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백약 Dec 01. 2019

군인의 손은 얼마나 아픈가

대한민국 군인들이 겪는 트라우마에 관하여

나는 방공작전통제병이었다.


그러니까 하늘에서 날아오는 적의 공격으로부터 육군을 방어하기 위한 작전명을 하달하는 병사였다.

우리 진지는 최전방에 있었고, 강 건너에 북한의 건물들과 산, 오고 가는 사람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었다. 부대는 본부에서 실시간으로 하달하는 작전명에 2분 안에 모든 방어조치를 완료하여 적의 공습에 대응할 수 있어야만 했다. 전쟁 발발 시, 북한 전투기는 2분 내 서울 진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모든 작전명은 암호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달받은 암호를 다시 우리 진지에 실시간으로 알려줘야만 한다. 이를 위해 일개 병사는 짧은 시간 내 고도의 추가 군사교육을 받아야 하며 교육 이수 후 바로 사령부 벙커로 투입되었다.


나는 2년 간 3교대(오전 8시~오후 5시/오후 5시~오전 12시/밤 오전 12시~ 오전 8시)로 컴컴한 벙커 속에서 레이더 감시, 암호 방송 청취, 청취 하달에 대한 즉각 적기 위치 표기 업무를 봤다. 레이더 파괴 또는 고장에 대비한 그야말로 인간병기의 역할이었다.



모든 것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 중 가장 어려운 임무는 '표적'이었다. 수십대의 적기가 내려오는 가상 시나리오의 암호를 즉각 해독하여 적기가 어느 위치로 이동하는지를 표기하여 작전 통제실에서 그 위치를 볼 수 있도록 해야 했다. 특수한 지도판에 특수한 색연필로 단번에 알아볼 수 있는 모양과 숫자로 또렷하게 그어 나갔다. 이 업무는 최고참의 감내해야 할 몫이었다. 최고참 이하 상병급은 매일 같이 통제실 내 후임들을 교육했다.


전쟁이 나면, 그리고 내가 암호명 하나라도 잘못 외는 날에는, 그리고 잘못 적기의 위치를 표기하는 날에는, 최전방의 내 동료들은 싹 다 죽을 거란 점을 현장에 와서 알게 되었다.

'**** 발령! 최초 추적 하달한다 최초 추적 북한기!'


가상적기가 아니고??? 이 말을 이등병 말 때 처음 들었다. 매일 하던 훈련인데 정작 가상적기가 아니라 북한기 소리를 들으니 넋이 나가버렸다. 뒤에서 선임병이 뒤통수를 후려 치면서 "뭐하고 있어 방송 안 하고!" 외칠 때 비로소 전쟁 직전 상황임을 알았다.

전쟁 직전 단계인 ****은 군 생활 중 적어도 스무 번 이상은 겪었다. 적기는 집요하고 교묘했다. 휴전선을 코 앞에 두고 새떼처럼 이동하기를 반복했다. 조금이라도 넘어오면 즉각 발사인 거다. 새벽에 적기가 뜨면 모든 부대원이 잠옷 차림으로 뛰어나가 장비에 올라탔다. 동이 틀 때까지 상황이 종료되지 않은 적도 많았다.




불시로 작전통제관이 와서 상황을 주었다. 일종의 실시간 작전대응능력시험이었는데, 일정 점수를 충족하지 못하면 군기교육대를 가야 했다. (실제로 내 선임 중 한 명은 점수 미만으로 군기대에서 4박 5일 구르고 왔다.) 기본점수마저 채우지 못하면 영창행이었다. 정말 죽기 살기로 연습하고 실전에 대응했다. 그때 월급은 3만 원이 채 안되던 시절이었다. 그렇지만 어떠한 불평불만도 없었다. 돈이 문제가 아니라 전체가 죽고 사는 문제가 걸려 있었기 때문이다.

부대원 중 특히 작전통제병들은 극도의 스트레스에 시달렸다. 속사포처럼 쏟아지는 암호 하달을 즉각 해독하여 방송으로 전달하는 한편, 다른 한 명은 벙커 내 작전참모가 볼 수 있도록 투명 유리 지도에 적기의 이동경로를 실시간으로 표기해야 했다. 그때 나는 글씨 거꾸로 쓰는 달인이 되었다.




어느 순간부터 손이 떨리는 증상이 생겼다. 이 증상은 제대 후 3년이 지난 시점까지 계속되었다. 버스나 지하철 손잡이를 잡으면 무의식적으로 오른손가락이 움직이고 있었다. 노트에 '이상한 낙서'를 나도 모르게 적고 있노라면 주변에서 다가와 이게 뭐냐 묻기도 하여 휙 찢어버리곤 했다. 하루 종일 손이 멈추질 않았다. 강의실에 앉아있어도 손은 군을 떠나지 않았다.


환청 증상도 따라왔다. 라디오는 일부러 듣지 않았다. 지지직 소리만 들려도 싫었다.

제대 후 겪는 우리나라 청년들의 트라우마에 관한 연구가 있는지 궁금하다. 치료비는 당장 무상으로 못주더라도 상담 및 치료센터가 전국 곳곳에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생각한다. 티비에서 보여주는 위협적 안보상황과 실제 마주하는 대치상황의 극명한 차이는 겪어본 자만 알 수 있다.



참고로 람보1은 영웅놀이가 아니라, 베트남 참전군인 중 한 명이 제대 후 겪는 트라우마에 대해 미국 내에서 얼마나 무관심했고 싸늘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획기적인 영화였다.



매거진의 이전글 '남의 삶'을 먹고 사는 자의 책상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