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이 Oct 27. 2022

넓고 넓은 바닷가에 월세살이 단칸방

우리 집엔 아무것도 없어도 괜찮아!

저는 남편과 둘이 스튜디오(원룸)에 살아요. 1967에 지어진 건물에 동북 방향으로 창이 나 있는, 침실 주방 거실이 모두 같은 공간에 있는 10평도 안 되는 좁은 집입니다. 내 월급 고스란히 쏟아붓는 무서운 월세예요. 처음에는 정착할 수 있는 집을 구하기 전까지 잠시 머물 집이었는데 어느새 3년도 넘게 살고 있어요.


집안 곳곳 쓸고 닦고 내 손길 안 닿은 곳 없을 정도로 잘 관리하려고 하지만 지은 지 55년 된 낡은 건물이라 청소를 아무리 해도 깨끗하다는 느낌이 안 나요. 청소를 하면 할수록 낡은 페인트가 떨어져 나오고 오래된 타일이 깨지고 가전제품이 망가지고... 엉엉 ㅠㅠ 그래서 그냥 집안에서는 렌즈나 안경을 안 끼고 흐릿하게 그까이꺼~ 대충대충~ 더러운 거도 안 보이게 하고 살고 있어요.







우리 집엔 아무것도 없어요. 사실은 아무것도 놓을 공간이 마땅치 않습니다 (ㅠㅠ) 원룸이라 침대, 테이블, 선반 이렇게 세 개만 놓아도 집이 꽉 차거든요. 


초반에는 원룸에서 신혼을 시작하면서 불만이 없었다면 거짓말일 거예요. 


집 안의 모든 물건들 모두 이 전 세입자분께서 쓰시던 가구들을 모두 중고로 고대로 받아서 사용 중이거든요. 거의 10년이 넘은 가구들이에요. 신혼인데 새 가구를 사고 싶은 마음도 있었지만 이런저런 고비를 겪으면서 40만 원대에 이 가구들을 모두 구할 수 있었다는 것이 다행이라고 생각하게 되었어요! 그리고 만약에 우리가 정착할 수 있는 집을 찾는다면 그 집에 맞춰서 새롭게 시작할 수 있게 준비하는 것도 기대가 됩니다. 후후







그래도 내가 매일 퇴근하는 우리 집, 여행 갔다 돌아올 수 돌아올 수 있는 우리 집이라고 생각하기로 다짐! 집안을 호텔이나 에어비앤비처럼 모든 물건들을 매일 사용하고 내가 충분히 아끼고 관리할 수 있는 정도로만 소유하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짐과 인테리어를 비우고 창밖 풍경으로 대신합니다^^


코로나 락다운으로 인해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내가 머물 수 있는 곳이 있다는 사실이 얼마나 큰 위안을 주는지 깨닫게 되었고 우리 집이 더더더 감사해지기 시작했어요. 그래서 아주아주 소소하고 미미한 일상 미니멀라이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는 글을 적어보려 합니다 :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외국인 남편 덕분에 배운 자존감 대화법

<남편이 미워질 때 보는 책>


이전 01화 가방 하나로 떠나는 프로봇짐러 정착기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