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의 여민동락, 민심은 천심이고 권력의 원천은 백성
맹자는 공자가 죽고 나서 100년 후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되며 성선설과 유가철학을 완성했다.(BC 372년 추정 ~ BC 289년 추정)
맹자(孟子)가 살았던 전국(戰國)시대는 철기문화가 확산되어 생산력의 급격히 발달하였고 제후들 사이에 치열한 영토 쟁탈전이 벌어지던 전란의 시대였다.
이러한 혼란의 시대에 맹자는 제후국을 주유하며 각국의 군주들에게 '너그러움의 정치', 즉 '인정(仁政)'을 역설하였다.
그는 이론은 간결하다.
잔혹한 군주는 임금으로 인정할 수 없으며, 폭군은 군주의 자리에서 내쳐 버려도 좋다는 ‘폭군방벌론’을 주장했다.
또한 백성의 위상을 군주보다 상위에 두는 민본(民本)주의를 제창하고, 영토를 넓히기 전에 백성들의 삶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위민(爲民) 정치의 효시를 열었다.
『맹자』에서는 "사람에게는 도(道)가 있다. 배부르게 먹고, 따뜻하게 입고, 편안히 살면서 배움이 없으면 짐승과 별로 다르지 않다.“
또한 맹자는 인간이 동물과 구분되는 근본적 특징으로 남의 불행을 차마 그대로 보아 넘기지 못하는 마음 '불인인지심(不忍人之心)'이라고 한다.
그는 누구나 할 것 없이 '우물에 빠지려는 아이'를 구한다는 성선설을 주장한다.
그러자 사람들은 성선설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선생님은 인간이 본성적으로 착하다고 하지만 현실에선 제 이익만 챙기는 망나니니들이 많잖아요?”
그러자 맹자는 나무 없는 우산의 비유를 들어 설명한다.
“우산의 나무가 일찍이 아름다웠는데 사람들이 도끼와 자귀를 들고 매일 나무를 베니 어찌 무성할 수 있겠는가?
나무들이 밤낮 없이 자라고 비와 이슬을 적셔주어 새싹이 나오건만 소와 양이 매일 뜯어먹으니 이렇게 민둥산이 된 것이다.”
여민동락(與民同樂)
'백성과 즐거움을 함께하다'라는 뜻으로,
백성과 동고동락하는 통치자의 자세를 비유하는 말이다.
맹자는 인의(人義)와 덕(德)으로써 다스리는 왕도(王道)정치를 주창하고
그 바탕에는 백성을 정치적 행위의 주체로 보는 민본(民本) 사상이 깔려 있다.
맹자는 양(梁)나라 혜왕(惠王)에게 이렇게 말하였다.
"지금 왕께서 음악을 연주하시는데 백성들이 종과 북, 피리 소리를 듣고는 골머리를 앓고 이맛살을 찌푸리며 "우리 왕은 음악을 즐기면서 어찌하여 우리를 이런 지경에까지 이르게 하여 부자(父子)가 만나지 못하고, 형제와 처자가 뿔뿔이 흩어지게 하는가?"
라고 원망한다면, 이는 다른 이유가 아니라 백성들과 즐거움을 함께하지 않기 때문입니다(此無他, 不與民同樂也).“
민심은 천심이요, 권력의 원천은 백성에게 있다는 의미이다.
백성의 생업을 안정시키는 것이 왕도의 시작이고
환과고독을 돌보는 것이 왕의 의무이다.
오륜의 완성
인간이 개와 돼지와 다른 것은 사회적 존재이기 때문이다.
인간의 사회성은 모든 논리의 출발점이 되어야 질서가 성립된다고 주장한다.
“측은지심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고 수오지심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고 사양지심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고 시비지심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다. 측은지심은 인의 단서요 수오지심은 의의 단서요, 사양지심은 예의 단서요, 시비지심은 지의 단서다”
인류의 가장 기본적인 다섯 가지의 인간관계,
즉 부자(父子)ㆍ군신(君臣)ㆍ부부(夫婦)ㆍ장유(長幼)ㆍ붕우(朋友) 관계를
도덕적으로 말한다.
부자유친(父子有親): 부자간에는 친함이 있다.
군신유의(君臣有義): 군신 간에는 의리가 있다. 군은 공동체를 위해 헌신하고 그 군주에게 충성을 바친다.
부부유별(夫婦有別): 남녀차별이 아닌 부부는 좀 떨어져 있는 게 낫다. 각자의 역할과 책임을 나눠 상호 존중하는 것이 이상적 부부이다.
장유유서(長幼有序): 찬물도 위아래가 있듯이 어른과 젊은이의 수직적 지배 복종관계가 있다.
붕우유신(朋友有信): 벗[朋友] 사이에 지켜야 할 도리는 믿음[信]이다.
인생의 세 가지 즐거움
일은 기쁨의 원천이다.
직업 그 자체가 삶의 목적이어야 된다.
직업이 수단으로 전략될 때 비극적인 삶이 기다린다.
공자는 천하에 세 가지 즐거운 일을 이야기 한다.
첫째, 부모가 모두 살아계시고 형제들이 아무런 일없이 건강한 것이다.
둘째,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럽지 않고, 땅을 내려 보아 남에게 창피하지
않게 사는 것이다.
셋째. 천하의 영재들을 얻어서 교육하는 것이다.
이렇듯 맹자의 인생 행복론은 단순하고 평범하기까지 하다.
사단설은 〈공손추편(公孫丑篇)〉에 있는 말로서 인간이 가지는 본질적 특성이다.
이것을 지킬 때 행복이 온다고 한다.
측은지심(惻隱之心): 남을 불쌍하게 여기는 타고난 착한 마음을 이르는 말로 측은지심이 없으면 인간이 아니다.
수오지심(羞惡之心): 잘못을 부끄러워하고 싫어하는 마음
사양지심(辭讓之心): 사양하고 양보하는 마음
시비지심(是非之心): 옳고 그름을 가리는 마음
필자는 솔직히 말해 현대사회의 이익과 욕망을 추구하는 시장의 논리에서 벗어나기가 쉽지 않다.
맹자의 4단설에 따르는 것이 근본적인 인간의 행복이라고 말 할 자신이 없다.
너무도 속물로 살아왔기 때문이 아닌가? 스스로 반성해 본다.
누가 누구에게 뺏고 빼앗기는 이해타산을 넘어 맹자의 오륜을 중시하는 윤리가 공감될 때 비로소 현대인의 불행을 막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