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정엽 Oct 13. 2021

미국 운하의 시작과 과정

기술과 산업의 발달 5

제퍼슨 대통령 시대의 재무부 장관인 갤러틴은 1808년 의회에 “공공도로와 운하에 관한 보고서(Report of the Secretary of the Treasury, on the subject of public roads and canals)’를 제출했다.



재무부 장관 시절의 앨버트 갤러틴 모습 <출처 : 위키피디아>


갤러틴 장관의 운하에 관한 보고


여기서 다양한 방안을 제시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강과 강을 이어갈 수 있는 인공수로를 뜻하는 운하의 건설이었다.


하지만 운하에는 막대한 공사비와 시간이 필요했다.


사실 운하 이전에 처음 생각했던 것은 해상 운송이었다.


기존의 강과 강을 연결하여 배로 이동하는 방식이었는데 새로이 공사를 하는 것이 아닌, 기존에 있는 강의 수로를 활용하는 방식에 접근했던 것이다.



운하를 통한 화물의 이동 모습 <출처 : 위키피디아>


사업적 어려움과 기술의 부족


하지만 현실적인 어려움이 많았다.


강의 물줄기 중 급류가 흐르는 계곡이나 폭포가 있는 곳은 배의 이동이 불가능했고, 수심이 얕은 곳은 커다란 물건을 실은 배의 이동이 어려워 작은 선박으로 나누어서 물건을 옮겨야 했다.


하지만 소형 선박은 강을 거슬러 오르기에 동력이 너무 부족해 사실상 노를 젓는 사람의 노동력에 의존해야 했다.


결국 이런 자연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에 불편한 점이 너무 많았고 개선 비용도 상상을 초월해 포기하고 말았다.



운하 이전에 화물을 운반하는 모습 <출처 : 위키피디아>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인공적 수로인 운하를 생각했고 이는 강과 강 사이에 인공수로를 만들어 연결하거나 호수와 강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계획되었다.


운하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는 높았으나 현실적인 문제점은 운하에 대한 전문가가 부족하다는 것이었다.


운하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이동할 수 있는 물의 양이 균일해야 했고, 이를 통제하기 위한 갑문 설치가 필수였으며 전체적인 균형을 맞출 수 있는 설계도가 중요 요소였다.



운하의 설계도 모습   <출처 : 위키피디아>


어려운 난관을 뚫고 시행된 산티 운하


당시 미국 내에서는 이러한 기술자도 없었고, 경험을 쌓은 사람도 부족했다.


유럽에서의 전문가 모집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결국 영국의 기술자 초빙과 수많은 자금을 투입해 첫 운하 공사를 시도했다.


숱한 실패와 좌절을 극복하고 7년여에 걸친 공사 끝에 1800년에 사우스 캐롤라이나 주의 산티 운하(Santee Canal)가 개통되었다. 길이는 35km였다.



산티 운하 모습 <출처 : 위키피디아>



하지만 초기 건설상의 문제점과 운송량의 부족으로 재정적인 실패를 가져왔다.


운송되는 화물의 교통량이 너무 적었고 부실 공사로 인해 잦은 수리가 진행되어 운송이 중지되는 한편 가뭄이 심할 경우 갑문 사이에 물이 부족해 운송이 중단되는 등 문제점이 쏟아졌다.


결국 이 지역에 철도 노선이 깔리면서 결국 폐쇄되었다.


사업적 성공을 거둔 미들섹스 운하


1803년에는 매사추세츠 주의 미들섹스 운하(Middlesex Canal)가 완공되었는데, 1793년에 착공을 시작하여 10년이라는 시간이 소요됐다.


미국 최초의 대규모 토목 공학 프로젝트 중 하나였다.


이 공사에 참여한 엔지니어들이 나중에 건설된 이리 운하(Erie Canal) 공사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초기 미들섹스 운하의 이동선 <출처 : 위키피디아>



미들섹스 운하의 길이는 44km였고 폭이 9m, 깊이가 약 1m 정도 되었으며, 8개의 수로가 있었다.


이 운하는 운송 기능도 원활해 경제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는데, 철도가 유사한 노선에 생겼음에도 경제적인 효율성이 더 높았다.


1851년까지 운영되었는데 운하에 투자한 사람들도 초기에 많은 돈을 벌었다.


공사가 시작된 1794년에 25달러로 평가된 주식이 개통 후인 1804년에 500달러까지 올랐고 이후 1816년에 300달러로 내려왔다.



미들섹스 운하의 지도 <출처 : 위키피디아>


대성공을 거둔 운하 투자자


사실상 초기 운하 투자자들은 대박을 맞은 것이다.


이러한 미국의 운하 사업은 1790년대부터 30여 개의 운하 회사가 8개의 주에서 운하 건설을 허가받아 건설을 시작했지만 수로와 수로를 연결하는 대규모 공사보다는 기존 수로를 연장한다는 의미가 더 강했다.


정밀한 운하 설계기술도 없었고 전문적으로 감독하거나 운용할 기술자도 당시에는 부족했다. 이런 현실이 운하 건설의 발목을 잡는 주요 장애요인이었다.


 

지도상에 표시된 운하의 경로 <출처 : 위키피디아>



하지만 육상의 운송에 비해 운하를 통한 화물과 사람의 이동은 적은 노력으로 보다 많은 이익을 가져오는 원천이었기에 끊임없는 관심을 받고 있었다.


장애물의 등장과 운하의 중요성


당시 가장 큰 장애물은 애팔래치아 산맥이었고 이러한 자연적 어려움을 극복하지 못하면 서부 지역의 성장은 어려워 보였다.


1800년대 뉴욕에서 오하이오 주 클리블랜드까지의 거리는 약 740 km 였는데 이동에 걸린 시간은 2.5주였고 디트로이트까지의 거리는 985km였는데 4주나 걸렸다.

 


운하를 통한 화물 이동은 비용과 시간 절감에 많은 효과를 가져왔다  <출처 : 위키피디아>



이런 엄청난 시간을 절감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달려들었고 기술적 해결 방법으로 운하를 생각해 낸 것이다.


가장 큰 사업적 성공을 이룬 것은 이리 운하였다.

작가의 이전글 표준화 및 호환성으로 성공한 콜트의 리볼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