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기록 생활자 Nov 05. 2018

아침이 온다

가족의 의미를 묻다

동명의 일본 드라마의 원작 소설이라고 하는데 일드는 보지 못했다.

사실 읽다가 결말이 궁금해서 살짝 미리 읽고 읽었다. 두세 번 다시 읽었는데 읽을 때마다 눈물이 흘렀다.


‘아침이 온다’라고 하는 제목의 의미를 소설의 결말 부분에 이르러서야 알 수 있었다. 2016년에 <지금, 여기에, 빛>이라는 제목의 글을 쓴 적도 있어서 어쩐지 그때 쓴 내용과 이 책의 내용이 맞닿아 있는 부분도 있는 거 같아 신기하게 여겨지기도 했다. 그 글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네가 웃고 있는 지금,
열달 동안 꿈을 꾸고
첫울음을 울고

상상 속으로만 그려봤던
너의 얼굴이
내 눈 앞에 있는 지금,

너의 작은 손이
너의 방긋 웃는 얼굴이
여기에 있는 지금,

너의 들숨과 날숨을 느끼며
너를 바라보는 이 순간
이 모든 순간의 틈새를
빛이 가득 채우고 있는 것처럼 느껴져

아가야,
너는 내게 빛이란다.
너는 누구보다 빛나는
사랑이란다.

네가 피어난 날
네가 꽃처럼 피어나던 날
너는 내게 빛으로 왔단다

너의 웃음은
나의 웃음이고
너의 눈물은
나의 눈물이 된단다.

아가야,
너는 내게 새로운 세상으로 향하는
문을 열어준 단 하나의 빛이란다.


내 뱃속에 있었던 아이가 지금 내 곁에 있는 것의 신기함, 경이로움 같은 것을 아이의 탄생 직후 많이 느꼈다. 그건 요즘도 문득 문득 신기하다.  내 뱃속에 사람이 있었다는 것도 신기한데 지금은 나와서 곁에 있으니까. 시간이 많이 흐른 지금까지도 신기하게 여겨지는 일이다. 이 책을 읽으며 처음 아이를 가졌을 때, 또 아이를 낳고 품에 처음으로 안아 보았을 때, 집으로 데리고 올 때의 기억 같은 것들이 되살아났다.


입양 가정과 그 아이를 입양 보낸 가정의 이야기를 통해 가족의 의미에 대해 묻고 있는 소설이라는 인상을 받았다.  “평범한 아이는 평범한 가정에 있다”는 소설 속 등장인물의 이야기가 오래도록 마음에 남을 거 같다.


핏줄로 이어진 친부모와 말다툼 같은
대화를 하면서 가족이란 노력해서
쌓아 올리는 것임을 깨달았다.
가족은 아무리 핏줄로 이어졌다 한들
오만하게 굴어서는
쌓아 올릴 수 없는 관계다.
-아침이 온다, 140쪽 _츠지무라 미즈키
매거진의 이전글 모든 것이 마법처럼 괜찮아질 거라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