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의료앱, 대형병원 쏠림 현상을 해결하다

규제 free, 앱이 만든 새로운 중국_1: 웨의

모바일 산업과 관련해서 중국은 우리 IT산업의 관심 대상이 됐습니다. 어떤 측면에서는 중국의 서비스가 우리보다 한발 앞선 모습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중국 모바일의 오늘은 우리의 오늘을 되짚어 보게 하고, 미래에 대한 계획을 매만지는 계기가 됩니다. 설 연휴를 맞아, 귀성길과 귀경길에서 '우리의 오늘과 미래'에 대한 가벼운 고민을 하게 하는 읽을거리가 필요한 분들을 위해 카카오 정책지원파트에서는 현재 중국에서 핫한 세 개의 앱에 대한 사례 분석을 준비했습니다. 기획의 제목은 '규제 free, 앱이 만든 새로운 중국'으로 정했습니다.

   중국 앱 시장의 괄목할만한 성장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규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산업 환경은 중국 앱 시장 발전의 동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기획 하에 준비한 사례 분석 콘텐츠는 총 3개입니다. 3개의 콘텐츠로 중국의 앱 시장을 포괄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이번 기획에 주안점을 둔 것은 덜 알려진 서비스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모바일페이, 공유경제과 달리 상대적으로 국내에서는 덜 알려진 의료, 지식공유, 그리고 여행 서비스를 택했습니다.

2021년 중국 앱 시장의 규모는 2,800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중국 앱 시장이 얼마나 발전했길래?"라고 고개를 갸웃하시는 분들이 있을 수도 있을 것같기에, 시장과 산업의 개괄적 상황을 정리해 봤습니다.

중국인터넷정보센터의 <제41차 중국인터넷발전상황통계보고서>*1에 따르면 중국 인터넷 이용자 7억 5,200만 명 중 97.5%가 모바일 환경에서 인터넷에 접속합니다(한국의 2017년 모바일 인터넷 접속률은 88.5%입니다*2). 높은 모바일 이용자 수 만큼 중국 앱 시장의 규모도 압도적입니다. 2016년 기준 중국 앱 시장의 이용자 소비 규모는 7,900억 달러(약 850조 원*3)로 글로벌 시장의 60%를 차지합니다. 중국의 앱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2021년에는 약 2조 6,000억 달러(약 2,800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4.


자, 이제 의료앱을 시발로 준비한 콘텐츠를 전달하려 합니다. 중국 모바일 의료시장의 규모는 2017년 기준 약 120억 위안(약 2조 원*5)으로 추정됩니다*6. 2,000개가 넘는 의료앱이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아래와 같이 주요 기능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여러 의료앱 중 오늘 소개해 드릴 어플은 웨의(微医)입니다. 의료 카테고리 내 앱 다운로드 순위는 6위에 불과하지만*7, 유명 의료앱과 비교할 때 굵직한 기능을 두루 갖추고 있습니다.


웨의(微医)는 중국의 인터넷 의료업체 웨의(微医)에서 만든 온라인 의료건강서비스 플랫폼입니다. 2010년 꽈하오왕(挂号网, 꽈하오는 진찰 접수를 뜻함)이라는 이름의 진료 예약 중심 서비스로 시작하여 현재의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2016년 10월 기준 중국 29개 성의 2,400개 병원시스템과 연결되며, 1억 5,000만 명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웨의는 중국 국가위생부가 지정한 인터넷의료 플랫폼으로서 신뢰도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8


웨의 홈페이지


웨의에서는 병원 예약부터 진료 후 의약품 수령까지 모든 과정이 앱 하나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스마트 진단’ 기능을 이용하여 환자의 증상 정보를 입력하면 원하는 조건에 맞는 의사를 찾아줍니다. 의사 찾기가 완료되면 앱을 통해 병원 예약과 결제를 완료합니다. 병원을 방문하여 의사의 진료를 받고 나면 필요한 검사목록이 앱으로 전송되며 검사결과를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재진이 필요할 때는 의사와의 실시간 채팅을 통해 내원 여부를 논의하거나 화상통화로 원격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재진 후 처방 역시 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환자는 병원에 다시 방문할 필요 없이 집으로 의약품을 배송받을 수 있습니다.

웨의를 이용한 의료서비스 시나리오


웨의 앱은 환자가 진료를 받을 때마다 진료차트를 앱 내에 저장합니다. 기존 중국의 의료 시스템은 대부분 수기 형식이었습니다. A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환자가 이사 등의 이유로 B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야 할 경우 환자가 직접 A 병원에 들러 진료차트를 얻어야 했습니다. 의를 이용하면, 앱에 기록된 진료차트를 확인하여 병원을 옮기더라도 연속적인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중국의 병원은 최저 1급에서 최고 3급까지 3개의 등급으로 분류됩니다. 문제는 대다수의 중국인이 아주 가벼운 병이라도 3급 병원에서 진료받고자 한다는 것입니다. 환자들은 3급병원 예약을 위해 새벽부터 줄을 서야 하고, 병원 대기표를 판매하는 암표상까지 존재하는 실정입니다. 상급병원으로의 환자 쏠림 현상은 3급 병원 환자들의 대기시간 증가와 1,2급 병원의 의료자원 낭비로 이어집니다.


중국 정부는 의료자원 분배의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분급진료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분급진료란, 질병의 종류와 경중에 따라 진료를 받는 병원의 등급을 지정하는 제도입니다. 즉, 가벼운 질병이나 자주 발생하는 질병의 경우 1차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게 하고, 중대한 질병이나 위급한 상황인 경우 상급 의료기관에서 진료받게 합니다. 그러나 낮은 등급 병원에 대한 환자들의 여전한 불신과, 추가진료가 필요할 경우 여러 병원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제도의 실효성이 높지 않았습니다.


‘웨의’는 중국에서 분급진료의 혁신을 이끈 사례로 꼽힙니다. 1급 병원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면서 상급병원에서의 추가 검진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경우, 어플을 통해 상급병원의 의사와 원격으로 연결합니다. 상급병원 의사는 화상으로 환자를 진료하고, 내원이 필요할 경우 앱 내에서 해당 의사에게 진료예약을 할 수 있습니다. 환자가 상급병원에서 진료예약 줄을 서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시간이 절약되었고, 1・2차 의료기관에서 상급 의료기관의 의사와 바로 연결 할 수 있어 환자들의 불신을 해소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중국의 3급병원은 총 2,232개이며 이 중 ‘갑’등급의 병원은 1,308개 입니다(2016년 8월 기준)*9. 삼갑병원(3급 ‘갑’ 병원)의 78%가 동부 지역에 몰려있어 지역 간 의료자원의 배분이 심각한 불균형을 보입니다*10*11. 의료 시설이 열악한 서부지역의 주민들은 웨의를 비롯한 모바일 의료앱의 원격진료 기능을 통해 먼 거리의 상급병원을 찾아가지 않고도 필요한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직접 인프라를 짓지 않고도, 앱이 가진 연결의 힘으로 지역 간 의료자원 불균형 해소에 기여한 것입니다.


웨의는 이용자를 위한 서비스에서 나아가 인공지능을 활용한 의료기술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웨의 그룹은 2017년 11월, 중국 절강(浙江)대학교 병원 AI 연구센터와 공동으로 연구한 인공지능 진료앱 스마트의사(睿医智能医生)를 선보였습니다. 스마트의사는 의사의 진료를 돕는 병원용 앱으로, 1년 동안 수백만 개 데이터를 딥러닝 하며 자궁경부암, 당뇨망막병증 등 수십여 개 진료영역에서 성과를 보였습니다.*12


웨의를 비롯한 중국 모바일의료앱은 단순 병원예약 기능뿐만 아니라 원격진료 기능을 활용하여 시간과 거리에 구애받지 않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는 중국 정부가 '인터넷플러스 전략'을 통해 원격진료와 인터넷 의료 서비스의 활성화를 추진했기에 가능했습니다. '인터넷플러스 전략'의 핵심은 전통산업에 ICT기술을 융합하여 산업구조를 새롭게 바꾸는 것입니다. 모바일의료의 예로 보듯이, 정부의 적극적인 ICT기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지원은 기존산업의 비효율을 해결하고 각 산업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참고문헌]

*1 http://cnnic.cn/hlwfzyj/hlwxzbg/hlwtjbg/201801/P020180131509544165973.pdf

*2 http://www.msip.go.kr/cms/www/m_con/news/report/__icsFiles/afieldfile/2018/01/31/2017%20%EC%9D%B8%ED%84%B0%EB%84%B7%EC%9D%B4%EC%9A%A9%EC%8B%A4%ED%83%9C%EC%A1%B0%EC%82%AC%20%EC%9A%94%EC%95%BD%EB%B3%B4%EA%B3%A0%EC%84%9C(%EC%B5%9C%EC%A2%85).pdf

*3 1 달러 = 1082원으로 환산 (2018년 2월 13일 환율 기준)

*4 https://www.appannie.com/kr/insights/market-data/app-economy-forecast-6-trillion-market-making/

*5 1위안 = 172.57원으로 환산 (2018년 2월 9일 환율 기준)

*6 http://news.hiapk.com/internet/s594cbbff6ec9.html

*7 https://www.jianshu.com/p/ad617fdfc09

*8 https://www.guahao.com/about

*9 http://www.nhfpc.gov.cn/guihuaxxs/s10748/201708/d82fa7141696407abb4ef764f3edf095.shtml

*10 http://www.360doc.com/content/16/0804/04/34899478_580633093.shtml

*11 삼갑병원의 지역별 분포는 동서 지역구분, 삼갑병원 분류 기준(군대병원 포함여부 등)에 따라 자료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2 https://www.leiphone.com/news/201711/6Gp9lezdjc5gkQgG.html

매거진의 이전글 중국, 인터넷 우등생에 AI 미래를 베팅하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