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히말 May 25. 2018

오늘 당장 LED 조명에 카메라를
대 보세요

형광등만 깜빡거리는 게 아닙니다. LED 조명 중 일부 역시 플리커(flicker), 즉 깜빡임 현상을 동반합니다. 깜빡거리는 조명이 눈에 좋을 리가 없죠. 연구에 따르면, 3~70Hz의 깜빡거림을 동반한 조명은 간질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합니다. 15~25Hz의 깜빡거림이 가장 위험하다고 하네요. 물론, 이런 정도의 깜빡거림은 눈에 보입니다.

문제는 보이지 않는 수준의 고주파수 깜빡거림입니다. 모르는 채로 깜빡거림에 눈을 노출하게 되니까요. 일반적으로, 100Hz 이상의 깜빡거림은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깜빡거림은 교류(AC) 전원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깜빡거림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가 정류 드라이버(constant current driver)인데요, 전력 조절을 통해 깜빡거림을 완화시키는 원리입니다. 교류 전원의 싸인 파동을 완화시키는 거죠. 전류 노이즈가 일으키는 깜빡임을 잡기 위해 전압 교정(power correction) 장치가 드라이버에 포함되기도 합니다. 이 두가지가 완벽하게 작동할 경우, 깜빡거림은 없어집니다.

비싼 조명에 어댑터가 달려 있는 이유가 이거죠. 교류를 직류로 바꾸면 깜빡거림의 대부분이 사라지니까요.

그렇다면 집에 있는 LED 조명이 깜빡거림이 있는지 없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휴대폰으로 LED 조명을 찍어 보면 됩니다. 깜빡거림이 있다면 물결 무늬가 나타나거든요. 사실 그냥 휴대폰 카메라를 광원에 대 보기만 해도 물결 무늬가 보입니다.

더 정확한 방법은 깜빡거림 테스트용 앱을 사용하는 겁니다. VISO Flicker Tester 라는 앱이 있다고 하네요.

오늘 당장 집에 가서 LED  조명들에 전부 휴대폰을 들이 대 봐야겠습니다. 회사 조명은 깜빡거림이 없네요. 다행히도. ^^;;


참고 문헌
http://www.premierltg.com/what-makes-an-led-bulb-flicker-how-to-solve-led-flicker/

https://www.soraa.com/learn/science/how-test-led-flicker-home


매거진의 이전글 진화심리학이 보는 성폭력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