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정식PM Sep 14. 2022

인하우스 기획자의 협업 환경 이야기

보통 자사 서비스를 운영하면 인하우스, 타사 서비스의 운영을 대행하면 에이전시라고 한다. 나는 인하우스 기획자로만 경력을 쌓아왔다.


인하우스 기획자라고 모두 같은 방식으로 일하진 않는다. 기능의 외주 여부에 따라 업무 방식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프로덕트 직군


내 경험으로 본 실상은 더 복잡하다. UX 디자인은 내부, 배너 운영은 협력사로 나누기도 했었고, 마크업 또는 BE개발이 관계사였던 적도 있다. 지금은 마크업을 제외하고는 모두 같은 회사 다른 부서에 있다. 가끔 수행 인력이 부족하면, 외주 프로젝트로 전환하기도 한다.


크로스펑셔널 조직을 운영하는 회사도 있다. OOO프로덕트팀 안에 기획, 디자인, 개발 모든 직군이 모여있는 형태다. 좀 더 민첩하게 시장에 대응하려는 시도이다.


다양한 협업 환경 아래에서 일해야 하는 것은 프로덕트 직군 모두 마찬가지다. 그러나 전문성이 있어서 자신의 업무 범위가 명확한 다른 직무들에 비해 기획자는 좀 힘들다. 상대방이 많아지고 고용 형태가 복잡해질수록 커뮤니케이션 난이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문제가 생기거나 신규 기능을 추가할 때, 확인해야 할 담당자가 많은 것이 부담이다. 그리고 요구사항이 잘못 전달되어 완전히 다르게 이해할 수도 있다. 어느 한 곳이라도 일정이 맞지 않으면 한참을 기다려야 할 수 있다. 우리는 이미 학교에서 경험하지 않았나? 팀플 지옥 말이다.


회사는 고객을 만족시켜야 한다. 서비스 품질을 높이려면 신속하고 기민하게 움직여야 한다. 분업화, 전문화된 인재들이 하나의 목표를 바라보게 하려면 의사결정의 통합이 필요하다. 요즘 회사들이 서비스 품질을 높이기 위해 모든 프로덕트 직군을 내재화하려는 움직임은 이런 맥락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기획자의 자질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