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유희사상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민용준 Sep 01. 2021

'D.P.' 폭력의 맛, 군대라는 추억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D.P.'가 일으키는 반향에 대하여.

군대 이야기란 대체로 ‘누가 더 고생했는가’라는 못난 무용담으로 수렴하기 마련이다. 적당한 허풍이 덕지덕지 덧붙어 종종 우스꽝스럽게 느껴지지만 피할 수 없는 고생을 견뎌냈다는 유사 전우애를 공유하며 그 시간을 지나온 남자들 사이에 필연적인 유대감을 만들어낸다. 결국 지독하게 낭비적이고 소모적이었던 그 시간에 대한 일말의 보상감을 느끼기 위해선 끊임없이 지껄이는 수밖에 없다. 서로가 인내한 그 시간에 연대하며, 무사히 지나왔다는 안도감을 새삼 느끼는 것 이상의 방도가 없다. 군대에 관한 썰이 뒤늦게 틈틈이 지껄여야 직성이 풀리는 추억이 되는 건 역설적이지만 다시 돌아가고 싶지 않은 시간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누군가에게는 그 자체로 결코 유쾌할 수 없는 기억일 수도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국민인 남성은 헌법과 이 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병역의무를 성실히 수행하여야 한다.’ 매회마다 대한민국 병역법 제3조 문항으로 시작하는 <D.P.>(이하 <디피>)는 바로 그 시간을 버티지 못한 탈영병을 잡으러 다니는 군인들에 관한 이야기다. 그러니까 소위 D.P병이라고 일컫는 헌병단 소속 군무이탈 체포전담조(Deserter Pursuit)를 주인공으로 둔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다. 실제 D.P병으로 활동한 전력이 있다는 김보통 작가의 웹툰 <D.P 개의 날>을 원작으로 둔 작품이기도 하다. 마치 노비가 도망간 노비를 ‘추노’하듯, 군인이 도망간 군인을 ‘추군’하는, 군대를 소재로 삼은 작품이지만 군부대의 이수 지역을 벗어나는, 뻔한 소재의 전형성을 물리적으로 뛰어넘는 이야기라는 것이다.


영화 <차이나타운>과 <뺑반>을 연출한 한준희 감독의 첫 미니시리즈이기도 한 <디피>는 주인공 캐릭터 안준호(정해인)부터 전반적으로 원작과 다른 변주가 가미된 인상이다. 원작은 군대 내 부조리에 강하게 저항하고, 디피병으로 맹활약하는 안준호의 과거사를 언급하지 않는 것과 달리 <디피>는 군입대 이전에 불운한 가정사를 지닌 안준호의 개인사를 좀 더 부각한다. 동시에 원작에서 등장하지 않는, 안준호와 짝패를 이룬 디비병 사수 한호열(구교환)을 더하며 원작과 차별화된 새로운 결과물을 만들었다.

원작이 탈영병을 잡는데 일가견이 있는 디피병 안준호 상병의 활약상을 통해 군대 내 부조리를 구석구석 들여다보는 작품이라면 <디피>는 주인공 안준호를 ‘짬’ 안 되는 이병 부사수로 설정하며 가혹한 군 부조리의 관찰자가 아닌 부조리한 체제의 약자 입장에 놓고 그 심리를 직설적으로 제시한다. 동시에 아버지의 폭력에서 비롯된 불운한 가족사를 새롭게 가미하며 원작과 비교했을 때 캐릭터의 심리를 보다 입체적으로 설계하며 다면적인 내러티브를 건축한다. 군대라는 은밀한 사회의 내부자만 목격할 수 있는 현상과 개인만이 마주한 내밀한 사연을 관찰하고, 목격하는 서스펜스와 페이소스를 층층이 쌓아간다. 


무엇보다도 주요한 내러티브를 이어가는 메인 캐릭터뿐만 아니라 개별 사건의 플롯을 격발하는 실탄 역할을 하는 캐릭터들이 다채롭게 등장하며 이야기의 층위를 두텁게 형성하는데 저마다 역할도, 비중도 다르지만 뛰어난 호연으로 이어 달리는 배우들을 발견하는 재미도 쏠쏠하다. 전체적인 스토리를 관통하는 주요 캐릭터부터 일회적인 에피소드를 책임지는 주변부 캐릭터들까지, 모든 역할에 구멍이 없어서 내러티브를 탄탄하게 메운다. 주연 캐릭터를 맡은 정해인과 구교환의 이색적인 조합부터 작품의 주둔지 역할을 하는 병영 내에 자리한 캐릭터를 연기하는 김성균, 손석구, 현봉식, 조현철, 신승호, 박세준 그리고 매회 에피소드의 줄기를 확장하는 탈영병을 연기하는 김동영, 이준영, 최준영 등 모든 캐릭터가 또렷하게 각인되는 인상이다.

언제 터질지 모르는 뇌관 같은 캐릭터 안준호를 연기하는 정해인의 말간 얼굴과 능글능글하면서도 예사롭지 않은 한호열을 연기하는 구교환의 짝패 조합은 불협화음의 앙상블을 극대화하며 버디무비의 쾌감을 정비례하게 끌어올린다. 두 캐릭터의 직렬연결 자체가 <디피>의 재미를 보장하는 절반의 담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두 주연 캐릭터 외에도 군 조직이라는 특성을 대변하는 다층적인 인물들이 등장하며 다양한 시각과 관점을 너르게 확보하는데 디피조의 직속상관인 군탈담당관 박범구 중사(김성균)와 헌병대장 보좌관 임지섭 대위(손석구)는 극적인 긴장과 이완을 발생시키는 주요한 역할을 해내며 상명하복이라는 군 체계의 부조리한 갈등을 큰 선에서 중계하는 역할을 해낸다. 


동시에 황장수 병장(신승호)을 비롯해 부조리한 폭력성을 가학적으로 대물림하도록 이끄는 내무실 내의 선임들과 이를 인내하는 직접적인 피해자 조석봉 일병(조현철)의 관계는 시한폭탄처럼 들끓는 가학과 피학의 관계로서 병영 내 부조리의 실체를 온몸으로 대변하는 역할로 기능하며 <디피>의 전체적인 주제를 관통하는 극적인 내러티브로 발전해 나간다. 무엇보다도 여러 가지 의미에서 <디피>의 하이퍼 리얼리즘 같은 존재가 된 천용덕 중령 역의 현봉식은 인상 자체로 군 조직의 무언가를 대변하는 캐릭터가 됐다. 예비역이라면 익히 알겠지만 알고 보면 대대장급 인사들은 얼굴로 짐작되는 나이와 실제 나이 사이에 상당한 괴리가 있다. 실로 굉장한, 신의 한 수 같은 캐스팅이라고 생각한다.

혹자에게는 군대에서 보낸 시간이 자랑스러운 훈장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군필자라면 누구라도 그러하듯이 그 시절은 지나왔기 때문에 다행스럽게 지껄일 수 있는 기억일 것이다. 다시 군대 가는 꿈 만한 악몽도 없는 것처럼 아무리 군대 사정이 좋아졌다고 해도 전역한 이가 입대하는 이에게 전혀 부럽지 않다고 말하는 건 괜한 농담이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디피>는 군 입대 경험 유무에 따른 감상이 완전히 다른 온도로 다가올 수 있는 작품처럼 보인다. 간접적인 체험으로 다가오는 이들보다도 직접적인 체감으로 다가오는 이들에게 남기는 물음이 큰 작품처럼 보인다. 무사히 지나왔다는 건 무사하지 못했던 누군가를 방관한 것은 아닐까.


누군가는 세상이 예전 같지 않게 좋아졌다고 믿는 사이 여전히 뭐라도 해야 하는 시간을 보내는 이들이 있다면 어찌해야 하는 걸까. <디피> 6화의 엔드크레딧이 모두 올라가고 마주하게 되는 찝찝함은 결국 마냥 추억할 수 없는 그 시간에 남겨두고 온 무언가를 떠올리게 만든다. 추억이라는 단어와 결코 어울리지 않는 것을 추억한다는 아이러니를 짊어지게 만드는 체제의 부조리를 과연 언제까지 마냥 견뎌야 할 것으로 합리화해야 하는 걸까. 지나왔다는 것에 안도할 수 있다는 건 결국 여전히 벗어나지 못한 시간일 것이다. <디피>는 그 씁쓸한 추억의 맛을 되삼키게 만드는 좋은 질문이다. 다음 질문도 이어질 수 있길 바란다.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션 웹진 <스냅>에 연재하는 칼럼을 재편집한 글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방탄소년단은 그렇게 BTS가 됐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