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달해슬 Oct 10. 2021

도전하고픈 주제가 있다

지적 허영심만 채우다가 끝낼 것인가

대학교 1학년 1학기 교양 수업.

시간표 짜면서 공강 시간에 끼워둔, 선배들이 점수받기 좋다고 말해줬던 그 수업, <여성과 문학>.

강의 계획서도 읽지 않고  수업 때서야 들어본 ‘페미니즘이라는 용어.​

 학기가 끝난 후에 남은 거라곤  용어를 들어봤다는 것이었다. 한 번도 고민해본  어서 수업을 들으면서 교수님 말씀을 받아 적는 게 다였다.

나는 내내 그렇게 살아왔는데 뭐가 문제라는 걸까..?

여성들의 삶은 고단하지, 그러나 스무 살의 대학 초년생의 생각은 거기까지였다.



 시간이 지나고,  아이의 엄마가  후에야 여성의 에 대해 생각해 본다. 아이들의 삶에 대해서도 생각해 본다. 또한 장애를 가진 이들의 삶도 생각해 본다. 약자에 대한 시선은 차이가 아니라 차별이었음을 이제야 깨닫는다.



오래전에 받았던 그 수업은 어떤 내용을 배웠는지 교재도 버려서 알 길 없지만, 나와 아이들이 차별받지 않는 세상을 꿈꾸기 위한 길이 막힌 건 아니다. 장애를 극복하는 게 아니라 장애에 대한 편견을 극복하는 게 필요하다는 것도 조금만 눈을 돌리면 여러 자료를 통해 접할 수 있다.






생각은 책을 통해 영상을 통해 자꾸만 뻗어나간다. 어설프지만 무언가 알 것처럼, 손에 잡힐 것처럼 하다가 문득 멈춰 섰다.



이건 정말 내가 원하는 것일까?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며 ‘나 이런 사람이에요’라고 허세를 부리고 싶은 게 아닐까?



관심은 갖지만 깊이 있게 말하지 못한다. 내 앞에는 장애와 인권이 주제인 책 한 권이 놓여 있지만, 이걸 제대로 소화했다고 말할 자신이 없다. 읽기만 한다고 뭐가 달라질까? 이 관심은 맛보기로 겉만 핥아대며 ‘이 정도면 됐어’ 하며 지적 허영만 만족시키다 끝날 것 같다.



논리가 없이 막무가내인 남편에게 반박하지 못했다. 논리를 갖춘 남성이 남성 페미니스트가 쓴 글을 읽고 덤빌 때 반박하지 못했다.

내가 아는 게 별로 없으니까. 어설프니까.’



나를 위한 글쓰기 삶을 살고 싶은데, 남을 의식하며 허세만 부리다가 흐지부지될까 봐 두렵다. 글을 쓰며 앞으로 나아가고 싶은데 어렵다. 나는 지금 이 주제들에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다. 이 생각들이 글쓰기와 연결되지 못하는 이유는 생각과 삶이 일치하지 않아서 그런 걸까?

작가의 이전글 사랑한다는 말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