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essay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정현 May 16. 2019

나는 에디터가 되고 싶다

에디터는 제2의 창작자니까.


(c) 브레이크 매거진



나는 에디터가 되고 싶다



에디터는 제2의 창작자니까. 너무 거창한가?




이따금 일종의 억울함과 아쉬움을 느낀다. 매끈하게 잘 만들어진 콘텐츠를 접할 때가 그렇다. 하나의 콘텐츠가 우리 앞에 도착했을 때를 생각해보자. 그 콘텐츠의 주인은 누구라고 할 수 있을까? 물론 바보 같은 질문이다. 모든 콘텐츠는 여러 사람이 협업하여 완성하는 결과물인데 거기에 어떻게 독점적 주인이 존재할 수 있을까. 하지만 이런 바보 같은 질문을 던져보게 만드는 건 더 바보 같은 현실이다. 



완성된 작품 앞에서 우리는 대개 작가라는 사람의 이름만 기억한다. 그 외의 것들은 자연스레 지워진다. 처음 콘텐츠를 구상하고 이를 구체화하는 시간이나, 관련 아티스트를 섭외하여 서로 조율하며 타협점을 찾아가는 단계 같은 걸 기억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콘텐츠 제작 과정을 전반적으로 담당하고 책임지는 이에게 눈길이 가지 않는 건 당연한 일이다. 



그 당연한 일이 나는 좀 억울하다. 그러니까 콘텐츠의 기획과 편집을 총괄하는 에디터의 역할이 제대로 조명되지 않는 건 분명 문제가 있다. 에디터를 제2의 아티스트나 작가라고 부르는 건 너무 지나칠까? 결국 능력 있는 에디터가 없으면 좋은 콘텐츠도 없는 법인데 말이다. 굳이 억울함의 감정까지 느껴가며 에디터의 역할을 강조하는 건, 사실 내가 에디터가 되고 싶기 때문이다. 지금도 이 잡지의 피처 에디터를 맡고 있지만 앞으로 잡지뿐만 아니라 여러 형태의 라이프스타일 콘텐츠를 기획하고 편집하는 일을 하고 싶다. 꽤 잘해낼 수 있을 거라는 근거 없는 자신감도 있다. 




(c) Debby Hudson                  




나는 왜 에디터의 세계에 뛰어들고자 하는가. 간단하다. 좋아하고, 잘할 수 있을 것 같은 일이라서. 언젠가 누가 가장 좋아하고 잘하는 일이 무엇이냐 물었을 때 나는 ‘전달’이라고 답했다. 내가 보고 듣고 느낀 것들을 다른 이에게 표현하고 설명하는 것. 이건 전형적인 이미지의 창작과는 다르다. 나는 골방에 틀어박혀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예술가 타입이 못 된다. 그렇다고 또 만들어진 작품을 가만히 앉아서 감상만 하는 위치는 성에 차지 않는다. 꽤 오랜 시간 냉정한 현실 직시와 자기객관화를 거쳐오며 도달한 결론은 그 중간 지점, 더 정확히는 ‘창작자의 바로 한 걸음 뒤’가 내 자리라는 것이다. 창작자와 감상자 사이에서, 잡다한 재료들을 이리저리 활용하여 나의 언어로 재가공하는 일. 그렇게 편집한 내용을 적절한 형식에 얹어 전달하는 일. (최대한 좋게)말하자면 작가나 예술가보다 편집자, 기획자에 어울리는 스타일이라고 할 수 있겠다.



에디터라는 게 그렇다. 에디터는 자신이 보여주고자 하는 내용을 비주얼과 텍스트 혹은 그 외 요소들을 활용하여 전달한다. 콘텐츠의 전체적인 컨셉과 테마를 세우고 이를 가장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사람, 공간, 사물, 작품 등의 다양한 재료들을 물색한 뒤 이들과 함께 원하는 결과물을 만들어낸다. 주제 구상 및 컨셉 기획부터 섭외와 협찬 문의, 자료 편집이나 원고 작성까지 에디터는 해당 콘텐츠의 전 과정을 책임지고 진행하는 일종의 디렉터인 셈이다. 



창작이라 하기엔 이것저것 신경 쓰는 게 많은 데다 생각보다 전혀 화려하지 않다. 그러나 창작이 아니라고 하기엔 그 비중이 너무 크고 중요하다. 요컨대 에디터는 ‘제2의 창작자’다. 예민한 안테나로 다양한 원석들을 캐치하여 이를 가장 매력적인 방식으로 재가공하는, 숨겨진 또 다른 아티스트. 책과 잡지, 전시장과 라이프스타일숍, 웹과 모바일 플랫폼에서 고유의 특색을 가진 콘텐츠를 받아볼 수 있는 건 에디터가 밤낮으로 기획하고 편집하는 과정이 있기에 가능하다.



여기까지 쓰고 보니 나는 정말 에디터 하기 위해 태어난 건가 싶다. 생각해보면 나 역시 필드의 최전선에서 화려하게 돋보이는 자리가 많이 부담스러운 사람이다. 하지만 관심은 또 좋아하는지라 나름의 중요한 몫을 해내며 인정받을 수 있는 위치는 간절히 원한다. 그렇게 운명처럼 나는 에디터라는 역할을 만났다. 당연히 앞으로도 쭉 만나고 싶을 뿐이다.  




(c) Alexander McFeron



누군가 말한 적이 있다. 예술가는 지상으로부터 20cm 떨어진 존재라고. 너무 높이 날아올라 바닥의 공기를 외면해서도 안 되고, 늘 땅에만 붙어있느라 저 너머의 새로운 풍경을 놓쳐서도 안 된다. 지면에서 딱 20cm 떠올라 그 상태를 유지하는 사람이 훌륭한 예술가다. 그렇다면 난 이렇게 표현하겠다. 에디터는 까치발을 들고 서 있는 존재다. 언제라도 손을 뻗어 아티스트를 부를 수 있고, 마음만 먹으면 유연하게 지상과 상공을 넘나들며 시야를 달리할 수 있어야 한다. 



좋은 에디터가 되고 싶다. 열심히 그리고 꾸준히 까치발을 들 수 있는 사람. 당장이라도 종아리 운동을 시작해야겠다. 






                                                                                  * [브레이크 매거진 Vol.22 Hidden]에 실린 기사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내 인생을 망치러 온 나의 구원자, 텔레비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