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이 Nov 04. 2021

글쓰기에 대한 망상

11/2/21

첫 번째 심리상담 후기 - 메신저


한국시간으로 오전 9시~새벽 1시라는 긴 시간대에 실시간 전화상담 번호로 걸면 즉각적인 연결이 가능하다고 함 (분단위로 결제됨)

전화 / 이메일 / 메신저 선불 결제 후 예약 시간에 정해진 시간동안 상담 가능




상담 신청하며 설명한 상황: 


저는 타인과 대화를 나누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느껴져서 상담을 받아보고 싶었습니다. 오늘 나눈 대화도 저 혼자서는 도저히 이해가 가질 않아 저에게 어떤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 발전해나가야 하는지 등이 궁금합니다.




해당 대화에서 나의 문제점:


1. 장황한 문자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내 입장을 최대한 부드럽게 표현하고자 이모티콘과 이런저런 얘기를 곁들이며 설명을 많이 함.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내용이 길고 반복되는 말도 많아 한 번에 읽고 이해하기 어려워짐. 

이모티콘도 굳이 불필요한 곳에 사용하니 감정 전달이 제대로 안됨. 진지하고 단호하고 짧게 해야 할 이야기에 억지로 웃는 듯한 이모티콘을 연달아 넣으니 대화와 결이 맞지 않음.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 불필요한 태도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인사말, 끝맺을 때에도 죄송하단 말, 감사인사까지 넣음.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줄곧 죄송하다고 하면서 개인적 의견이라고 수그리고 들어감. 미안한 것과 내가 원하는 것을 구분해서 정확히 말해야 함.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3. 문자 폭탄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나는 문자를 처음으로 딱 한 개 보냈는데 문자 폭탄이라는 말이 이해가 안 갔음.

단톡에 다른 사람들이 보는 데서 얘기하는 것보다 개인적으로 따로 얘기하는 것이 더 나을 것 같아 연락함.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문자의 개수보다 같은 말을 장황하게 길게 보내서 부담일 수 있고 더 읽기 힘들다고 함.

따로 연락하지 말고 그 상황에서 바로 말했어야 한다고 함 -> 단톡방에서 이미 여러 번 얘기해봤지만 같은 상황이 반복되는 경우는 어떻게 하냐고 질문했으나 답변받지 못함.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4. 말꼬리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대화에서 대답을 했을 뿐인데 말꼬리를 잡는다고 하는 부분이 이해가지 않음.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그 사람이 나한테 말꼬리가 잡히지 않는다고 느끼려면, 상대가 어떤 말을 하던 반박 하지 말라함. 내 입장을 밝히는 것 자체가 말다툼을 일으키므로.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도 불필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5. 결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명확한 의사전달 필요

-> 구구절절이 쓴 모든 메시지를 "각자 본인 의견을 말하면 좋을 듯해요" 한 문장으로 쓰면 됨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아니 이거 그러고 보니 내가 열심히 연습하던 대화법인데 왜 이 상황에서는 적용할 생각을 못한 거지? 심지어 책 마지막 부분이라 제일 심혈을 기울여 연습했는데... 갑자기 다시 며느라기 병이 돋았나 ㅠ 딱 한 문장으로 말하면 될걸 괜히 이리저리 오래 생각하다 보니 수식어구에 구구절절에 장황하게 됐구나. 이제까지 열심히 준비했던 일들이 다 끝나고 긴장감이 풀려서 똑바로 생각을 못했나 보다. 정신 차려 이 친구야. 습관이 될 때까지 연습해야겠다.


하나의 글을 쓰는 데 들이는 신경과 노력 만큼 메신저로 대화할 때에도 그만큼의 신경을 써야함을 깨달았다. 내가 글작업을 하면서 지적받았던 부분도 일맥상통해 보인다. 생각을 정리해서 글을 잘 써야 하는데, 나는 반대로 생각을 정리하기 위해 글로 적고 있어서 이런 문제가 생기나보다.


- 번역투의 문장

- 자신의 감정인데 불명확

- 한 문단 내에서 문장별로 입장이 바뀌어 내용 이해가 어려움




상담 후 느낀점:


아이러니하게도 상담사님이 말씀해주시는 대화에서의 나의 문제점을 상담사님의 텍스트에서 그대로 느껴짐.

-> 처음에는 상담사에 대한 불만으로 이어졌으나 그래, 나와 대화한 상대도 그렇게 느꼈겠구나 하고 더 잘 이해하게 됨.


상담할 때 서로가 상담을 준비하는 그 시간적인 약속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움. 시간을 정하는 것이 단순하게 일정을 잡는 것 뿐만 아니라, 그 상담시간 전에 내담자는 어떤 이야기를 할지 내가 상담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이 무언인지를 고민하고, 상담자도 사전에 여유롭게 준비하고 집중할 시간을 미리 정하는 것이 상호간에 필요.


긴급하게 상담이 필요할 때 바로 연락이 가능하다는 점은 상당한 장점이다. 




https://link.inpock.co.kr/loveyourlife




매거진의 이전글 해외에서 받는 심리상담일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