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Ten Sep 03. 2015

#고학벌 종족의 습성

공감능력이 떨어지는 이유

자.. 생각해보자

고등학교 때 전교 1,2등 하던 생퀴(?)들은

손에 꼽는 대학에 입학한다


일명 고. 학. 벌

이런 학생들의 특징은 뭘까?


첫째, '열심히' 노력을 해본 경험이 있다.

둘째, 그에 대한 보상, 즉 성취감을 얻었다.

셋째, 자신이 실행한 방법으로 성공이란 걸 해봤다.

넷째, 성공의 경험으로 자신감과 자존감이 높다.

다섯째, 그래서 고집이 있고, 한 성격 한다.


이런 사람들만 모아 두고

발표하게 하고

토론하게 하고

경쟁하게 하면

어떻게 될까?


더 잘한다.



잘하는 놈들만 모아두면 더 잘하게 되는 건

당연한 일이다.



[저변환경]

저변환경이란 건 정말 중요한 요소이다.


돈 많고 지식이 많은 부모님 밑에서

돈 한 푼 지원받지 않고 스스로 노력해서

성공했다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스스로의 노력이 50%

저변환경이 50%다.

어릴 적에 생활에서 영어를 쓰는 부모님,

클래식을 듣고,

해외여행을 가고,

할로윈 파티 등 각종 문화생활도 경험하고,

한가닥씩 하는 부모님 친구들도 보고

등등 저변환경은 사람의 가치관과 생각에

큰 영향을 준다.


[뛰어난 반면 오만한]

여하튼 고학벌 종족은 뛰어나긴 하다.

이미 한차례 노력으로 성공을 거둔 증거도 있다.

그들끼리 집단이 형성되면 더욱 뛰어나 진다.


그러다 보니 무의식적으로 오만해질 가능성이 높다.

내가 더 생각이 깊고, 더 올바르고, 더 합리적이고..



그래서

지식적으론 뛰어나지만

커뮤니케이션에서는 단점이 나타날 수 있다.


상대방을 은근히 무시하거나

무의식적으로 하대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고집이 세다 보니 의견을 굽히지 않기도 한다.


워낙 자신만의 신념과 철학(?)이 강해서

자신만의 인생을 살려는 욕구를 잠재우기 어렵다.


왜냐면 이미 한번 성공한 이력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직장에 취업하면

금방 때려 치기도 하는 게 고학벌 종족이기도 하다.

삶의 의미 혹은 성장 욕구,

커리어/경제적 욕구에 대한 신념이 어긋나면

참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 다른 메커니즘]

그 고학벌 종족이 대학을 졸업한다.

그리고 취업을 하거나

창업을 하게 된다.


취업을 해서 임원을 되거나

창업을 해서 CEO가 된다.

고학벌 종족이 그럴 확률이 높다.

자... 여기서부터 소름이 돋기 시작한다.


이제 고학벌 종족은 2번의 성공을 입증하게 된다.

자신이 노력한 방식으로 성공을 하여

고학벌이 되었고

자신이 생각하고 결정한 방식으로

사회에서 인정을 받게 되었다.


이들의 신념과 고집은 더욱 강해진다.

역시 내 생각이 옳고, 내 방식이 맞아.
내가 남들보다 더 생각이 깊고 합리적이야.



물론 뛰어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더욱 성공하고 그것을 입증할수록

그렇지 못한 평범한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은 멀어진다.


팀원들과 대화해보면 답답함을 느끼기도 하고

생각이 자신보다 빠르지 못해 짜증을 내기도 하고

답답해서 그냥 독자적으로 결정해버리기도 한다.


그렇게 꼰대로 취급받고

독불장군으로 포지셔닝이 된다.


고학벌 학생들의 습성은 더욱 강화되어

그렇게 직장에서도 업그레이드 된다.

이는 직장뿐 아니라 친구사이에서도 나타난다.

불통 증후군.

다른 말로 잘난 척, 아는 척, 똑똑한 척,

멋진 사람인 척.


[밸런스]

세상은 공평한 것 같다.

고학벌에겐 뛰어남을 주었지만 오만함을 주었고

고학벌이 아닌 사람들에겐 밸런스를 주었다.


고학벌에겐 없는

긍정성과 배려심, 존중감, 유쾌함 등

부드러운 커뮤니케이션과 생각.


그래서

고학벌 종족은 대인관계에 있어

많이 내려놓을 필요가 있다.

연애든 우정이든 회사에서든 말이다.


[오해를 풀기 위해]

맞다. 지금 씩씩거리며 댓글을 달려는 당신.

오해를 풀기 위해 해명을 하겠다.

 고학벌 종족이 다 그런 것이 아니다.

위에서 말한 메커니즘 때문에

그럴 확률이 높다는 것이고

실제로 그런 사람들이 많은 편이다.


표현은 고학벌 종족이라고 캐릭터를 부여했지만

성취, 성공을 이루고 한가닥 하게 된 사람들에게

모두 적용될 수 있는 메커니즘이다.


고학벌이라는 단어에 매몰되지 말고

나는 주변 사람들을 그렇게 대하고 있지 않나?

라는 생각을 해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고학벌 종족'은 후킹을 위한

헤드카피라고 이해해주면 감사:)

매거진의 이전글 #OO한 진짜 이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