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민용준 Mar 14. 2024

오스카와 캔슬 컬처의 역습

이변은 없지만 이상이 있었던, 올해의 오스카 시상식 끝에서 타오른 단상.

제96회 아카데미 시상식은 7관왕을 차지한 <오펜하이머>의 무대였다. 시상식이 열린 LA 코닥 극장을 찾은 할리우드 영화인들은 마치 트리니티 실험으로 예정된 핵폭발을 기다리는 물리학자들 같았다. 크리스토퍼 놀란도, 킬리언 머피도,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도, <오펜하이머>와 함께 생애 첫 오스카 트로피를 거머쥐었다. 그렇게 <오펜하이머>의 예정된 대폭발 속에서도 끝까지 알기 힘든 부문이 있었다. 


올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And the Oscar goes to…?’ 이후로 불릴 이름을 예상하기 가장 어려웠던 부문은 여우주연상이었다. <가여운 것들>의 엠마 스톤과 <플라워 킬링 문>의 릴리 글래드스톤의 접전은 오스카 레이스 내내 치열했다. 미국배우조합상 영화 부문 여우주연상으로 릴리 글래드스톤이 호명되며 저울추가 기우는 것 같았지만 오스카는 엠마 스톤에게 두 번째 트로피를 안겨주었다. 이번 시상식에서 가장 극적인 순간이었다. 하지만 그 수상 결과보다 놀라운 건 그 이후에 찾아온 뜻밖의 논란이었다. 

오스카 수상자로 호명돼 무대에 오른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와 엠마 스톤이 시상자로 축하를 전하는 키 호이 콴과 양자경을 무시했다는 논란이 발발했다. SNS를 비롯한 온라인 커뮤니티 상에서 진전된 이 논란은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와 엠마 스톤의 행동이 아시아인을 무시하는 백인 특유의 잠재의식이 드러난 것이라는 주장으로 진전됐다. 양자경과 키 호이 콴이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올해의 수상자들을 축하하는 글과 시상식 안팎의 활기찬 분위기를 담은 사진을 올렸지만 두 사람의 인종차별 피해를 단정하고 비아냥거리는 댓글이 달렸다. 단 몇 초만에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와 엠마 스톤은 인종차별주의자가 됐고, 양자경과 키 호이 콴은 인종차별피해자가 됐다. 하루 아침에 할리우드 톱스타 네 사람의 관계가 가해자와 피해자로 분류된 것이다. 당사자의 의견은 안중에도 없다.

올해 시상식에서도 어김없이 아카데미 회원으로 등록된 영화인 중 지난해 세상을 떠난 이들을 위한 추모식이 진행됐다. 거기 이선균이 있었다. 그 죽음을 추모했던 것이 불과 반년도 되지 않았다. SNS로 이선균의 죽음을 애도하는 이들을 숱하게 봤다. 그리고 지금은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와 엠마 스톤을 인종차별주의자로 단정짓는 글을 보고 있다. 잘 알지도 못하면서, 단편적인 찰나의 목격으로 한 사람의 인생과 인격을 깡그리 판단하고 삽시간에 ‘캔슬’한다. 그렇게 지워진 누군가가 죽고 나면 애도한 뒤, 또다른 이를 캔슬하기 시작한다. 고약한 유행이자 중독처럼, 어떤 이들은 누군가의 인생을 판돈처럼 걸고 게임을 시작한다. 크리스토퍼 놀란의 <다크 나이트> 속 대사처럼, “어떤 사람들은 그냥 세상이 불타는 것을 보고 싶어 한다.” 


그래서 이 글도 이렇게 됐다. 원래 1974년의 오스카 해프닝을 재현한 존 시나의 알몸 시상이나 <신사는 금발을 좋아해>의 마릴린 먼로에게 헌정하는 라이언 고슬링의 핫핑크 공연에 관한 유쾌한 이야기를 하고 싶었건만, 캔슬했다. 바야흐로 캔슬 컬처의 시대,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무운을 빈다.


('Harper's BAZAAR Korea' 온라인에 쓴 칼럼을 재편집한 글입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