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깨비 Jan 14. 2019

밥상 공동체의 회복! 푸드플랜에 담긴 꿈

정왕룡의 푸드플랜 이야기(1)

“도대체 푸드플랜 이란 게 무슨 말이죠?”
“'밥상 공동체 회복을 통한 먹거리 복지 실현계획'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

‘푸드플랜’이란 말이 농업및 먹거리 운동 관련단체와 연구기관에 유행이 되고 있습니다. 본격적 계기가 된 것은 문재인 정부의 대선공약에 중심 정책으로 반영되면서부터입니다. 반면에 일반 시민들에겐 여전히 생소한 용어입니다. 영어표현이 관공서 행정용어에까지 스며든지 오래되었음에도 ‘푸드플랜’ 같은 외래어가 가져다주는 낯설음은 여전합니다. ‘푸드’라는 말이 ‘식품, 식량, 음식, 먹거리’ 등 다양하게 해석이 될 수 있고 ‘플랜’이란 단어조차도 ‘계획, 정책, 책략, 일’등 우리말에서 연관되는 어휘가 여럿입니다.


그래서인지 ‘푸드플랜’에 대한 용어정의조차도 전문가들 사이에선 의견이 분분합니다. 딱히 이 말의 의미를 묻는 사람들에게 명쾌하게 사전적으로 답을 하기가 마땅치 않습니다. 하지만 누가 나에게 이 말의 의미를 물어본다면 위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자신있게 답하고 싶습니다. ‘밥상공동체 회복’과 ‘먹거리 복지정책’이란 두가지 키워드가 푸드플랜의 핵심적 의미로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농경문화를 기본으로 살아온 우리에겐 전통적으로 ‘밥상’이란 말에 담겨있는 향토적 정서가 내재되어 있습니다. ‘밥을 같이 먹는다’는 것은 끼니를 해결한다는 수단적 행위를 뛰어넘어 새로운 인간관계를 맺는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밥상머리 교육’이란 말이 생긴 것도 ‘밥상’이 담고있는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그만큼 강조해왔기 때문일 것입니다. 최근 사용되고 있는 ‘혼밥’(혼자서 밥을 먹는 행위)이라는 말도 그만큼 밥상이 갖는 상호작용의 의미가 뿌리가 깊다는 것을 역설적으로 반증하는 사례일 것입니다.


필연적으로 밥상이란 말은 공동체와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를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사회가 급격한 산업화 단계로 진입하면서 밥상공동체의 토대가 근본적으로 흔들리고 있습니다. 밥상공동체의 약화는 가족과 마을 공동체 밥상문화의 해체로 이어지고 사회적 관계망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푸드플랜이 국가정책 차원의 주요의제로 자리잡게 된 데에는 이러한 사회적 배경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농업과 농촌문제를 독자적 영역으로 접근하던 전통적 방식에서 벗어나 도시와 농촌, 생산지와 소비지, 생산자 농민과 소비자 시민의 상호관계 속에서 바라보아야 한다는 문제인식이 작용한 것입니다.

                   ▲ 성동구 행당동 마을공동체 식사 - 자료제공 서울시

작가의 이전글 로저 셰퍼드..그가 부럽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