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황하 Nov 21. 2017

군산에서 '반지회 덮밥' 드셔 보셨나요?

전북 군산시 금암동 유락 식당

금강산도 식후경

黃河와 떠나는 食道樂 여행


군산에서 “반지회덮밥” 드셔 보셨나요?

 군산 유락식당


어느 지역을 가더라도 현지인들이 즐겨 찾는 단골 식당은 반드시 있다. 대부분 이런 식당은 노포 식당이고 다양한 매체를 통해 홍보에 열 올리는 다른 식당과는 달리 일부러 홍보하려 들지 않는다. 채널만 돌리면 먹방, 음식 관련 프로그램이 넘쳐나는 요즘 같은 시대에는 홍보에 민감할 만도 한데 단골이 많은 식당은 굳이 이런 복잡한 것에 끼어들려 하지 않는다. 이유야 손님이 늘 많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손님이 늘어나면 맛과 서비스를 유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가급적 촬영이나 광고를 하지 않는다.


군산의 유락식당이 그런 곳 중 한 곳이다.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인증한 백년식당으로 노포식당이기도 하지만 군산시민들이 주저 없이 추천하는 대표적인 단골식당 중 한 곳이기도 하다. 일부러 돈 들여 광고나 홍보하지 않아도 오랜 단골들로부터 입소문을 통해 저절로 알려진 곳이다. 건물 외관을 봐서도 족히 수십 년은 됨 짓한 유락 식당은 간장게장과 반지 회덮밥 등 생선과 해산물을 재료로 하는 요리가 유명하다.


[반지회덮밥]
[반지회무침]

그중에 유락식당의 으뜸은 반지 회덮밥이다. 반지는 서해에서 많이 잡히는 밴댕이를 말하는데, 회를 떠서 초고추장과 채소를 넣어 밥과 함께 비벼 먹는 회비빔밥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육수용으로 많이 쓰는 생선인 디포리를 밴댕이라고 하지만, 반지와 밴댕이는 엄격히 구분하면 다른 생선이다. 분류상 목은 둘 다 모두 청어목에 속하나 반지는 회나 젓갈로 쓰이는 멸칫과이고(흔히 밴댕이회 또는 밴댕이 회무침이라 불린다), 실제 밴댕이는 청어과 생선으로서 말려서 육수용으로 쓰이는 디포리를 말한다. 하지만 언젠가부터 인천과 강화 인근에서는 '반지'를 밴댕이라 불러왔고, 지금은 '반지'라는 이름보다는 '밴댕이'라는 이름으로 통칭되고 말았다. 즉, 우리가 즐겨 먹는 밴댕이 회나 무침 정식 명칭은 '반지회' 또는 '반지회 무침'이 맞는 말이다. 표준어보다 사투리가 더 불리고 있는 경우가 ‘밴댕이’다. 하지만 이름이야 어찌 불리든 상관있을까! 다양한 요리 재료가 되어 우리네 입안을 즐겁게 해주면 그만인 것을.

째보 선창 가는 조선시대부터 죽성포구로 불리던 군산의 대표적인 포구였다. 포구의 형태가 째보처럼 움푹 파였다하여 째보 선창가로 불렸고, 조선시대에는 이곳에 큰 대나무 숲이 있었는데 그 모습이 마치 성을 이룬 것 같다 하여 죽성포라 불리기도 하였다. 이곳은 군산을 대표하는 소설가 채만식의 탁류에 배경으로 등장하는 곳이기도 하다. 째보 선창가 주변으로는 배를 수리하는 철공소들과 어판장이 있어 오래전부터 선술집이 발달한 곳이다. 유락식당 역시 이들을 상대로 술과 밥을 팔아온 오래된 선술집이다.


유락식당 메뉴를 보면 반지 회덮밥, 오징어회 덮밥 등 간단한 식사류에 오래된 선술집답게 졸복탕, 서대탕, 붕장어탕 등 국물 있는 음식이 대부분이다. 선창가 식당 한편에서 금방 버무려 낸 회무침 한 접시와 뜨끈한 탕 한 그릇에 탁주 한 사발은 노역자들의 고단한 하루를 풀어내기에 더할 나위 없었을 게다. 주머니 사정이 녹록지 않았던 시장 상인들과 노역자들을 위해 구하기 쉽고 싼 반지(밴댕이)와 붕장어, 서대를 써서 저렴하게 만든 안주가 오늘날 유락식당을 대표하는 메뉴가 된 배경이다. 



각종 채소를 회와 함께 버무려 낸 유락식당 반지회 덮밥은 쓱싹 비벼서 한입 먹으면 매콤 새콤한 맛의 풍미가 입안 가득 밀려든다. 그 맛에 끌려 숟가락질 몇 번 하다 보면 어느새 빈 그릇만 남게 된다. 반지회, 즉 밴댕이 요리는 인천과 강화도 지방이 발달하여 있는데, 군산에서 맛볼 수 있는 반지 회덮밥은 남다르다. 그것도 째보 선창가 주변 식당에나 와야 맛볼 수 있다. 오래된 식당이다 보니 반지 회덮밥만 맛있는 게 아니다. 인근 부안과 군산에서 즐겨 먹는 풀치조림을 비롯하여 기본 찬으로 나오는 밑반찬들 역시 익숙한 손맛이 배어 있고, 얼큰하게 끓여내는 서대탕이며 오징어 물회 또한 그 맛이 좋다. 장어탕과 비슷한 붕장어탕은 매운탕처럼 얼큰해서 해장국 대용으로 숙취로 찌든 속을 풀어내기에도 그만이다.


사람의 입맛은 살아온 지역과 환경과 그리고 성향에 따라 제각각이어서 같은 음식을 놓고도 호불호가 나뉘기 마련이다. 유락 식당의 생선요리 또한 쓰이는 양념 등이 길든 입맛과는 다를 수 있으나 생선요리를 좋아한다면 군산을 찾는다면 들러서 맛보시길 권한다. 맛이 겉돌고 들쑥날쑥한 풋내기 식당이 아닌 일정한 손맛을 이곳 유락식당에서는 맛볼 수 있다.  즉 묵고 익은 맛이 난다는 뜻이기도 하다. 반지 회덮밥은 먹어보면 익숙한 맛을 느낄 수 있다. 초고추장에 길들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입안에서 감도는 식감을 느껴보면 여느 덮밥과는 달리 풍미가 있으며 깊은 맛이 나는 것을 금방 알아차리게 된다. 오래되고 익숙한 손맛이 덮밥에 배어있기 때문이다.




[군산 내항]


째보선창가 인근에는 호남평야에서 생산된 양곡미를 수탈해 가던 일본강점기의 잔재들이 오늘날에도 곳곳에 남아있다. 대표적인 곳이 군산세관이며 부잔교, 해망굴 그리고 일본인들이 실제 거주했던 적산가옥도 째보선창 주변으로 남아있다. “우리 과거의 역사를 되돌아보는 것은 우리의 삶을 되돌아보는 것과도 같고, 과거를 인정하고 지금의 우리를 알면 더 행복한 미래를 만들 수 있다” 군산시에서 제공하고 있는 군산 여행 가이드북의 첫 머리말에 이렇게 쓰여 있을 정도로 군산은 일제 강점기 근대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도시다.


적산가옥(敵産家屋)

적산(敵産)은 적국 또는 적국인의 재산을 의미한다. 군산 적산가옥은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에 의해 신흥동, 월명동 일대에 지어진 건물들을 지칭하고 있다. 골목을 따라 걷다 보면 독특한 양식의 오래된 집들을 만나게 되는데, 그것들이 대부분 적산가옥이다. 신흥동 일대는 일제강점기 일본인 상류층들이 살던 곳이었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곳이 신흥동에 있는 일본식 가옥이다. 이곳은 현재에도 보전이 잘되어 있어 ‘장군의 아들’, ‘타짜’ 등의 영화 촬영지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동국사(東國寺)

동국사는 한국에 하나뿐인 일본식 사찰이다. 일제 강점기인 1913년 일본인 승려에 의해 ‘금강사’란 이름으로 창건되었으며 한국의 전통 사찰들과는 확연히 다른 일본건축 양식을 띄고 있다. 해방 후 김 남극 스님은 ‘이제부터는 우리나라(海東國) 절이다’라는 뜻으로 동국사라 개명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웅전은 등록문화제 64호로, 법당 안 석가 삼존불상은 복장유물과 함께 보물 제1718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성당(李姓堂) 빵집

우리나라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빵집이 신흥동 초입에 있는 이성당 빵집이다. ‘이성당(李姓堂)’이란 조그만 과자점을 운영하던 한국인이 해방 직후 일본인이 운영하던 이즈모야 제과점 건물을 불하받아 현재에까지 이르고 있다. 이성당 빵 맛을 보려면 기다림의 수고를 감내해야 한다. 한가한 시간을 골라서 가거나 아니면 하루 전에 사전 주문을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줄 서서 한 시간여를 기다려야 할 수도 있다. 이성당을 대표하는 빵은 앙금빵과 야채빵이다.


*황하와떠나는식도락여행 [금강산도 식후경]은 2023년 1월부터 월간 조세금융에 매월 연재되고 있습니다. 


#황하와떠나는식도락여행 #황하와떠나는달팽이여행 #달팽이 #달팽이여행  #마실투어 #군산맛집 #유락식당 #군산유락식당 #반지회덮밥 #반지회


유락 식당(063.445.6730)은 군산시 금암동 째보 선창가에 위치하고 있다. 군산을 대표하는 노포 식당으로 반지회 덮밥을 비롯하여 붕장어탕, 그리고 간장게장이 유명하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