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캘리그래피 석산 Aug 31. 2021

제37화 길이 빛날 목선의 최후

아직도 완도 근해에는 목선을 이용해 빈번하게 어로활동을 하고 있다.

반세기 넘게 동고동락했던 목선(전마선, 傳馬船: 노를 저어 다니며 가까운 연안에서 미역이나 해초, 조개를 채취하는 근해어업용 어선을 말한다.)은 더 이상 선박으로서의 가치를 잃은 채 여기저기 파손되어 폐선으로 꽤 오랜 시간 동안 방치되고 있었다. 그러니까, 지금으로부터 60년 전.. 1961년 2월 명지마을(진도군 조도면 명지길) 박진우 씨 아버지께서 김 양식을 하기 위해 최초 사용했다는 노 젓는 목선 전마선인 셈이다.


황포돛배(일명, 풍선 배) 이후에 출현한 전마선은 선수, 선미를 합한 총길이가 5m 내외고, 배의 명칭은 앞쪽을 '인물', 중간을 '쇠스랑', 뒤쪽을 '골', 배 위쪽, 즉 평면으로 보았을 때, 배 앞쪽은 '고다', 중간을 '배몽애', 후미에서 노 젓는 곳을 '노젓'이라 하고, 그 오른쪽 앞을 '노앞', 왼쪽을 '노뒤'라고 했다.

박진우 씨는 선외기 엔진을 장착한 FRP 선박을 타고 다니면서 60년 전 아버지가 타고 다녔던 목선을 보며 옛 추억을 떠올렸다고 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나무 재질로 만들어진 목선은 여기저기 풍파에 침식되어 흉물스럽게 변해갔다."면서 "지난 12호 태풍 오마이스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완전히 파손되면서 선저(배의 바닥) 부분에서 떨어져 나간 배 조각이 있는데 작품으로 활용하려면 가져가라는 언질을 받고 수거해 왔다.

폐목선 선 저의 길이는 대략 3m 남짓했다.

그 옛날 목선의 기억은 힘들고 암울했던 유년시절 추억이 앞선다. 한 겨울 눈보라가 치던 날! 아버지 따라 힘껏 노를 저으며 맨손으로 김 양식장에 김을 매러 갔던 일.. 지금의 김 양식장은 장비의 현대화로 예전의 김 양식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요즘에는 땔감으로도 쓰지 않을 소나무 폐선의 잔해 중 일부를 오래도록 보면서 옛 향수를 느낄 수 있는 작업을 시작했다. 기존의 사용했던 폐목의 길이보다 2~3배가량 더 크다 보니 작업 속도도 더디기만 했다.

누군가! 굳이 힘들고 어려운 길을 가느냐고 물을 때...? "산다는 것이 다 그런 것이 아니겠느냐"며 반문한 적이 있다.

'산다는 것은
모여서 이웃으로 사는 것,
서로를 위하여 사랑하는 것,
늘 배려하는 마음가짐을 갖는 것이야말로 "세상을 아름답게 볼 수 있는 현명함"이라고 생각이 든다.

아무리 쓸모없는 물건일지라도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접근한다면 방법의 차이에서  많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폐목선 선저부분으로 글씨 각을 했다.
매거진의 이전글 제36화 삼치 시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