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원가 김정두 Mar 07. 2024

아보리스트를 존재하게 만든,
블레이크스 히치

Blake's Hitch

 수목관리를 위해 직접 나무에 오르는 '아보리스트(Arborist)'는 로프에 몸을 맡긴다. 로프를 활용하기 전 아보리스트는 등하강을 위한 '사다리'와 몸을 나무에 고정할 수 있는 짧은 줄인 '랜야드(Landyard)'에 의존했다. 하지만, 업무 특성상 나무 수관 속을 이리저리 돌아다녀야 하는 아보리스트는 사다리와 랜야드만을 이용해 원하는 나무 지점에 나아가기란 꽤나 까다로웠다. 혹여나 클라이머를 지탱하던 나뭇가지가 부러지기라도 하면 작업자는 회복하기 어려운 큰 부상을 입었다. 


 '안전사고'에 대한 경각심이 확대되고 산업안전 분야가 발전하면서 아보리스트는 나무 위에서 원하는 지점에 나아갈 수 있는 자유도를 얻으면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클라이밍 로프 테크닉'을 도입한다. 클라이밍 로프 테크닉을 통해 아보리스트는 등반하기 까다로운 수목이라도 '안전'이 확보된 채로 나무에 올라 수목을 관리하는 기술이 발달하게 된다. 가장 중요하면서도 기본이 되는 기술은 아보리스트가 안전하게 나무에 오르고 내려갈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로프'만을 이용한 '히치(Hitch)'가 개발되었다. 이 히치는 블레이크스 히치(Blake's Hitch)라 불리며 트리 클라이밍의 근본이라 할 수 있다.


블레이크스 히치(Blake's Hitch)

 블레이크스 히치(Blake's Hitch)는 마찰을 이용한다. 다른 히치법 같은 경우 루프(Loop)가 형성된 코드를 이용하지만 블레이크스 히치는 로프 끝을 이용하여 만든다. 형성된 매듭 끝단이 짧을 경우 매듭이 풀릴 위험이 있기에 여유롭게 로프 끝을 확보하고 매듭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 매듭으로 마무리한다. 이 매듭을 통해 아보리스트와 트리 클라이머는 등반과 하강 모두 사용할 수 있어 반드시 익혀야 할 필수 매듭으로 간주된다.


역사

 1994년 제이슨 블레이크(Jason Blake)는 이 히치를 'The Slip-or knot'으로 묘사해 'Arbor Age magazine' 편집자에게 편지를 보냈고 이를 통해 블레이크는 트리 클라이밍을 위한 매듭을 아보리스트들에게 소개하며 대중화시켰다. 그 공로를 인정받아 블레이크의 이름이 명명되었다. 하지만, 이 매듭은 정확한 명명 없이 오래전부터 사용되었으며 매듭법의 바이블이라 불리는 책을 작성한 저자인 애슐리(Ashley)는 1944년 그의 저서에 이 매듭을 소개했지만 정확한 이름은 붙이지 않았고 이후 1981년 우리가 명명하는 블레이크스 히치는 하인츠 프로하스카(Heinz Prohaska)에 의해 오스트리아 가이드 정기 간행물에 먼저 소개되었었다. 그는 이 매듭을 게슈테커 위켈노텐(Gesteckter Wickelknoten) 또는 이를 줄여 웨켈노텐(Wickelknoten)이라 명명했다. 차후 어려운 이름 대신 하인츠 프로하스카를 인정하는 뜻으로 매듭법을 프로그립(ProhGrip)이라 불러졌다.


 정확한 매듭 명명에 대한 숱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제이슨 블레이크에 의해 '먼저' 아보리스트들에게 소개되었기 때문에 아보리스트 산업에서 '블레이크스 히치(Blake's Hitch)'로 불려지게 된다. 그의 이름이 명명된 매듭으로는 1996년 Arborsit News(Palmer and Lilly)에서 블레이크스 히치를 정확하게 묘사하고 설명한 그림이 발간된다. 1990년 중후반 아보리스트들에게 블레이크스 히치는 실력 있는 클라이머들이 가장 좋아하는 히치법이었다. 



사용법 

 블레이크스 히치는 일반적으로 12-13mm 로프에 사용되며 코일을 감는 횟수와 로프 끝이 몇 번째 코일을 통과하는 가에 따라 4/2와 5/3 형태가 존재한다. 물론 사용 환경에 따라 언제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5/3 블레이크스 히치는 코일을 5번 감고 로프 끝이 3번째 코일에 통과한다. 이때 유의할 점으로 히치를 마무리하는 로프 끝이 코일을 감았던 메인 로프보다 앞으로 나가 코일을 통과해선 안된다. 반드시 히치를 마무리하는 로프 끝은 메인 로프 뒤로 나가 코일을 통과해야 한다. 그래야만 클라이머의 하중이 히치에 전달되었을 때 충분한 제동력을 갖는다.



순서

(1) 로프 끝을 메인 로프에 4~5번 감아 코일을 만든다.


(2) 로프 끝이 메인 로프 뒤로 나가고 만들어 놓은 두 번째 코일을 통과한다. (5회전을 했다면 세 번째 코일에)


(3) 통과한 로프 끝을 조여줌으로 히치를 정리한다.


(4) 느슨해진 히치는 아래 사진과 같은 모양을 보인다. 통과한 로프 끝을 기준으로 위, 아래에 두 개의 코일이 보인다.


*** 클라이밍을 위한 블레이크스 히치는 로프 끝이 위의 사진보다 훨씬 길어 스토퍼 매듭으로 마감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동영상

https://youtu.be/fXpuKxvIZa0


추신.

블레이크스 히치(Blake's Hitch)는 반드시 반복 연습을 통해 손에 익혀야 합니다. 로프 끝단이 메인 로프 '앞'이 아닌 '뒤'를 지나 코일을 통과해야 함을 명심하세요.



자료출처

https://www.animatedknots.com/blakes-hitch-knot

https://www.masterclass.com/articles/blakes-hitch-knot-guide

https://en.wikipedia.org/wiki/Blake%27s_hitch


매거진의 이전글 미끄러지기도, 고정되기도 하는 클렘하이스트 매듭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