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조준형 Jul 14. 2021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

슘페터의 기업가 정신

우리가 실생활에서 이용하는 모든 기술과 제품들은 기업가들의 손에서 탄생한다.

기업가라고 하면 거대한 기업을 운영하며 막대한 이익만을 챙기는 모습을 떠올리기 마련이지만, 훌륭한 기업가가 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매일매일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고, 사회가 변화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기업가가 갖추어야 할 능력이 더욱 많다.


슘페터는 산업기반이 소프트웨어나 지식정보 위주로 변화하면서 아이디어와 도전정신으로 무장한 기업가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시되고 있다고 말한다. 그중에서도 기업가는 창조적 파괴를 통해 계속해서 새로운 아이디어로 새로운 분야를 개척해야 한다.


역사적으로는 크게 농업 혁명, 산업 혁명, 디지털 혁명의 3가지 창조적 파괴가 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질서가 파괴되는 반면, 새로운 질서가 나타나서 기존 산업의 패러다임이 전환된다. 창조적 파괴를 하기 위해서는 열린 자세를 가지고, 도전과 용기를 통해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실패를 통해 지혜를 얻는 과정이 필요하다.

창조적 파괴는 궁극적으로 혁신, 그리고 창의력과 연결된다.

혁신이란 단순한 변화를 넘어 큰 변화, 질적인 진화를 의미하는데, 이는 반도체 기술의 등장으로 진공관 기술이 무력화된 것과 같은 변화를 말한다.

그리고 창의력을 최대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이질적인 요소들을 결합해보고, 기존의 고정관념을 타파하는 것, 그리고 남들과는 다른 시각, 관점에서 다르게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슘페터는 수평적 사고가 중요하다고 말하는데, 이때 수평적 사고는 문제 내부에서 논리적 과정을 통해 해결책을 찾는 것이 아닌, 문제 밖에서 해결책을 찾는 과정이다.


문제 밖에서 해결책을 찾고, 핵심만 남기고, 복잡한 사안은 단순하게 보려는 노력을 통해 기업가 정신의 핵심 중 하나인 '수평적 사고'를 길러야 한다. 슘페터가 제시한 '수평적 사고 능력'은 비단 기업가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갖춰야 할 중요한 자질이라고 생각한다.


지금 이 순간, 우리가 겪고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 한 발자국 떨어져서, 우리가 겪고 있는 문제 너머를 바라보며 새로운 해결책을 찾아나가자.

매거진의 이전글 왜 '글로벌 리더'라고 불리는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