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들의 창의성을 키워주고 싶다면 리더는 말을 줄여야
"리더가 말을 줄여야 함께 일하는 사람들이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다. 윗사람이 입을 떼는 순간 아랫사람들은 영원히 입을 다문다. 그래서 나는 3년 동안 정말 어금니가 아플 정도로 참았다."
-113쪽, <숲에서 경영을 가꾸다> 중
<개미제국의 발견>을 비롯 수많은 책을 쓴 이화여대 최재천 석좌교수가 서천 국립생태원(NIE)의 초대 원장으로 지내면서 겪은 조직 운영의 경험을 기록한 책이 <숲에서 경영을 가꾸다>이다. 이 책에서 그는 공공기관의 운영정책에 따라서 내부 직원의 만족도와 외부 방문자 등 다양한 평가지표가 어떤 결과를 보여주는가를 담았다. 이 책에서 저자가 언급한 바 그 어떤 자리보다 공공기관 대표 역할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다. 상부기관이나 외부 기관의 관여 이상의 간섭으로부터 독립을 하려면 내부의 역량을 키워야 한다. 그는 자신이 높아지기보다는 성공적인 조직운영을 위해 몸을 낮춰 일을 대했다. 자신이 리더로서 해야 할 일을 놓치지 않았다.
그럼 회사 안을 들여다보자.
생존권이 달려 있는 조직에서 일반 사원은 사장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다. 팀원은 팀 리더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다. 인사고과에 따라서 급여나 직책이 달라진다고 하면 직원들 스스로 뭔가 하나라도 해보겠다고 나서는 일은 쉽지 않다. 그러다 보니 직원들이 기꺼이 말을 하기보다는 지시사항을 듣는 일이 더 많다. 잘 되는 조직은 그러나 이와 반대로 움직인다. 취업난과 구인난 속에서 그래도 소셜벤처기업으로 사람들이 몰리는 이유는 뭘까?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직원들과 사장, 팀원과 팀장이 대화가 된다는 것이다. 직원의 이야기를 사장이 직접 들어준다는 것이다. 리더가 자신의 생각을 쏟아내는 게 아니라 직원들의 이야기를 듣는 데 더 많은 시간을 쏟는다. 리더의 업무 중 중요한 업무 중 하나는 팀원 육성이다. 대화는 직원 육성을 위한 기초적인 업무다. 리더는 혼자 떠드는 사람이 아니라 떠들도록 분위기를 만들어주는 사람이다. 리더는 직원들을 회의실로 모으는 사람이 아니라 직원들이 일하는 곳으로 가는 사람이다.
잘 안 되는 조직은 늘 사장이 회의를 소집하고 자신의 말만 하고 회의실을 나간다. 실적을 따지고 할 일을 지정해준다. 숫자 경영이 중요했던 때가 있었다. 지금은 인재 경영의 시대를 넘어서 창의 경영의 시대이다. 미래 경영은 조직 안에서 다양한 생각들을 발산할 수 있게 하고 그것들을 한 곳으로 어떻게 모으는 가에 따라 생존의 길이 달라질 수 있다. 한 사람의 창의력은 회사의 경쟁력을 강화한다.
"재능 없는 사람은 없어요. 자신의 재능을 발굴 못할 뿐이지. 나는 사람을 가리지 않고 만나서 얘기를 듣습니다. 경청하되 귀가 얇아서는 안 됩니다. 누구나 하는 생각 말고, 누구도 하지 않는 생각을 해야 합니다. 경청하다 보면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릅니다. 나는 불확실한 시대에 살았기 때문에 좌충우돌 많이 부딪혔어요. 인생도 이벤트예요. 과정 자체가 즐거워야 합니다. 즐겁게 일하다 보면 운도 따르는 것 같습니다."
-123쪽, '나를 믿어주는 한 사람의 힘' 중 '표재순'편
잔소리로 직원들을 닦달하는 시간보다 쓴소리를 더 할 수 있는 시간을 주고 귀 기울여 들어라. 듣는 만큼 생각이 달라진다. 생각이 달라지면 일의 방향이 다르다. 모두 같은 것을 따라 하기보다는 다른 것을 더 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줘라. 맘껏 떠들 수 있는 조직과 한 사람만 떠드는 조직은 에너지가 다르다.
지시사항이 많은 회사를 다니는 사람과 이야기를 더 들어주는 회사를 다니는 사람의 아침 출근하는 기분이 다를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