that is the storage, showroom, and laboratory gives the audience a peek into the most current universe of the artists. The exhibition space PS 333 that is physically situated at the top story highlights the origins, references, and occasionally, the inflection and breakaway points. The bumpy, uneven floor of the gallery was a choice that was made to create a theatrical village or a virtual home for the show rather than to divide the artwork depending on its characteristics through physical and rational means. It is also a conceptual scale down of, and twist on the residency spaces of which the floor plans look like a dormitory or pigeon-hole office building.

The underground space that is physically at the bottom, highlights the non-material aspects of artwork that are linguistically clarified, bound, and even shed of meaning, and the connections between such aspects through the tension between image and text. As such, the original text and appendix, the far past and near future, the individual and collective that are scattered over the three stories are jumbled up, detangled, shot up, then finally sunken down.

A-side-B which is the subtitle of Beonwe, implies that the dichotomous world which includes the front and back, original text and footnotes, and text and image is like the world that changes position in a cycle, revolving and rotating. I hope that the aside directed at the reader and audience, and stories on side B that are overshadowed by the original can be intersected. Various supplements are inserted where there is a lack of a straightforward and chic presentation, albeit sparsely. Even for the artists, the place they returned to might not be the same space that was before.

Light tenderly fills up then swiftly dissipates one October afternoon.

I am reminiscing as I please, someone’s winding and bent up time it took for a short one-day story to transition into an epic. And I also imagine the serendipitous times someone may heard into this place with them. I hope that the audience can experience letting go of their busy moments that have dissipated into delirium and embracing the cross section of a long continuation of time, however briefly it may be.


Juri Cho (Curator)

작가의 이전글 JB’s 오십 쌍둥이 한 조각되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