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에는 '나쁜 남자'를 표현하는 재미난 용어들이 많다. 짜난(渣男), 깐저난(甘蔗男), 하이왕(海王), 중앙콩티아오(中央空調) 등등. 이 용어들이 '나쁜 남자'를 표현한다고 해서 모든 나쁜 남자에게 그냥 막 쓰면 안 된다. 어떤 종류의 '나쁨'인지 구분해서 써야 한다. 중드를 보면 가장 많이 듣게 되는 것이, 짜난(渣男)과 하이왕(海王)이다.
짜난(渣男)은 쓰레기 같은 놈?
짜난(渣男)의 짜(渣)는 엑기스나 과즙을 빼내고 남게 되는 찌꺼기를 말한다. 그러니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찌꺼기 남'일 텐데, 이것만으로 '나쁜 남자'를 지칭하는 용어라는 감이 오는가?
짜난(渣男)은 일반적으로 진지하게 사귀지 않고, 여자의 감정을 가지고 노는 방면의 나쁜 남자를 말한다. 짜난(渣男)은 공통의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일컬어지는데, 연예에 있어서 민감한 후각을 가지고, 상대 여자에게 가장 부족한 것이 뭔지 분별해 내서 딱 그걸 제공해서 상대의 심리적 방어선을 무너뜨리고 들어가 상대의 감정을가지고 논다.
짜난(渣男)은 인터넷 유행어로, 확실한 어떤 어원이 있는 것은 아니다. 내 개인적인 생각인데, 짜내고 남은 '찌꺼기' 짜(渣)를 '나쁜 놈'에 비유해서 짜난(渣男)이라고 부른다기보다는, 짜(渣)를 동사로 봐서 짜(渣)하는 행위, 그러니까 엑기스나 과즙을 쪽 빼내고 아무것도 안 남기는 행위가, 짜난(渣男)이 상대 여성의 단물을 쪽 빼먹는 행위와 맞아들어서 '나쁜 놈'의 뜻이 되는 것이 아닌가 싶다. (대만친구들에게 물어보고, 정확해지면 이 부분 다시 수정하도록 하겠다.)
한자 짜(渣)에서 파생되어 나온 또 하나의 유행어가 깐저난(甘蔗男)이다. 이 용어에 짜(渣)라는 한자가 직접 들어가지는 않지만, 그 개념이 들어가 있다.
깐저(甘蔗)는 사탕수수라는 뜻이다. 그러니 직역하면 '사탕수수 남'이다. 이 용어가 왜 '나쁜 남자'가 되는지 이해하려면, 일단 사탕수수의 특성을 좀 알아야 한다. 사탕수수는 맨 처음에 씹으면 단짝단짝한데, 마지막에 단물이 다 빠지고 나면 찌꺼기, 즉 짜(渣)만 남는다. 그러니까 깐저난(甘蔗男)은 여성과 교재 하는 초기에는 온갖 달콤한 말을 속삭이고, 그럴 수 없도록 따뜻하고 친절 하지만, 오래되면 마각을 드러내는데, 더 이상 당신을 애지중지 안 해주고, 아주 못되게 굴고, 심지어는 바람을 피우는 등 짜난(渣男)으로 둔갑하는 남자를 일컫는다.
하이왕(海王)은 바람둥이
하이왕(海王)은 말 그대로 바닷속의 왕, 바다 위의 제왕, 바다 위의 우두머리를 의미한다. 바닷속에 있는 모든 생물이 다 바다 왕의 부하가 아니던가. 하이왕(海王) 속성을 가진 사람은 바다가 수많은 생물을 거느리듯이, 수많은 썸 타는 상대를 가지는 바람둥이다. 우리나라도 바람둥이 짓을 '어장 관리'라고 하잖는가.
바람둥이를 지칭하는 또 다른 용어로 중앙콩티아오(中央空調)가 있다. 한자 뜻 그대로는 '중앙(中央) 에어컨(空調)'이라는 뜻이다. 중앙에서 제어하면 전체 건물에 찬바람이 투입되듯이, 주변 모든 여성에게 온화하고 친절한 남성을 가리킨다. 중앙콩티아오(中央空調) 남(男)은 여자친구가 생기더라도 다른 이성과의 애매한 관계를 유지할 확률이 높다.
대만 작가 싼마오(三毛)의 명언 중에 이런 말이 있다. <만약 당신이 나에게 준 것과, 당신이 다른 사람에게 준 것이 같은 것이라면, 그럼 난 안 할래요. (如果你給我的,和你給別人的,是一樣的,那我就不要了。)> 하이왕(海王)이나 중앙콩티아오(中央空調)를 만나면 이 문장 한번 써먹어보시길.
사랑하는 우리는 이기적이다. 우리는 그에게/그녀에게 유일무이한 반쪽이 되기를 욕망한다. 그래서, 그의/그녀의 사랑은 박애(博愛)여서는 안되고 내게만 향하는 편애(偏爱)여야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