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숀군 Feb 10. 2019

마이너스 통장 잘 받는 방법

#1. 직장인을 위한 해법

누구나 다 있는 거 같고  

쉽게 쉽게 만드는 거 같은 마통.

어떻게 하면 잘 받을 수 있을까요?


가장 핵심적인 사항은 아래 두 가지예요.

직업 그리고 소득.

개인마다 천차만별인 부분이죠.

잘 받으려면 직업별로 다른 접근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시리즈로 준비했습니다..


1편 - 월급쟁이: 유리지갑 월급쟁이분들

2편-  자영업자: 가려진 소득, 드러난 매출. 마통이 가장 필요한 사장님들

3편 - 주부. 학생: 마통 사각지대에 놓인 분들


이 분들을 위한 핀셋 설루션...


그 첫 번째로 월급쟁이, 마통 잘 받는 법! 시작해볼게요.

대출심사에서 고려하는 월급쟁이 분류  


1. 특정 직군 회사원

2. xx기업 회사원

3. 급여이체 회사원

4. 기타 회사원


월급쟁이는 연봉에 얼마큼 해주나? 이게 관건인데.

통상 위 분류에 따라 연봉 대비 대출비율이 정해집니다.


미리 말씀드려요.

1. 특정 직업을 선호.옹호.비하하는 의도는 전혀 없다는 점을.

2. 칼럼의 내용은 은행 상품 기준이며, 대출의 관점에서만 작성했다는 점을.


1 금융권 상품들을 대략 보니

연봉에 50%~200%까지  천차만별입니다.

상한을 공개하지 않은 기관도 있네요.


[특정 직군 회사원]

특정 직군은 공무원, 공기업, 군경찰, 금융권, "사"자 들어가는 월급 받는 전문직(의사. 교사 등) 

이쪽은 대다수 은행이 그 직업을 위한 상품을 별도로 가지고 있어요.

그래서 본인이 특정 직군인 거 같으면

이쪽으로 먼저 알아보세요. 

일반 회사원보다 수월하고 만족스럽게 잘 받을 수 있을 거예요.

연봉 대비 비율로는 가장 높을 거 같네요.


[일반회사 회사원]

다음으로 일반 회사원분들.

가장 먼저 체크할 사항은.

내 회사가 xx 기업인가?입니다.

여기서 xx 기업은...

대기업도 중소기업도 아니에요.

xx에 들어갈 단어는 "제휴", "지정", "우량"이랍니다.

각 은행마다 다르게 부르더라고요.

기업의 규모가 크게 중요한 게 아니에요.

물론 상장되거나 대기업이면 xx기업일 확률이 높겠죠.

그렇지만 직원 10여 명 규모의 기업도 "제휴"만 맺으면 

대기업 월급쟁이와 동일한 상품으로 받을 수 있다는 게 핵심입니다.


제휴. 우량. 지정기업 선정은 은행 영업점의 재량권이랍니다.

그래서 영업과 실적 증대가 필요하면 

적극적 공격적으로 제휴를 맺어요.

XX기업이 되면 마통 받는 게 훨씬 수월해져요.

왜냐하면 이미 검증된 xx기업에 재직한다는 사실만으로도

소위 먹고 들어가거든요. 

최소 연봉 100%까지는 무난하게 나올 거예요.

선정요건이 높진 않아요. 

외부감사받는 법인이면 자격 대상이 될 겁니다.


[급여이체 회사원]

월급쟁이는 급여이체가 가장 큰 무기입니다.

xx기업이 아니라면 급여를 한 은행으로 몰아넣으세요.

그러면 최소한 년간 급여가 입금된 만큼은 한도로 잡아줄 거예요.

보통 6개월 이상 재직하면 되는데, 급여만으로 한도를 뽑는 경우는

 1년 이상은 동일직장에서 "급여"로 입금이 되어야 하는 게 핵심이겠네요.

은행마다 기준은 다르나 대세는 그렇습니다.

 

[기타 회사원]

연봉에 50% 나오면 잘 받은 걸 거예요.

법인이 아닌 개인사업체, 비영리기업이나 재단에 재직하는 경우일 거 같고요.

이런 분들은 마통보다는 일반 신용대출을 활용하면 최대 3천만 원까지 나오는

정책자금이 있어요. 디딤돌, 버팀목 비슷한 성격으로. 

마통보다는 그게 더 금액적으로 많이 받을 수 있을 거 같습니다. 

 



[FAQ]

Q: 인터넷 전문은행(이하 인뱅)에서 한도 조회했는데 내 연봉보다 적게 나오네요. 난 대출도 전혀 없는데.

A:  인뱅에서 조회했는데 연봉보다 안 나온 케이스는 중소기업 재직자일 확률이 높아요.

인뱅은 대부분 시스템이 심사하죠.  한도 산출 기준은 국세청 신고된 소득금액 + 재직 정보. 

특정 직무, xx기업 재직 여부 고려 없이 나름의 기준으로 회사를 그룹핑한 거 같아요. 

그래서 재직 정보를 수집하면 전산에서 자동으로 연봉에 50%, 80%,100%

이렇게 차등 적용하는 거 같더라구요. 중견,대기업일수록 비율이 올라가는거 같습니다. 

이런 분은 인뱅보다 급여 몰아넣은 은행 영업점 가는게 한도가 더 나올거 같아요.


Q: 연봉보다 더 많이 받는 방법은 없나요? 

A:  특정직군, xx기업, 급여이체실적 있으면 기본 100%는 나와요  

그 이상은 본인 재직정보에 달렸어요. 

그걸 초월해서 더 받을 수 있는 방법은 1금융에서는 없다고 봅니다. 

대출기관 선택 순서는

1금융>보험사신용>보험사약관>캐피탈>카드론,현금서비스>제도권 밖.

가급적 보험사까지만 가시는게 좋구요. 

시절이 좋으면(규제 널럴) 더 해줍니다.

이건 시장 상황마다 다른거 같아요.  xx기업 직원들을 180%까지 해준 사례가 있어요. 

5-6년전쯤.  지금은 신용대출에 강한 규제가 걸린게 없죠. 

다만 연장할 때 마통 한도 사용률이 낮으면 축소를 유도하는거 같더라고요.

은행 리스크관리 차원에서.  전혀 안쓰거나 별로 안쓰면.


Q:  한 은행에서 최대로 다 받는게 좋나요 분산하는게 좋나요?

A: 저는 분산을 추천합니다. 금액분산, 기간분산.

5천 넘어가면 소액이지만 인지세 부담도 있고요. 

분산 이유는 리스크 대비인데요, 1년마다 갱신할 때 재직.소득.신용을 점검하죠.

혹여나 등급하락, 규제강화 등으로 한도를 줄여야 할 경우가 생기면,

큰 금액보다 소액이 관리상 부담이 덜 할거 같아요. 기간도 분산되면 더 좋겠죠.

그리고 은행측에서도 연봉보다 훨씬 초과한 한도를 쓰고있다면 

심사할 때 좀 더 보수적으로 보는거 같고요. 

받을 때야 고갱님 고갱님하지만 연장할 때 보세요.

내 조건이 전보다 많이 안좋아지면 은행이 어떻게 나오는지..

자본주의 논리로 보시면 될 거 같구요. 


Q: 1년마다 갱신 할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갱신할 때 가장 핵심은. 연체유무. 신용등급.직장(이직여부) 등-중요도순서

처음 받을 때 핵심은. 소득.직장.총대출.신용등급 등-전부 중요.

연체했는지, 등급은 어떤지, 이직했는지를 주로 체크합니다.

이직했다면 직전직장과 현직장이 같은 xx기업인지, 비슷한 규모인지가 중요하고요.

이런 정보들을 모아서 한도를 재점검합니다.

본인이 가장 잘 알텐데요, 정보가 변동됐는데 불리한 상황이라면,

은행일도 사람이 처리하는 곳이니 잘 협의해나가시면 될거 같아요. 

협상을 유리하게 하려면 최소한 연체와 신용등급은 잘 관리를 해야겠죠, 


여기까지구요,

이정도 내용을 숙지하고 계시다면

은행 취직하셔도 될 거예요^^

워낙 다양한 사례와 상황들이 있어

자세히 적으면 보다 많은 분들이

참고하시지 않을까 해서 글이 길어졌네요.


다음번 칼럼은 시리즈 2로

개인사업을 하시는 싸장님들을 위한 솔루션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좋은 밤 되세요~






작가의 이전글 임대인이 알아야할 역전세 대비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