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Kelly KyuHyang Lim Nov 17. 2015

권태 속의 아름다움

서울 사는 대구사람의 이야기





 내일 시내에서 한시까지 보자.





시내가 유일한  동성로뿐이라 (이를테면 서울에는 명동 이태원 홍대 등등을 시내로 분류한다) 저 한 단어로 모든 것이 통하는 대구에서 유년기와 학창시절 , 대학 까지 모조리 보낸 내가 서울에서 지낸지도 삼 년을 향해 달리는  중이다. 처음 일 년간은  일주일에  한 번씩 찾던 대구가 어느새  한 달 에 한 번이 되고 이제는 마지막으로 내려온 게 언제인지  까마득할 만큼  줄어든 그 횟수는

나도 모르게 스며들어버린 서울생활의 반증이 되었다.





추석 지나 가을 색이 짙어진 후 처음 온  고향. 기차역에서 내려 버스비가 얼마인지 기억이 안 나 주머니에서 대충 동전을 주섬주섬 꺼내 무심히  동전 통에 던져 넣었다.

버스기사 아저씨도 언제나처럼  무뚝뚝하시다.          






안녕. 대구
대구시 수성구 지산2동. 가을비 내리던 날 밤









내가 이런 동네에  살았었나?  


20층 이하의 아파트 들을 감싸주는 돌담과 그 앞의 즐비한  가로수들. 빗물 때문에 바닥에 척척히 달라붙은 낙엽들은 없어지기를  거부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가을비가 추적추적 내려 수분기 가득한 촉촉한 밤

내 학창시절의 청사진을 그렸던 동네를 걸어본다.


거리에는 그때는 몰랐던 것이 분명 존재 했다.













내가 출가 한 짧지않은 시간 동안 보수성이 강한 도시인 대구에서도 꽤 많은 표면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어렸을 적 얼음이 얼면 그 위에서 아슬아슬 얼음을 걷던 , 나의 큰  운동장이나  다름없던 수성못 은 어느샌가  도심 속 못의 운치를 뒤늦게야 알아본 듯이 급진적으로 카페와 술집 , 밥집들이 생겨났고 지금은 연못을 끼고 엄청난 상권이 형성되어  수성못은 차 막히는  곳이라는 공식이  생겨났다.

어느새 우리동네가 저 멀리서도 찾아오는

유명한 곳이 되어있었다.



또한 올해 봄에는 무려 지상철 3호선이 개통되어  버스로 한 시간 반을 통학해야 했던 대학 캠퍼스를 삼십 분 만에 갈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가뜩이나 오밀조밀 서로 부대끼며 살고 있는 동네에 비정상적인 비율로 자리 잡은 지상철이  떡하니 들어오니 경관을 망친다는 둥 볼멘소리를 하던 동네 사람들마저 어느새 현대적인 삶의 속도감의 황홀함에 저도 모르게 넋놓고 있는 듯했다.








용지공원이 빨갛게 물들었다.
401번은 시내로 402번은 학교로



목련시장 생선가게 아저씨의 낙엽장식에서 보이는 가 을 낭 만 !








하지만 아무리 변해도 변하지 않는 것이 있기 마련이다.



우리 아파트에서  딱 열발자국만 떼면  나오는 역사 깊은 목련시장 , 24시간 돌아가는 이모 김밥집에 파는 단무지와 당근만 들어간 이상하게 맛있는 김밥 , 내 지난 격정적인 연애사의 역사를 담은 용지공원 벤치, 겨울에는 하얗고 가을엔 늘 빨갛던 , 시내로 나가기 위한 버스를 기다리던 , 교복 입고 학교 가는 버스를 기다리던 그 공원 앞의  버스정류장.







보라색과 노란 은행잎의 보색조화는 철저한 우연이였다.






서울의 삶에 지쳐

휴식하러 오던 내게

왜 그런 얼굴을 하고 있나며 묻지도 않고

같은 자리에 있어주던 그곳은


권태처럼 또는 길게 늘어진 습관처럼

따분하기도 했던  그곳은


내 지난 날의 아름다운 일상이였다.





어느 유명한 단풍 명소 보다 색채가 짙다. 나의 집.






내가 누리던 것이

이토록 풍요로웠다는 것을,


변한 것은 고향이 아니라

진정한 가치와 삶의 혜안을  

저울질 할수 있게 된

 라는 것을 깨닫는다.





아파트11층에서 내려다 본 풍경.







빠르게 회전하는 우리 삶

어느 한 켠에 존재하는

정지된 시간의 덩어리 는

언제나 그자리다.



 .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