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언어의 반대말은 살이다

언어의 반대말은 살이다


“살은 오직 아날로그 방식으로만 작동한다. 

나는 살의 아날로그를 자세히 쓸 힘이 없다. 

그것은 아직도 내 언어의 힘 밖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살의 아날로그는 언어와는 무관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래서 언어의 반대말은 ‘살이라고 나는 생각하고 있다“(276쪽).

김훈의 《라면을 끓이며》에 나오는 말이다.


살이 느끼는 감촉과 그것이 뇌에 전달되는 감각은

언어로 표현이 불가능에 가까울 때가 많다.

생각은 이리저리 배회하며 

적확한 느낌에 맞는 언어를 찾지 못하고 

한동안 멍하니 먼 산만 바라본다.


“나는 몸이 입증하는 것들을 

논리의 이름으로 부정할 수 있을 만큼 명석하지 못하다“(141쪽).

“사유는 몸으로 드러나고 몸은 사유의 집이다”(231쪽).

역시 김훈의 《자전거 여행 2》에 나오는 말이다.



머리로 생각하기 이전에 

몸은 지금 바로 느낀다.

가슴으로 지금 다가오는 느낌은

내일 머리로 전달된다.

몸으로 다가오는 느낌은 

가장 정직한 감각이며 그건 속일 수도 없다.


2012년에 사하라 사막 마라톤에 참가한 적이 있다. 

40도를 오르내리는 폭염을 뚫고 

하루 40km를 제한된 시간 내에 

완주하는 죽음의 레이스다. 

하지만 사막에는 모래보다 

모래와 모래 사이가 더 많다는 이문재 시인처럼, 

사막은 나에게 모래사막이라기보다 사유의 사막이었다. 



하늘에서 수직으로 내리쬐는 혹독한 폭염과 

달아오른 사막이 내뿜은 모래 열기 사이에서 

걷다가 뛰기를 반복하는 나를 무엇으로 설명하랴. 

흘러내리는 땀방울, 짓누르는 배낭의 무게, 

극에 달한 고통을 감내하며 

무슨 이유로 지금 여기를 달리고 있는 것일까.


한발 한발 모래사막을 밟고 지나가는 나는  

짓누르는 배낭과 어깨가 만나는 사이로 

바람이 지나가는 시원함으로 버텨가며 앞으로 나아간다.

그럼에도 표현 자체를 거부하는,

광활한 사막이 주는 적막한 고요함과 

뼈와 살을 저미는 사막 레이스의 고통스러운 쾌감을 

무슨 수로 설명하고 맛보게 하랴!


작렬하는 태양과 타오르는 모래사장 사이로

스치는 바람을 타고 달리며 

온몸으로 퍼지는 육신의 고통과 함께 하는 

사막 레이스는 사투 끝에 스며드는 오르가슴이다.



“사막은 사람에게 행동하라 가르친다…

생존을 위한 안간힘일 뿐이다. 

사막 같은 극한의 땅 위에 서면 

누구나 일상을 뛰어넘는 사색과 결단을 하게 되고 

마침내 행동하게 된다. 

그래서일까, 사막은 책 따윈 버리고 

대신 땅을 읽으라 한다. 

사막에 당도하지 못한 자들만이 책을 읽는 것이다…

땅 읽기에 비하면 책 읽기는 아무것도 아니라고(235쪽)."

이희인의 《여행자의 독서에 나오는 말이다.


사막에 관한 책을 읽고 

이성적으로 사막을 이해하는 노력보다

사막을 직접 밟아보면서 모래와 모래 사이도 느껴보고

끝없이 펼쳐지는 지평선 너머에서 떠오르는 일출과 

그 너머로 다시 넘어가는 일몰 장면을 직접 보는 것은

책으로 보는 것과 천지차이다.



“바닷가의 모래가 부드럽다는 것을 

책에서 읽기만 하면 다 되는 것이 아니다. 

나는 내 맨발로 그것을 느끼고 싶은 것이다. 

감각으로 느껴보지 못한 

일체의 지식이 내겐 무용할 뿐이다“(p.39).

앙드레 지드의 《지상의 양식》에 나오는 말이다.


몸을 쓰며 흘린 땀의 농도는

앉아서 시기하며 흘린 침의 당도를 능가한다.

땀 흘리는 열정이 침 흘리는 열광을 이기는 이유다.

언어는 침으로 생기지 않고

땀의 얼룩에 담긴 처절함과 간절함이 만든다.

그런 언어가 가슴으로 전해질 때 몸이 반응한다. 


#유영만의언어유희 #언어 #사유 #개념 #지식생태학자 #유영만

매거진의 이전글 연애란 오직 ‘살’을 부비는 것이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