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화의 종류
① 경제재
: 그 존재량이 희소하기 때문에 일정한 대가를 지불하여야만 얻을 수 있는 재화로, 보통 말하는 재화는 경제재를 말한다
② 자유재
: 사용 가치는 있으나 아무런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얻을 수 있는 재화로, 절대적 자유재와 상대적 자유재로 나뉘어진다
③ 단용재
: 한번쓰면 없어지는 재화로, 이에는 식료품·연료·원료 등 이 있으며, 단용소비재와 단용생산재로 나뉜다.
④ 내구재
: 비교적 오래 거듭하여 쓸 수 있는 재화로서, 주택·기계 등 이 이에 속한다. 내구생산재와 내구소비재로 나눌 수 있다
⑤ 대체재
: 쌀과 보리·버터와 마아가린과 같이 한쪽을 소비하면 다른 쪽은 그만큼 덜 소비되어, 어느 정도까지 서로 대체될 수 있는 재화이다. 즉, 두 재화를 따로 소비할 때의 효용보다 함께 소비할 때 의 효용이 적은 경우의 재화이다.
⑥ 보완재 :
펜과 잉크·커피와 설탕 등과 같이 상호보완하는 관계에 있 어, 두 재화를 함께 소비할 때의 효용이 큰 재화이다.
⑦ 독립재
: 따로 소비할 때나 함께 소비할 때나 효용의 차이가 없을 때 즉, 서로 연관이 없을 때 이 두 재화를 독립재라고 한다. 책과 설탕·연탄과 잉크 등이 이에 속한다.
⑧ 결합재
: 쇠고기와 쇠가죽같이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재화를 말 한다.
⑨ 관계재
: 물질적 재화와 언제든지 바꿀 수 있는 화폐, 즉 신용증권 등을 말한다.
⑩ 기펜재
: 버터와 마아가린의 관계에서, 하급재인 마아가린은 소비자 가 부유해짐에 따라 그 수요가 감소되고 상급재인 버터로 대체되어 버터의 수요가 증가된다. 이처럼 가격이 하락하면 도리어 수요가 감소되는 마아가린 과 같은 하급 재화를 기펜재라 한다.
의사들이 매일 팔고 있는 의료서비스라는 상품은 어디에 해당될까요 ? ㅎㅎ
자기가 팔고 있는 재화의 종류나 특성을 알지도 못한 체 물건을 팔고 있는 것은 아닌지 반성이 됩니다. 의사들이 팔고 있는 의료 상품은 재화가 아니고 상품도 아니라구요 ? 그럼 뭡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