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eed Enabler Dec 10. 2021

1. 우리는 정말 리스닝을 하고 있을까?

아이가 학교에서 꿈끼 발표를 하고 집에 돌아왔다. 

가기 전의 설렘은 간데없고, 터덜터덜... 그러면서 기분 안 좋아라는 단어를 연발했다.

'아이들이 정말 집중을 안 했어요. 너무 떠들었어요.'

제 생각만치 재밌고, 집중되는 시간이 아녔음에 대한 실망감이 큰 눈치였다. 그래서 난

 '그래? 그럼 넌 어떻게 했는데? 너도 떠들었니?

라고 물었고 '저는 안 그랬어요'란 말에 '와~ 잘했구나!'라고 아이의 행동을 칭찬해주었다.


저녁이 되어 잠깐의 놀이시간에 아이는 나에게 

'아까 꿈끼 시간은 정말 엉망이었어요. 너무 소란스러웠어요'라고 말하면서,

'오죽하면 선생님도 기분 좋지 않아 보였어요'라고 다시 얘기를 했다. '아이고... 애들이 왜 그랬을까, 오랜만에 그런 걸 해서 들떠서 그랬나 보다.'라고 이해하라는 얘기를 해주었다.


그날 밤 자기 전 아이와 얘기를 나누는 시간에

 '오늘은 정말 안 좋았어요. 한쪽 부분 아이들은 누가 발표할 때마다 뭐는 어떻고,  저건 어떻고... 그건 좋지 못한 행동이에요.'

이쯤 되자 난 좀 더 진지하게 이 얘기를 생각해보며

'아이들이 그렇게 행동한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라는 나름의 질문을 던지고,

'그래서 너는 그걸 통해 무엇을 느꼈니?'라는

나름의 머리를 굴려 배움을 느낄 수 있는 질문을 했다.

그러자 아이는 '애들이 왜 그랬는지... 진짜 몰라요.' 하며

말과 행동의 중요성에 대한 자기 생각을 조금 말한 후 잠이 들었다. 나도 그렇게 잠이 들었다.



다음날 아침, 문득

아이는 왜 세 번씩이나 나에게 그것을 얘기했을까? 

아이의 실망이 그만큼 컸구나...라는 각에 미치자,

그렇다면 나에게 듣고 싶었던 말은 무엇이었을까?라는 질문이 내 마음에 내려앉았다.


아! 난 아이의 말에 리스닝을 잘하고 있었을까?

아이는

 '아이고... 속상했겠다. 기대 많이 했는데!'

라는 자신의 마음에 말을 걸어주기를,

자신의 마음의 말을 들어주기를 바란 것이 아니였을까...



'난 꽤 경청을 잘해, 상대의 말을 많이 들어줘'라고 말은 하지만 나는 정말 리스닝을 하고 있다는 것인지,

아님 상대의 말이 내 귓속을 맴돌다 말고, 그냥 내가 하고 싶은 말을 하며,

그건 알겠는데, 들었는데 내 생각은 이래서...라고

잊혀지거나 없어져버리고 있었던 은 아니였는지...


상대의 말을 listening 한다는 것은

단순히 hearing 이 아닌 듣고,  상대의 말을 나의 생각에 입혀서, 그것이 정말 어떠했을까를 생각해보고,

그것에 대한 상대의 마음과 생각 공감해주며,

필요하면 반영해주는 것

결국은 나의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닌,

상대의, 아이의 이야기를 해줘야 했음에 미련과 아쉬움이 남는 다음날의 아침이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