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병호 Oct 15. 2019

73. 상품개발 계획수립 개요

성공적인 소프트웨어 신상품 개발가이드

□ 미드로그


프로로그와 에필로그 사이에서 연재물의 위치를 설명하고자 미드로그라는 사전에도 없는 단어를 사용했습니다.

본 연재물은 신상품 개발 시 상품관리자, 마케팅 관리자, 프로젝트 관리자가 공통적으로 알아야 지식을  아래와 같이 총 4부로 나누어 집필중입니다.


1부 : 신상품 개발 개요, 2부 : 린 스트타업과 애자일 프로세스, 3부 : 신상품  기획, 4부: 상품 개발관리 


3부까지는 상품관리자와 마케팅관리자의 지식을 다루었지만 금일부터는 4부 프로젝트 관리자의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4부에서는 상품개발 계획수립, 요구사항 관리, 일정관리, 품질관리, 의사소통, 리스크 관리, 이해관계자 관리의 주제를 다룰 예정입니다. 현재 73회이니 100회는 넘길 것 같습니다.


클릭하신 독자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끝까지 노력하겠습니다.     



상품관리자는 개발목표(what to do)를 정의하고, 프로젝트 관리자는 개발계획(how to do)을 정의한다. 10장부터는 프로젝트 관리자의 책임인 상품관리를 다룬다. 상품관리의 시작은 상품개발 계획수립이다. 이번 섹션에서는 상품기획과 상품 개발 계획의 차이, 상품개발 계획의 구성요소, 상품개발 계획수립시 유의사항, 폭포수 개발과 애자일 개발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겠다. 


1) 상품기획과 상품개발 계획의 차이점

상품기획 승인 이후에는 본격적인 상품개발에 착수해야 한다. 조직에 따라 다르지만 소프트웨어 상품은 상품기획 단계에서 개략적인 상품개발 목표를 정의한 후, 개발 착수 전에 상세 개발계획(기능, 일정, 조직 등)을 정의한다. 상품관리자와 프로젝트가 관리자가 다른 사람이라면 상품개발에 대한 주요한 책임이 프로젝트 관리자에게 넘어가는 시점이다. 물론 출시 전까지 상품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책임은 상품관리자에게 있다. 

아래그림과 같이 상품관리자는 상품기획서에 상위 수준의 개발목표(what to do)를 정의하고, 프로젝트 관리자는 상품개발 계획서에 개발계획(how to do)을 정의한다. 상품개발 계획서의 주요 내용은 무엇을, 언제까지, 어떻게 개발할지 이다. 상품개발 계획서에 정의된 상품 요구사항, 중요 마일스톤, 책임과 역할, 인력투입 계획, 리스크 관리계획 등은 이해관계자가 공유해야 한다. 특히 이해관계자가 여러 부서에 흩어져 있고, 근무장소가 다른 경우 상품개발 계획서의 중요도는 높아진다. 기존 상품개선과 같이 개발규모가 작은 상품개발은 상품기획과 상품개발계획을 통합하여 작성하기도 한다.


2) 상품개발 계획서를 구성하는 내용

상품개발 계획서의 주요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상품요구사항

상품요구사항은 상품개발에서 구현할 요구사항으로 상품개발 계획서의 핵심이다. 상품요구사항은 피처(feature), 기능(function), 사용자 스토리(user story)등의 이름으로 불린다. 본 저서에서는 '상품 요구사항' 또는 애자일 방법론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스토리'를 같은 의미로 문맥에 맞게 사용하고자 한다.

 상품요구사항을 정의한 문서는 상품요구사항 정의서(PRD, Product Requirement Document)라고도 하며, 소프트웨어 상품요구사항을 개발 관점에서 정의한 문서를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명세(SRS, Software Requirement Specification)라고도 한다. 상품요구사항을 정의하는 방법과 상세화하는 수준은 업종에 따라 기업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기대효과, 요구사항, 테스트 기준은 공통적으로 포함한다.


상품 요구사항 변경통제 프로세스  

개발착수 시점에서 정의한 상품요구사항은 변경될 수 있지만 상품요구사항 변경은 임의로 해서는 안 된다. 상품관리자와 프로젝트 관리자는 당연히 합의해야 하고, 사안에 따라 경영층 및 주요 이해관계자(품질, 마케팅 등)도 합의해야 할 수 있다. 보통 상품 요구사항 변경통제 프로세스는 기업차원에서 적용하지만 상품개발 프로젝트 팀이 테일러링 한 프로세스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일정계획

일정계획은 무엇을, 누가, 언제부터 언제까지 수행 하는가를 포함한다. 개발 착수시점에서 모든 상품 요구사항에 대한 상세 개발일정을 정하기 힘들기 때문에 가까운 미래에 개발할 상품 요구사항에 대한 상세 일정을 먼저 확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애자일 프로세스를 적용하는 경우 첫 번째 스프린트는 상세계획을 수립하고 나머지 스프린트는 종료일 정도만 정의한 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각 스프린트의 상세계획을 수립한다. 일정계획에는 프로젝트의 중요한 마일스톤 (디자인 완료, 사용자 테스트, 필드 테스트, 쇼케이스 등)을 포함해야 한다.   


품질관리 계획

상품개발 시 수행하는 다양한 품질활동의 내용, 일정, 수행방법, 담당자를 정의한다.


자동화 도구 적용 계획

소프트웨어 개발 시 적용할 자동화 도구, 적용표준을 정의한다. 자동화 도구의 적용표준을 전사 차원에서 정의하는 경우 변경 또는 테일러링 한 내용만  정의해도 된다. 자동화 도구의 예는 개발진척관리(Jira), 의사소통 및 산출물 관리 (Confluence), 빌드관리(Ant), 형상관리(Git), 코드 인스펙션(Sonarqube)등이 대표적이다.  


조직도 및 인력운영계획

상품개발에 참여하는 인원, 소속부서, 투입기간, 책임과 역할을 정의한다.


의사소통 계획

누구에게, 언제, 어떠한 프로젝트 진척정보를, 어떻게 공유할 것인지를 정의한다. 주간보고, 월간보고, 이슈보고, 쇼케이스 계획이 대표적인 예이다. 


리스크관리 계획

상품개발 착수 시점에 식별된 리스크 및 대응계획, 식별된 리스크의 모니터링 및 통제 프로세스를 정의한다.


https://brunch.co.kr/@kbhpmp/160


작가의 이전글 72. 효과적인 단계별 검토를 위한 고려사항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